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tratable acid

검색결과 503건 처리시간 0.028초

마카 열수추출물 첨가가 요구르트의 품질 및 항산화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Addition of MACA (Lepidium meyenii) Hot Water Extract on the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 정해정;추영란;박한나;전인숙;강용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34-341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ogurt containing hot water extract from maca. Four different levels (0, 4, 8, 12%) of maca extract were added to milk followed by fermentation with lactic acid bacteria at $37^{\circ}C$ for 12 hrs, and the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amples were investigated. During 7 days of storage at $4{\pm}1^{\circ}C$, the acid production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the yogurt increased with the addition of maca extract. The Hunter L value (lightness) decreased, while the b value (yellowness) increased as the maca extract level in the yogurt increased. Viable cell cou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samples. The results of consumer acceptance tests showed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acceptabi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yogurts containing 4% and 8% of maca extract and a control yogurt. The yogurt containing maca extract exhibited higher DPPH radical and superoxide an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an the control yogurt over the storage period.

우유와 대두단백질을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에 관한 연구 (Study on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Soy Protein)

  • 김혜정;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700-706
    • /
    • 1990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대두단백질을 2% 첨가하여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만들고,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과 비교하여 대두단백질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커드상 요구르트의 품질(관능성,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HPLC를 이용하여 커드상 요구르트의 몇 가지 유기산을 분석하였다. 대두단백질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탈지분유를 첨가한 경우보다 촉진되었는데,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의 촉진효과가 현저하였다. 접종된 4종의 젖산균 (Lactobacillus 3종, Leuconostoc 1종) 중에서는 Leuc. mesenteroides와 L. bulgaricus의 산생성도가 높았다. HPLC에 의한 유기산 분석에서는 우유나 2% 대두분을 첨가한 우유에 L. bulgaricus를 접종하여 24시간 발효하는 동안 lactic acid와 acet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생성되어 그 양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으나, 우유 중에 들어있는 citric acid는 젖산균에 의해 이용되어 그 양이 현저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성된 주요 유기산은 lactic acid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표준시료에 비하여 대두단백질 첨가 시료의 관능성은 저조하였으며, 대두단백질 중에서는 농축대두단백이나 분리대두단백 첨가 시료가 탈지대두분이나 대두분 첨가 시료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드상의 요구르트를 2주일간 $5^{\circ}C$ 냉장고에 저장하는 동안 산생성과 pH, 생균수에 거의 차이가 없어 저장성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가수분해도가 상이한 현미 가수분해물에서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균주 발효물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Fermented Brown-Rice Suspension Prepared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KC51 Strain)

  • 인만진;오남순;김동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8호
    • /
    • pp.1118-1123
    • /
    • 2009
  • 쌀을 이용한 새로운 probiotic food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연구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호화시킨 현미 현탁액에 $\alpha$-amylase, $\alpha$-amylase와 glucoamylase를 처리한 후 동결 건조하여 가수분해도가 상이한 현미 분해물을 제조하였다. 김치에서 분리한 유산균인 Ln. mesenteroides KC51 균주를 4%(w/w) 현미 분해물 현탁액에 진탕배양하면서 현미의 가수분해도가 산의 생성, 균의 생육과 phytate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동시에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현미 분말 현탁액을 대조군으로 비교하였다. 배양액의 pH는 현미의 가수분해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alpha$-amylase와 glucoamylase로 분해한 경우 접종 후 15시간에 pH 3.41로 급속히 감소하였다. 이때 배양액에 젖산과 초산이 각각 0.327%와 0.200% 함유되어 있었다. 적정산도의 변화도 pH의 변화와 유사하게 가수분해도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모든 현미의 분해물에서 Ln. mesenteroides KC51 균주는 접종 후 6시간에 $4.0\sim7.2{\times}10^8$ CFU/g 수준까지 증가한 후 생육에 큰 변화는 없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접종 9시간 후 생균수가 다소 감소하였다. 항영양인자인 phytate의 함량은 현미가수분해도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여 $\alpha$-amylase와 glucoamylase로 분해하여 가수분해도가 가장 높은(48.2%) 경우 phytate의 약 50%가 분해되었으며 $\alpha$-amylase로 처리하여 가수분해도가 낮은(22.5%) 경우에서는 거의 분해되지 않았다. Ln. mesenteroides KC51 균주 배양액의 저장성은 $4^{\circ}C$에서 14일간 저장 후 pH와 적정산도, 생균수는 거의 유사하였다.

산수유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Added with Sansuyu(Corni Fructus) Extracts)

  • 강병선;김장익;문성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80-19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산수유 추출물(0, 0.5, 1.0, 1.5, 2.0%)의 첨가가 요구르트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하여 $10^{\circ}C$에서 21일 동안 저장하면서 관능적,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색, 냄새, 부드러운 정도, 맛과 전반적인 기호도의 모든 항목에서 산수유 추출물 0.5%와 1.0% 첨가구가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 강도특성에서는 산수유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색, 냄새와 쓴맛이 모두 강하게 나타났고, 부드러운 정도는 낮은 점수를 받았지만, 산수유 추출물 0.5%와 1.0% 첨가구가 가장 부드러운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동안에 적정산도는 증가하는 반면 pH는 점차로 감소하였는데, pH는 대조구 보다 유의적으로 산수유 추출물 첨가구가 낮았고, 저장 0일에 산수유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많은 적정산도를 보였다. 유산균수는 각 저장일에서 첨가구별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이 결과에서 산수유 추출물 0.5~1.0%를 첨가하여 요구르트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보였다.

  • PDF

산채류를 이용한 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Beverages Drinks Using Mountain Edible Herbs)

  • 함승시;이상영;오덕환;김상헌;홍정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2-97
    • /
    • 1997
  • 산채 일반음료는 산채를 착즙하여 쥬스를 제조한 후 각종 부원료를 사용하여 최적의 배합비로 산채음료를 제조하였으며, 산채 발효음료는 Lactobacillus helveticus를 이용한 산채음료 원액과 시럽 믹스를 1 : 3으로 혼합한 다음,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한 후 요구르트 향료를 첨가하여 발효음료를 제조하였다. 이 시제품들에 대한 일반분석 실험과 저장안정성 실험을 행하였다. 산채 일반음료의 일반분석 결과 37$^{\circ}C$에서 6개월간 저장시 수리취와 고려엉겅퀴음료의 pH는 각각 3.80과 3.7, 산도는 각각 0.50 및 0.49, OD값은 각각 1.021 및 1.119 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장안정성 시험은 상온 및 37$^{\circ}C$로 구분하여 6개월간 저장하면서 pH와 색도의 경시적 변화를 측정한 결과 상온에서의 pH의 변화는 수리취가 3.96~3.95, 고려 엉 겅퀴는 3.99~3.89로 각각 0.01과 0.1정도의 미미한 변화를 보였으며, 37$^{\circ}C$에서는 각각 3.95 ~3.83과 3.98~3.87로 0.12정도의 변화폭을 보였다. 산채 발효음료의 일반분석에서는 수리 취와 엉겅퀴의 pH는 각각 3.65와 3.70, 산도는 0.57 및 0.60, S.N.F.는 3.2 및 3.1 그리고 유산균수는 각각 2.5$\times$$10^{8}$ 과 4.0$\times$$10^{8}$ 으로 나타났다. 저장 안정성 실험은 4$^{\circ}C$에서 15일간 저장 하면서 pH와 산도의 경시적인 변화를 측정하였다. 수리취와 엉겅퀴의 pH는 3.56~3.39 및 3.67~3.48로 각 각 0.17과 0.19의 차이를 보였다.

  • PDF

길경(桔梗)을 이용한 호상 요구르트 제조(製造) (Production of Curd Yogurt from Platycodon grandiflorum(Jacq.) A.DC.)

  • 이성태;김만배;김동길;류재산;이홍재;허종수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65-270
    • /
    • 1998
  • 진해(鎭咳), 거담(祛痰)의 약리작용으로 기관지 질병 치료에 효과가 있는 길경을 건강보조 식품으로 널리 애용하기 위해 탈지유와 설탕이 들어있는 기본배지에 길경을 즙, 퓨레 및 분말을 각각 첨가하고 4종의 흔합유산균주를 접종하여 호상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시 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즙, 퓨레 및 분말 상태를 각각 첨가한 호상요구르트의 최적 발효시간은 12시간 이었으며 이때 pH는 4.1, 산도는 1.15%였다. 2. 길경 첨가 상태별 관능검사에 의한 최적 첨가량은 즙은 2% , 퓨레 및 분말은 각각 1% 첨가시에 좋았으며 즙 2% 첨가가 가장 좋았다. 3. 저장기간에 따른 요구르트의 pH는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고, 산도는 약간 증가하였으며 점도는 퓨레 첨가시에 가당 높았다. 4. 생균수는 발효완료 후 대조구가 $6.2{\times}10^{8}/ml$, 즙 2% 첨가는 $4.4{\times}10^{8}/ml$, 퓨레 및 분말 1% 첨가에서 각각 $3.7{\times}10^{8}/ml$, $4.2{\times}10^{8}/ml$이었으며, 저장 9일동안 모든 시료에서 기준생균수 1억 마리 이상으로 좋은 저장성을 나타내었다.

  • PDF

Fermentation for Liquid-type Yogurt with Lactobacillus casei 911LC

  • Ko, I.H.;Wang, M.K.;Jeon, B.J.;Kwak, H.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호
    • /
    • pp.102-106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attributes for liquid-type yogurt with Lactobacillus casei 911LC during 72 h fermentation at $37^{\circ}C$. The pH decreased up to 32 h and plauteaued thereafter, and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up to 40 h.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sharply increased with $3.5{\times}10^7$ cfu/ml up to 40 h of fermentation and slowly decreased thereafter. The free amino acids produced during fermentation reached the maximum value at 44 h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Bitterness sensory scores were the highest at 44 h of fermentation. In the result of electrophoresis, the band mostly disappeared at 72 h fermentation. The present data showed that the range of optimum fermentation time for liquid-type yogurt using Lactobacillus casei 911LC was from 40 to 44 h.

떫은 감잎의 정유성분이 김치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ssential Oil in Astringent Persimmon Leaves on Kimchi Fermentation)

  • 박상규;강성국;정희종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17-221
    • /
    • 1994
  • The essential oil of astringent persimmon leaves was extracted by a gas co-distillation method and its effects on Kimchi fermentation were examined. The changes of pH and titratable acid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at 15$\circ $C generally decreased by the addition of essential oil of astringent persimmon leaves, and the growth of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Kimchi fermentation was also inhibited. The fermentation time of Kimchi reaching to the maximum number of cell counts was greatly extended as compared to that of the Kimchi fermented without the addition of essential oil. The greatest antimicrobial activity activity of essential oil of persimmon leaves was shown against Lactobacillus plantarum among varoius bacteria associated with Kimchi fermentatio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essential oil against Saccharomyces cerevisiae was much higher then that against lactic acid bacteria such as L. plantarum.

  • PDF

Nutraceutical Properties of Dioscorea opposita Thunb. (Yam) Fermented by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 Jeon, Byung Ju;Ko, Eun Jung;Kwak, Hae-Soo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2호
    • /
    • pp.69-74
    • /
    • 2012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by the ability of the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to ferment Dioscorea opposita Thunb. (yam) and to evaluate the nutraceutical value of fermented yam. The titratable acidity (TA) value increased from 2 to 6% with increased concentrations in both raw yam and extracted lactic acid bacteria (LAB) fermented yam (LFY). The viable cell counts and the allantoin and diosgenin contents were higher in raw LFY at large concentrations (6%) than in extracted LFY samples at all fermentation periods up to 32 h. Based on these data, it confirmed that raw yam fermented by the combination culture of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for various fermentation periods favors the symbiotic growth of LAB and results in higher nutraceutical content.

  • PD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casei 00692 during Fermenting for liquid-type Yogurt

  • Jeon Byung-Ju;Seok Jin-Seok;Kwak Hae-S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26-231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physico-chemical attributes of yogurt base with Lactobacillus case; 00692 during 72 hr fermentation at $37^{\circ}C$. The pH decreased up to 44 hr and plateaued thereafter, and the titratable acidity increased up to 40 hr. The number of lactic acid bacteria sharply increased with $1.0\times10^7cfu/mL$ up to 48 hr of fermentation and slowly increased thereafter. The free amino acids produced during the fermentation reached the maximum value at 40 hr and gradually decreased thereafter. In the result of electrophoresis, the band was the thickest at 44 hr and mostly disappeared at 72 hr fermentation. The present data showed that the range of optimum fermentation time for yogurt base using Lactobacillus casei 00692 was from 40 to 44 h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