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ddlers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9초

걸음마기 아동의 순종행동에 관련된 변인들 : 아동의 성, 연령, 기질,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요구내용을 중심으로 (Variables related to Toddler's Compliance : Child's Gender, Age, Temperament, Mother's Parenting and the Content of Demands)

  • 박성연;신영아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1-20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determine the relations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characteristics (i.e. temperament) and maternal behaviors (parenting and the content of demands) and the child's compliance. Data were gathered from 153 mothers of toddlers in Seoul, via questionnaires. The major principal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Neither gender nor age differences was found were observed in toddlers' compliance. Correlation analyses revealed significant relations relationships between both a child's emotionality and the mother's parenting, and a child's compliance. That is, in cases in which the child's emotional reactivity and the mother's authoritarian parenting were high, the child evidenced lower compliance, the child showed whereas the higher the mother's authoritative parenting were was, the higher compliance the child showed display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s analysis indicated that maternal demands on 'caring' was constituted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 to predict for the prediction of toddlers' compliance, and child activity level and maternal authoritative parenting behavior were also significant variables.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의 행동문제 관련요인 (Related Factors for Behavioral Problems in Toddlers Born Prematurely)

  • 안영미;이상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2권1호
    • /
    • pp.45-53
    • /
    • 2016
  • Purpose: The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behavioral problems in toddlers who were born prematurely and to analyze related factors. Methods: A cross-sectional explorative study was conducted with 72 preterm birth (PTB) children at 24 to 41 months of corrected age who were born at 28 to 37 weeks' gestation. During home visits, behavior problems were assessed using the Behavior Rating Index for Children (BRIC). Using a BRIC score of ${\geq}30$, children with suspected behavior problems were grouped in the non-regular behavior group. Results: Of the children, 38.9% belong to the non-regular behavior group. The mental development index score for the Korean-Bayley Scale of Infant Development- II was higher for the non-regular behavior group compared to the regular behavior group (t=2.26, p=.027).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lower maternal attachment (<96, OR=3.4, 95% CI[1.1, 10.4]) and higher parenting stress (${\geq}97$, OR=4.8, 95% CI[1.3, 17.3]) were independently related to non-regular behavior. Conclusion: PTB Toddlers are at risk for behavior problems which are associated with low cognitive performance. Maternal-child attachment and maternal parenting stress were strongly related to behavior problems in these children. More attention is needed to understand possible behavior problems in young children with PTB, particularly focusing on maternal-child interaction and maternal mental well-being.

걸음마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모-아 상호작용과 관련변인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 정미라;이방실;권정윤;박수경;강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715-728
    • /
    • 2012
  • This research aims at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toddler interaction and its related variables. A total of 49 toddlers and their mothers were participated and observed in the child lab during free play.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involvement' was frequently used in comparison with the 'rejection' was the hardly used in their interaction. Second, the mothers' sensitivity, parenting stress, and the mother-toddler interaction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mothers' job status or gender of toddlers. However, their parenting stress was lower in working mothers or mothers who have girls. Third, mother-toddler interact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mothers' sensitivity, parenting stress, parenting style, and the temperament of toddlers. On the basis of this results, the implication related to the variables influencing mother-toddler interaction was discussed.

영유아 어머니와 간호학 전공 대학원생의 영유아 건강증진행위 중요도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according to Mothers of Children in this Age Group and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 방경숙;권미경;최미영;허보윤;정소피아지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8권2호
    • /
    • pp.60-67
    • /
    • 2012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the importance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as perceived by mo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and to provide information for health promotion in early childhood.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urvey research study. The participants were 91 mo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115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Results: The comparisons showed that graduate students in nursing reported higher perception of the importance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infants and toddlers than did the mothers.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 highest score was in the category of safety. Conclusion: Providing information by nurses is necessary to promote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mothers of children in early childhood.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healthcare professionals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for these mothers who want to promote goo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their children.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fants' and Toddlers' Temperament and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on Parenting Behavior)

  • 김미정;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3-271
    • /
    • 2011
  • 본 연구는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를 자녀로 둔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직 간접적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부산시, 대구시, 대전시의 영아기와 걸음마기 유아의 어머니 232명이며 어머니의 양육행동 척도, 양육효능감 척도, 유아의 기질 척도가 사용되었다. 예비조사를 거쳐 본 조사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척도의 신뢰도를 산출하고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도를 검증한 후 연구문제에 따라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 및 허용 방임적 양육행동에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비하여 어머니의 권위주의적 통제 양육행동에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애정과 허용 방임 양육행동의 경우 유아의 기질이, 권위주의적 통제 양육행동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가장 큰 인과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써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애정 및 권위주의적 통제 및 허용 방임 양육행동에 대한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며 유아의 기질과 어머니의 양육행동 간에 매개역할도 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아의 기질은 어머니의 애정 및 허용 방임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어머니의 애정 및 허용 방임 양육행동의 경우 유아의 기질이 권위주적 통제 양육행동의 경우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더 중요한 예측변인임을 알 수 있다.

어머니가 인식하는 만 1세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Mother's Perceived the Adaptation Process and Program of One-year-old Toddlers in Daycare Center)

  • 정효진;최현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99-113
    • /
    • 2019
  • 본 연구는 만 1세 영아를 둔 어머니가 인식하는 어린이집 초기 적응과정 및 적응프로그램에 관하여 서울시에 거주하며 첫 아이가 18개월 또는 20개월에 어린이집에 처음 입소한 4명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이다. 집단 및 개별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둘째 임신 또는 입소통보전화를 받고 갑작스레 어린이집 입소를 결정하게 되었으며 자녀의 입소를 위해 어린이집 첫 방문 시 30분 내외의 짧은 시간 어머니가 본 교사의 인상과 말투, 표정 등이 어린이집을 선택하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분리불안 행동을 보이는 영아뿐 아니라 어머니도 적응과정을 겪었다. 어머니와 교사의 소통과 노력을 통해 어머니들은 영아가 적응해나감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만 1세 영아의 적응과정을 통해 어머니가 인식한 적응프로그램의 차이에 대해서는 기관별로 프로그램 안내 및 실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어린이집 유형과 상관없이 보편적이고 통합적인 적응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가수준의 만 1세 영아를 위한 어린이집 적응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 (A Study on Correlation of Sensory Processing ability With Feeding of Preterm Infants and Toddlers)

  • 김미수;김경미;장문영;홍은경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1-40
    • /
    • 2019
  •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차이를 비교하고 조산으로 출생한 영유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의 대상자는 107명으로 조산아 51명, 만삭아 56명이었다. 감각처리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영유아 감각프로파일 2(Infant/Toddler Sensory Profile 2; ITSP 2)를 사용하였고 섭식을 평가하기 위해 아동섭식행동평가(Behavioral Pediatrics Feeding Assessment; BPFAS)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조산아와 만삭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 상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 조산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을 비교한 결과 감각특성 중 감각예민(p=.019), 하위영역 중 구강감각처리능력(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조산아와 만삭아의 섭식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 조산아의 감각처리특성 중 감각회피(r=.443), 감각예민(r=.374)은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각처리 하위영역 중 일반적 행동(r=.390), 구강감각처리(r=.513)는 섭식빈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구강감각처리(r=.529)는 섭식문제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조산아와 만삭아의 감각처리능력과 섭식에서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조산아의 감각처리능력은 섭식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조산아의 섭식을 이해하기 위해 감각처리능력이 중요하다는 근거를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대물 다툼 상황에서 2세아의 또래 갈등 과정 분석 (Processes in Peer conflicts of Two-Year-Olds: Disputes over Objects)

  • 이강이;이순형
    • 아동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79-97
    • /
    • 1999
  • This study investigated interactions of two-year-old toddlers in peer conflicts caused by disputes over objects. Thirty pairs of same-gender peers were recruited from 10 child care centers. The age of these toddlers ranged from 24 to 36 months. The data were collected by experimental observation. The interaction processes between the pairs of subjects were recorded by video camera. 24 pairs displayed peer conflict over objects. The data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employing content analysis and the SPSSW in 6.0. Major findings showed that when the toddler was in conflict with a peer for toys, (1) he or she interacted actively with the other child, employing both non-verbal and verbal strategies to resolve the conflict; (2) behaviors and statements reflected an egocentric tendency; (3) they recognized ownership of toys; and (4) he or she employed some prosocial strategies which could provide a basis for developing social skills in a conflict situations with peers.

  • PDF

걸음마기 아동의 정신건강 위험요인 선별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for the Mental Health Screening of Toddlers)

  • 이정화;이소희
    • 아동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95-213
    • /
    • 2006
  • Development of the 3 scales comprising the present research was based on review of literature, existing screening scales, and empirical research pertaining to (Scale I) the development of social and emotional problems of children, (Scale II) parent-child relations, and (Scale III) assessment of children's environment. Professionals in each area approved a draft of the new screening scale. The clinical group was classified into normal and at-risk groups based on the Denver II scale and the Child Behavior Check List(ages 1.5-5). The clinical groups were administered the newly developed screening scale to see whether the same classification pertained. Results proved the cross-validity of the new sc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