• 제목/요약/키워드: tool support

검색결과 1,700건 처리시간 0.028초

소아 결핵 감염 진단에 있어서 결핵 특이항원 자극 Interferon-${\gamma}$ 분비능 측정의 진단적 유용성 (A Tapping the usefulness of Whole Blood Interferon-${\gamma}$ Assay for Diagnosing Tuberculosis Infection in Children)

  • 순유진;임백근;김황민;남궁미경;차병호;어영;전진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8권5호
    • /
    • pp.280-285
    • /
    • 2010
  • Background: $QuantiFERON^{(R)}$-TB Gold In Tube (QFT-G IT) has been used for diagnosing latent tuberculosis infection and active tuberculosis (TB) since 2007.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data on QFT-G IT for universal use in childre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linical usefulness of the QFT-G IT in pediatric practic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clinical records of 70 patients younger than 18 years of age who had taken QFT-G IT and had a tuberculin skin test (TST) between July 2007 and July 2009 at Wonju Christian Hospital.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symptomatic TB exposure group and disease group. Four patients who were taking immunosuppressants during the study period were excluded. Results: A total of 66 immunocompetent childr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mong 27 asymptomatic children who had contact histories of TB, 6 (22.2%) were found to be positive by QFT-G IT. Eleven (40.7%) and 5 (18.5%) children were found to be positive by TST with cutoff values of ${\geq}5mm$ and ${\geq}10mm$, respectively. Agreement was fair to good between QFT-G IT and TST (${\kappa}=0.59$: cutoff value ${\geq}5mm$, ${\kappa}=0.7$: cutoff value ${\geq}10mm$). In disease group, 14 patients (35.9%) were diagnosed with active tuberculosis, 8/14 (57.1%) were positive on TST and 9/14 (64.3%) on QFT-G IT. The positive rate of acid-fast bacilli smear, TB-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culture for tuberculosis was 11% (1/9), 27.3% (3/11) and 33.3% (3/9), respectively. Conclusion: Our data support that the QFT-G IT can be used as an additional diagnostic tool for latent and active tuberculosis infection in children.

CSR 활동이 벤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의 성장단계를 구분하여 (The Effect of CSR on Venture Companies' Managerial Performance: Considering Corporate Growth Stage)

  • 천동필;우청원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1호
    • /
    • pp.225-235
    • /
    • 2020
  • 한국 정부는 기술기반 창업 및 벤처기업의 육성에 노력하고 있으며, 다양한 지원 정책은 생존율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이와 함께, 기업의 기본가정인 계속기업의 가정을 위한 지속가능경영을 가능하게 하는 전략적 수단의 발굴 또한 중요하다. 국내·외 연구에서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이하 CSR)을 주요 전략 수단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CSR 활동이 벤처기업에 적용이 가능한지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한 탐색적 연구이다. 기존의 선행연구들은 대기업 중심, 설문조사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기업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한계점이 존재한다. 기존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의미있는 시사점을 제안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정부승인통계 원시자료를 기반으로 벤처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기업의 성장단계를 고려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2018 벤처기업정밀실태조사 원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를 구분하여 성장단계 별 CSR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자료포락분석 (Data envelopment analysis, 이하 DEA)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창업기 및 초기성장기에서는 CSR 활동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고도성장기 부터 적극적인 CSR 활동을 수행한 기업이 CSR 활동을 하지 않은 기업과 비교하여 경영성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고도성장기 부터 벤처기업의 규모효율성은 CSR을 하지 않았을 때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벤처기업의 CSR 활동이 고도성장기 이후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규명한 진취적인 연구이며, 관련 정책 및 현업 의사결정자들에게 CSR 활동이 경영성과 제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전략적 방안임을 제안한데에 그 의의가 존재한다.

소셜 컴퓨팅을 위한 연구·학습 주제의 계층적 지식기반 구축 (Building Hierarchical Knowledge Base of Research Interests and Learning Topics for Social Computing Support)

  • 김선호;김강회;여운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489-498
    • /
    • 2012
  • 본 논문은 연구 학습 주제 지식베이스를 통한 소셜컴퓨팅 지원에 관한 연구로 두 가지 하부 연구로 구성되었다. 첫 번째 연구는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전자 도서관 이용자들의 연구 및 학습 주제를 추출하기 위해 분야별로 분류가 잘 되어 있는 NDLTD Union catalog의 석박사 학위 논문 (Electronic Theses and Dissertations : ETDs)을 분석하여 계층적 지식베이스를 구축하는 연구이다. 석박사 학위 논문 이외에 ACM Transactions 저널의 논문과 컴퓨터 분야 국제 학술대회 웹사이트도 추가로 분석하였는데 이는 컴퓨팅 분야의 보다 세분화된 지식베이스를 얻기 위해서이다. 계층적 지식베이스는 개인화 서비스, 추천시스템, 텍스트 마이닝, 기술기회탐색, 정보 가시화 등의 정보서비스와 소셜컴퓨팅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의 두 번째 연구 부분에서는 우리가 만든 계층적 지식기반을 활용하여 4개의 사용자 커뮤니티 마이닝 알고리즘 중에서 우리가 수행중인 소셜 컴퓨팅 연구, 즉 구성원간의 결합도에 기반한 추천시스템에 최상의 성능을 보이는 그룹핑 알고리즘을 찾는 성능 평가 연구 결과를 제시하였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서 우리가 제안하는 연구 학습 주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방법이 기존에 사용자 커뮤니티 마이닝을 위해 사용되던 비용이 많이 필요하고, 느리며, 개인정보 침해의 위험이 있는 인터뷰나 설문에 기반한 방법을 자동화되고, 비용이 적게 들고, 빠르고, 개인정보 침해 위험이 없으며, 반복 수행시에도 일관된 결과를 보여주는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KFD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위한 동영상 이벤트 분석 및 검색 시스템 (Video Event Analysis and Retrieval System for the KFD Web Database System)

  • 오승근;임영희;정용화;장진경;박대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0-29
    • /
    • 2010
  • KFD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가족미술치료사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방대한 평가 자료의 관리 및 효율적인 사정평가 과정의 지원을 위해 개발된 프로토타입 시스템이다. 그러나 KFD 웹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은 내담자가 그림을 그리는 동안의 행동패턴, 얼굴 표정, 그리고 음성 정보등과 같은 중요한 관찰요소들에 관한 정보는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웹 카메라와 그림판 툴을 이용하여 내담자의 KFD 작업 과정을 녹화하고, 녹화된 영상 내의 주요 이벤트들을 인덱싱하여 가족미술치료사가 KFD 동영상을 분석하고 검색할 수 있도록 온톨로지 기반의 이벤트 분석 및 검색 시스템을 제안한다. 즉 새롭게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가족 구성원에 관한 내담자의 이벤트 및 행동분석에 관한 요약 보고서와 함께 비디오 검색 서비스가 제공된다. 제안된 KFD 동영상 내의 이벤트 분석 및 검색 시스템은 가족치료사에게 내담자의 작업태도 및 행동, 그리고 KFD 작성과정에 대한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강화된 KFD 사정 평가를 지원할 수 있다.

화병역학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한 화병 환자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Hwa-byung Patients Based on Hwa-byung Epidemiologic Data)

  • 김종우;정선용;서현욱;정인철;이승기;김보경;김근우;이재혁;김낙형;김태헌;강형원;김세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7-169
    • /
    • 2010
  •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Hwa-Byung(HB) patients, draw the clinical key issue of HB, and provide the data as the basis for development of Clinical Guideline of HB. Methods :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51 subjects who thought they have HB in 9 site. For all patients, we used HB epidemiologic study protocol, which include the Korean version of the Structured Clinical Interview for the DSM-IV Diagnosis (SCID-1), diagnostic criteria of HB, symptoms check list, pattern identification tool, psychiastric psychological questionaires, and Framingham coronary risk score(FRS). Results : 1. For all participants, 62 % of subjects were diagnosed with HB. These patients had comorbid DSM-IV diagnoses with depression (65%) and anxiety (27%). But 22% of these patients had only HB. 2. HB patients had various physical symptoms when visiting, were diagnosed as various disease, and undergone medical treatments in the past. Among the diagonsed illness, Gastronitestinal diseases (51.6%), psychiatric disorders(40.9%), endocrine diseases(39.8%) were being the most frequent. The frequent physical symptoms of HB patients reported were chest discomfort, head ache, pallpitation, frequent sigh, amnesia, shoulder pain, dry mouth, eye fatigue etc. 3. HB patients had high scores in psychologic questionares, CES-D, STAI, and STAXI. It means that HB patients might be low-level emotional stability. 4. Participant had negative opinion about the treatment of HB that it would be difficult or impossible (65.7%), but they neglect the need of medical treatment. Conclusions : This result shows that HB is comorbid with various psychiatric disease, but it has different physio-psychological symptoms from others and there were only HB patients. so we identify HB is independent disease. Moreover, there were the wrong perception of HB which blocking treatments. These problems support that the neccesity of development of Clinical Guideline of HB.

뇌졸중 및 노인 환자의 퇴원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Discharge Assessment Tool in Stroke and Elderly Patients: A Systematic Review)

  • 황나경;유은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3호
    • /
    • pp.7-21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와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퇴원 시기에 이루어지는 평가도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해 평가 항목과 평가도구들을 분석하여 효율적인 퇴원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문헌 선정은 PubMed, Medline Complete(EBSCOhost), Scopus를 사용하여 2009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의 온라인 데이터에 등록된 연구를 대상으로 최종 22편의 연구를 선정하였고, 연구 설계 및 퇴원 시 주요 평가영역, 하위영역, 평가도구들을 분석하였다. 결과 : 선택된 연구들의 연구 설계 형태는 기술적 연구가 13편(59.2%)으로 가장 많았다. 퇴원 시 평가 영역은 의학적 상태, 일상생활활동, 삼킴 기능, 감각, 이동성, 인지·지각, 의사소통, 감정상태, 가정환경, 환자의 지식과 퇴원을 위한 준비, 사회적지지, 안녕감 등 12개 영역으로 나타났다. 평가 영역에 따라 사용된 평가도구를 분석한 결과, 가장 높은 빈도의 사용을 보이는 평가도구는 일상생활활동을 평가하는 Barthel Index,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안녕감을 평가하는 Short Form Health Survey, 이동성을 평가하는 Timed Up and Go test 등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뇌졸중, 노인 환자의 퇴원 시 이루어지는 다양한 평가 영역과 평가도구의 사용과 제한적이나 여러 영역을 포괄하는 평가도구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뇌졸중 환자의 퇴원 시 고려되는 평가 영역과 효과적인 평가도구의 선택을 돕고 적절한 퇴원계획 중재와 제안을 위한 포괄적인 평가도구의 개발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청소년의 미디어 사용을 통한 정보 행태에 관한 연구 - 다문화 가정 자녀를 중심으로 - (A Study of Young Adults' Information Behavior and Media Use: Focusing on the Children of Families with Immigration Background)

  • 임여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0권3호
    • /
    • pp.455-490
    • /
    • 2016
  •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마주하고 있는 사회적, 문화적 요인이 그들의 일상 정보 행태, 특히 미디어 사용을 통한 정보 행태에 미치는 영향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13세에서 18세 사이의 다문화가정 청소년 11명을 대상으로 정보요구기록지, 미디어 이용에 관한 설문조사, 두 차례에 걸친 심층 면담이 실시되었으며, 이를 통해 얻은 자료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일상 문제 상황과 미디어를 통한 정보 요구 해결의 양상을 다각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일상의 문제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정보의 주제는 학업, 여가, 외모, 자기개발, 생활, 진로 등이었으며, 특히 학업과 여가에 대한 정보 요구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에 참가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정보 요구의 해결을 위해 능동적으로 미디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들에게 미디어는 심리적 도피처이자 안식처였고, 자기표현을 위한 도구였으며, 지식과 생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해답의 책이자 여가 시간의 동반자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미디어 이용 관련 방안들은 추후 도서관에서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한 서비스를 기획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U-City 전략 성과 참조모델로서의 운영성과 측정 지표체계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Reference Model (PRM) for Ubiquitous City Operations)

  • 박동완;이정훈;김재민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25-44
    • /
    • 2010
  • 도시공간에 구현되는 새로운 미래도시 상으로서 유비쿼터스 서비스, 인프라, 기반기술 및 도시 관리 차원이 총체적으로 융합된 U-City는 범국가적 비즈니스 모델로 정부와 개별 지방자치단체에 의해 추진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 및 개별 지방자치단체가 추진한 U-City를 평가하고 그 파급효과를 측정할 명확한 체계가 구축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U-City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성과측정은 U-City 비전 및 정책 목표의 달성을 지원하며, 성과기반의 예산 편성 및 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지원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U-City 운영에 관한 사업의 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객관적이고 종합적인 성과측정체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문헌연구와 전문가 인터뷰를 이용한 탐색적 연구를 통하여 U-City 서비스, 인프라, 기술, 관리 등의 성과측정 영역 및 각 영역별 핵심성공요소(CSF)와 핵심성과지표(KPI)를 도출하였다.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지표 분류 체계와 내용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AHP 기법을 이용하여 지표간의 전략적 실행우선순위를 위한 가중치를 도출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U-City성과 전략맵 도출' 단계에서는 성과측정 영역 및 핵심성공요소를 대상으로 해당 U-City의비전 및 목표를 성취하는데 최단경로를 제시할 수 있는 인과관계를 도식화 하게 된다. 향후 도출된 U-City 성과측정체계를 실제 U-City에 적용시켜 검증함으로써 완성도를 높여 나감 은 물론, 유용성을 가시화할 수 있겠다.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가 말기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Effects of Integrated Palliative Care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in Terminal Cancer Patients: A Meta-analysis)

  • 조계화;박애란;이진주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8권2호
    • /
    • pp.136-147
    • /
    • 2015
  • 목적: 본 연구는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연구가 말기 암환자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크기를 분석하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방법: 말기 환자와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 및 연구 설계를 나타내는 용어들을 병합하여 PubMed, Cochrane Library CENTRAL, LWW (Ovid), CINAHL 및 국내 데이터 베이스에서 검색하였다. 논문의 질평가는 RCT 연구인 경우 RoB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Non-RCT 연구인 경우는 RoBANS를 사용하였다. 중재의 효과크기는 Stata 10 프로그램으로 메타분석 하였다. 결과: 8편의 연구가 최종선정 되었으며, 총 대상자의 수는 356명이었다.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는 평균 6.5주, 5.6 세션으로 이루어졌으며, 한 세션당 평균 47.8분이 소요되었다. 효과는 동질성 및 하위그룹 분석을 실시하였다.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의 효과는 삶의 질(ES=1.83, P=0.018, $l^2=92%$), 영적 안녕(ES=0.78, P=0.040, $l^2=0$), 우울(ES=0.86, P<0.001, $l^2=32$) 및 불안(ES=0.69, P=0.041, $l^2=71.1$)에서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말기암환자의 통증(ES=0.365, P=0.230, $l^2=69.8$)에는 효과가 없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는 비록 통증은 완화시키지는 못했으나 우울과 불안을 감소시키고 영적 안녕과 삶의 질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적 완화 돌봄 중재는 말기암환자의 사회심리영적 차원의 삶의 질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본다.

한국 시민과학의 현황과 과제 (The Current State and Tasks of Citizen Science in Korea)

  • 박진희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8권2호
    • /
    • pp.7-41
    • /
    • 2018
  • 정부 기관 혹은 과학협회에서 비전문가 시민으로 하여금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하는 활동에서 유래하고 있는 시민과학은 현재 프로젝트마다 과학자와의 협력 내용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생물종 개체수 조사 등 생태, 환경과학 영역에 집중되고 있던 시민과학 연구 내용은 천문학, 분산 컴퓨팅, 강입자물리 영역까지 확장되어갔다. 시민과학은 시민 자원 봉사자들에 의한 데이터 수집으로 비용 효과적으로 과학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해주어 과학 연구 진전에 기여할 수 있었다. 또한 시민과학은 프로젝트에 참여한 시민들의 과학지식을 증진시키며 대중의 과학 이해를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밖에 공동체 주도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지역 환경 이슈에 대한 공중의 인식을 향상시키고 환경 문제 해결에의 시민 참여를 장려하는 역할을 했다. 지역 시민들의 경험지에 근거하는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지역 환경 정책 결정 및 실행에 직접적인 도움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시민과학의 교육, 사회 정책적 가치로 인해 각국 정부들에서는 시민과학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수립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시민과학의 사회적 역할에 주목하여 정부 주도의 시민과학 프로젝트들이 기획, 실행되고 있다. 시민의 자발적인 참여에 의해 다양한 프로젝트들이 실행되고 있는 국외와 달리 국내에서 진행되는 시민과학 활동은 아직 주제 영역이 제한적이며 활동의 주체로서 과학자나 시민 참여가 아직은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주도의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통해 시민 참여가 늘어나고 또한 과학자들도 시민과학의 가능성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중요해 보인다. 과학자에 대한 평가제도를 개선하여 시민과학 참여를 증진하는 방안도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공공 주도 시민과학 프로젝트 운영을 시민 참여 강화에 맞추어 세밀하게 기획할 필요가 있다. 시민단체 주도의 자연조사 활동이 시민과학으로서 실질적으로 과학 연구, 나아가 환경 정책에 기여할 수 있도록 오픈 데이터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시민과학 프로젝트 경험을 공유, 확산할 수 있는 시민과학 네트워크 구축에도 노력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