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ilet tissue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초

섬유 분별과 혼합 방법에 의한 신문고지로부터 화장지의 제조 (Manufacture of Toilet Tissue from Old Newspaper by Fiber Fractionation and Blending)

  • 고경무;백기현
    • 펄프종이기술
    • /
    • 제33권2호
    • /
    • pp.8-16
    • /
    • 2001
  • To manufacture toilet tissue with ONP (old newspaper), the effect of fractionation fiber (R150, R100, R70 mesh) and bleaching(P, PY), blending (70/30) with MOW(mixed office wastepaper) or WL(white ledger) and the addition of softener on the opt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were studied. Considering the pulp yield, brightness and strengths, fibers of R100 mesh fraction were proper to be produced to toilet paper from ONP. This pulp showed the pulp yield of 76.8%, brightness of 50.2% ISO and tensile index of 21.1 Nm/g. By the bleach with P and PY stages, the brightness of the pulps increased up to 60.3% ISO and 61.8% ISO, respectively. When blended with MOW (57.3% ISO) or WL (76.2% ISO), the brightness of the former increased up to 58.5% ISO, the latter up to 63.6% ISO. The strengths of pulp blended with WL were higher than those of fractionated pulp from 100% ONP,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trengths between fractionated pulp and blended pulp wth MOW. While the addition of softener improved the softness of paper, but it decreased strengths of pulp and extended dispersing time in water.

  • PDF

A SPECTROSCOPIC STUDY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VARIOUS PAPERS MADE FROM RECLAIMED FIBRES

  • Ingegerd Forsskahl;Carola Olkkonen;Henrik Tylli
    • 한국펄프종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펄프종이공학회 1999년도 Pre-symposium of the 10th ISWPC Recent Advances in Paper Science and Technology
    • /
    • pp.296-301
    • /
    • 1999
  • Different papers such as toilet and towel tissue, newsprint and copy paper made from reclaimed fibres were characterized using UV-VIS reflectance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The emission properties of the extracts of the papers were also evaluated. Photochemical irradiation at ambient temperatures, and thermal aging of the copy papers at 105$^{\circ}C$ and 150$^{\circ}C$ were performed. Post-colour numbers (PC) were calculated from the reflectance values measured from the corresponding UV-VIS reflectance spectra. Light absorption coefficient spectra were calculated before and after irradiation, and the changes in absorption coefficient were related to the content of chromophores in the papers. Photochemical and thermal discolouration of the copy papers, similar to that of virgin fibres, was readily observed. The influence of changes in the concentrations of fluorescent brightening agents and dyes on the spectral properties was also assessed. Photostabilization studies of the copy papers were performed with the use of polymer additives polyethylene glycol (PEG) and polytetrahydrofuran (PTHF).

Microbial Characterization of Excessive Growing Biofilm in Sewer Lines Using Molecular Technique

  • LEE YOUNG-OK;PARK JIN-HWA;PARK JAE-K.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5호
    • /
    • pp.938-945
    • /
    • 2005
  • For elucidating excessive growth of biofilm that subsequently leads to the clogging problem in a small town's sewer lines of Wisconsin, the FISH method was employed. At the beginning of the simulated experiments, ${\beta}$-subclass proteobacteria prevailed in runs fed with industrial wastewater, while ${\gamma}$-subclass proteobacteria dominated in runs with domestic wastewater. However,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changed significantly over six weeks; Cytophaga-Flavobacterium (CF)­group bacteria dominated in most runs fed with the small town's wastewater regardless of their source, while CF-group decreased strongly in run fed with domestic sewage from another city (Madison). It was also microscopically confirmed that most of those clogging materials was toilet tissue, which in turn may lead to vigorous growth of cellulose-degrading CF-group bacteria. This dominant presence of CF-group bacteria in the small town's sewer indicates that the main constituent of biofilm, toilet tissue (cellulose) in sewage, might have induced the unique pattern of their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Therefore, it suggests that molecular technique is useful for monitoring the clogging problems in sewer lines.

공중화장실 복합악취 및 개선에 관한 연구 (대전광역시 동구) (A Study about Improvement of Multiple Odor of Public Toilet (Dong-gu, Daejeon))

  • 조수준;신재영;오상수;유대영;이성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40-245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전광역시 동구를 중심으로 공중화장실에 대하여 악취강도를 공기희석관능법과 기기분석을 통하여 공중화장실관리 및 악취저감대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악취희석배수는 소변기실에서 10~669, 대변기실에서는 31~464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한편 민원이 발생할 수 있는 악취강도 2.5도 이상의 악취가 발생하는 곳은 6개소(33%)로 조사되었다. 수세식 발효식 재래식처리방식의 대변기실과 설치년도에 따라 악취강도는 차이가 있으나, 화장실 면적은 차이가 없다. 악취원인물질 확인을 위한 6개 공중화장실을 대상으로 기기분석결과 NH3 최대농도는 2.04 ppm, 평균농도는 0.67 ppm이며, $H_2S$, $CH_3SH$, $(CH_3)_3N$는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식과 재래식공중화장실에는 비누, 방향제, 쓰레기통이 없었다. 화장지는 수세식 화장실의 50%에만 있었다.

고등학생의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의 성별에 따른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Food Hygiene Attitude and Personal Hygiene Manag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Gender)

  • 김숙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207-21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고등학교 학생들의 식품위생 태도와 개인위생 관리에 관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2015년 7월 16일부터 10월 15일 까지 충남지역 16개 고등학교의 학년 당 30명씩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미회수 및 불충분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1,214 부(남 618, 여 596)에 대해 SPSS(ver 18.0)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연구 결과, 여학생은 남학생보다 식품을 살 때 유통기한을 더 확인하고(3.78, 3.57), 가열했던 식품을 보관한 후 그대로 먹는다는 응답이 적었고(2.83, 3.02), 식품의 특성에 맞게 보관 저장한다(3.92, 3.72)고 하였다. 반면,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식품포장 표시사항을 자세히 살피고(3.34, 3.22), 음식을 먹을 때 개인접시를 꼭 사용한다(3.43, 3.32)고 응답하였다.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화장실 다녀온 후 항상 손 씻기(4.25, 3.94)를 잘하였고, 정수기 이용할 때 개인 컵을 더 사용(3.45, 3.32)하고, 손톱을 더 청결하게 관리(3.61, 3.49)하였으며, 식사도중에 돌아다니거나(2.14, 2.53) 화장실에 간다는(2.22, 2.57)응답이 낮았다. 남학생은 여학생보다 식사 전 손 씻기(3.64, 3.50)와 올바른 방법으로 손 씻기(3.58, 3.46)를 잘하고, 기침을 할 때 휴지, 손수건 또는 소매로 잘 막는 편(3.55, 3.37)이라고 응답하였다. 본 연구에서, 고등학생은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 부분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보였고, 각각 개선이 필요한 부분이 다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별에 따라 차별화된 식품위생태도와 개인위생관리에 대한 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종이팩의 재질·구조 개선을 위한 연구 -EPR 대상 품목을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in Quality of the Paper Packaging Material and Structure -Focusing on EPR Items-)

  • 송기현;고의석;조수현;권오철;김재능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9-26
    • /
    • 2015
  • 종이팩 포장재는 크게 살균팩(Gable top carton)과 멸균팩(Aseptic carton)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현재 종이팩 재활용 공정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알루미늄 호일이 첩합된 종이팩이 화장지를 제조하는 재활용 공정에 유입될 경우 제품의 품질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최근에는 종이팩 상단의 마개나 종이팩 옆면의 스트로우 합성수지와 같은 성형구조물을 부착한 포장용기가 많이 판매되고 있는데, 이러한 성형구조물은 재활용에 방해가 되는 요인 중의 하나이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부는 2014 '포장재 재질 구조 개선 등에 관한 기준'을 고시하면서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재(1등급), 재활용이 어려운 포장재(2, 3등급)로 구분하여 포장재 설계 시 가이드라인이 될 수 있도록 관련 지침을 발표하였다. 종이팩 몸체의 알루미늄 첩합(2등급)을 실리카 증착 등 투명필름 차단제(1등급)로 변경 시 재활용 공정 중 선별 작업의 효율화 및 재활용 수율의 증가를 통해 재활용 경제성을 증가 및 재생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파급효과가 예측되었다. 또한 종이팩의 잡자재를 합성수지 성형 구조물(2등급) 사용을 제외할 시에도 펄프 회수율 상승과 재생 원료의 품질을 향상, 재활용 공정 중 선별 작업의 효율화를 통해 재활용 경제성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측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