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s of fermentation

검색결과 1,087건 처리시간 0.025초

Effects of Microbial Additive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arley Silage

  • Amanullah, S.M.;Kim, D.H.;Lee, H.J.;Joo, Y.H.;Kim, S.B.;Kim, S.C.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4호
    • /
    • pp.511-517
    • /
    • 2014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acterial inoculants on chemical composition and fermentation indices of barley silage. Barley forage (Youngyang) was harvested at 24% dry matter (DM) and wilted to 47.9% DM. The wilted barley forage was chopped to 3-5 cm length and applied with no inoculant (CON), L. plantarum ($1{\times}10^{10}cfu/g$, LP) or Effective Microorganisms ($0.5{\times}10^9cfu/g$, EM). Then the forages were ensiled in four replications for each treatment in 20 L mini silos and stored for 100 days. The contents of crude protein and ether extract were higher in CON silage ensiled for 100-d, while the contents of DM and crude ash were higher in EM silage (p<0.05). The contents of ADF, NDF and hemicellulose as well as the in vitro DM digestibility were not affected by microbial inoculation (p>0.05). The pH, ammonia-N concentration and lactate to acetate ratio were higher (p<0.05) in CON silage, while lactate concentrations were higher (p<0.05) in CON and LP silage. Acetate concentration and lactic acid bacteria was increased (p<0.05) by both inoculants (LP and EM), but propionate concentration and yeast was increased (p<0.05) by EM and LP,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ermentation quality of barley silage was improved by the application of bacterial inoculants.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Culture and 2-Hydroxy-4-(Methylthio)-Butanoic Acid on In vitro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s between Different Roughage Sources

  • Sun, H.;Wu, Y.M.;Wang, Y.M.;Liu, J.X.;Myung, K.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7권9호
    • /
    • pp.1285-1292
    • /
    • 2014
  • An in vitro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spergillus oryzae culture (AOC) and 2-hydroxy-4-(methylthio)-butanoic acid (HMB) on rumen fermentation and microbial populations between different roughage sources. Two roughage sources (Chinese wild rye [CWR] vs corn silage [CS]) were assigned in a $2{\times}3$ factorial arrangement with HMB (0 or 15 mg) and AOC (0, 3, or 6 mg). Gas production (GP), microbial protein (MCP) and total volatile fatty acid (VFA) were increased in response to addition of HMB and AOC (p<0.01) for the two roughages. The HMB and AOC showed inconsistent effects on ammonia-N with different substrates. For CWR, neither HMB nor AOC had significant effect on molar proportion of individual VFA. For CS, acetate was increased (p = 0.02) and butyrate was decreased (p<0.01) by adding HMB and AOC. Increase of propionate was only occurred with AOC (p<0.01). Populations of protozoa ($p{\leq}0.03$) and fungi ($p{\leq}0.02$) of CWR were differently influenced by HMB and AOC. Percentages of F. succinogenes, R. albus, and R. flavefaciens (p<0.01) increased when AOC was added to CWR. For CS, HMB decreased the protozoa population (p = 0.01) and increased the populations of F. succinogenes and R. albus ($p{\leq}0.03$). Populations of fungi, F. succinogenes (p = 0.02) and R. flavefacien (p = 0.03) were increased by adding AOC. The HMB${\times}$AOC interactions were noted in MCP, fungi and R. flavefacien for CWR and GP, ammonia-N, MCP, total VFA, propionate, acetate/propionate (A/P) and R. albus for CS. It is inferred that addition of HMB and AOC could influence rumen fermentation of forages by increasing the number of rumen microbes.

Sarsaponin Effects on Ruminal Fermentation and Microbes, Methane Production, Digestibility and Blood Metabolites in Steers

  • Lila, Zeenat Ara;Mohammed, Nazimuddin;Kanda, Shuhei;Kurihara, Mitsunori;Itabashi, Hisa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2호
    • /
    • pp.1746-1751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rsaponin on methane production, ruminal fermentation, nutrient digestion and blood metabolites using three Holstein steers in a 3${\times}$3 Latin Square design. The steers were fed Sudangrass hay plus concentrate mixture at a ratio 1.5:1 twice daily, and sarsaponin (0, 0.5 and 1% of DM), which was given at 09:00 and 17:00 h daily by mixing with concentrate. Rumen samples were collected 0, 2, and 5 h after morning dosing. Ruminal pH was numerically decreased and numbers of protozoa were decreased linearly (p<0.01) by treatment. Ruminal ammonia-N was reduced (linear; p<0.05) and total VFA was increased (quadratic; p<0.05) at 2 and 5 h after sarsaponin dosing. The molar proportion of acetate was decreased (quadratic; p<0.05) and propionate was increased (linear; p<0.01) at all sampling times. Blood plasma glucose was increased and urea-N was decreased (linear; p<0.05) at 2 and 5 h after dosing. Methane was decreased by approximately 12.7% (linear; p<0.05). The apparent digestibility of DM and NDF were decreased (quadratic; p<0.05) and that of CP remained unchanged due to the sarsaponin. The numbers of cellulolytic bacteria were decreased (quadratic; p<0.05), while numbers of total viable bacteria remained unchanged due to the sarsaponin. These results show that sarsaponin can partially inhibit rumen methanogenesis in vivo and improve ruminal fermentation, which supports our previous in vitro results.

열처리 및 겨자유의 첨가가 김치 발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w Temperature Heating and Mustard Oil on the Kimchi Fermentation)

  • 홍완수;윤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31-337
    • /
    • 1989
  • 항균력을 지닌다고 보고된 겨자유는 김치의 주요 유산균인 락토바실루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루스 브레비스(Lactobacillus brevis), 페디오코커스 세레비지에 (Pediococcus cerevisiae), 로이코너스톡 메세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에 항균력을 지니고 있었으며, 김치제조시 겨자유 및 겨자분을 첨가하였을 때 적숙기에 이르는 시간이 지연되었다. 겨자유의 매운맛은 배추, 무우의 매운맛 성분과 잘 조화되어 풍미에 좋은 영향을 줄 뿐 아니라 신맛을 약화시키는 효과도 지니고 있었다. 저온 열처리+겨자+과산화수소 처리 병용은 숙성이 완만하게 진행되어서 대조군에 비해 김치 적숙기에 이르는 시간이 2.5배 정도 연장되었다. 저온 열처리+겨자+과산화수소+후처리 병용군은 $1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발효가 천천히 진행되어 저장 15일 후에도 pH 4.32, 산도 0.4%로서 숙성 초기단계에 머물러 있었으며 대조군에 비해 김치적숙기에 이르는 시간이 5배 정도 연장되었다.

  • PDF

16S rDNA 증폭에 의한 부분염기서열을 이용한 분뇨 발효 관련 고온 호기성 박테리아의 동정 (Identification by 16S rDNA Partial Sequencing of Thermophilic Bacteria with Fermentation of Pig Manure)

  • 김명길;최돈하;최인규;김병규;송재경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68-78
    • /
    • 2006
  • 돈분뇨 분해 장치의 발효 속도를 가속화시키는 토착미생물의 확보를 위하여 우리나라 각 지역에서 수집한 균주 중 우수한 균주를 선별하고 168 rDNA 증폭에 의한 동정을 실시하여 돈분뇨 분해에 관여하는 균주의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총 23장소(서울, 충청, 강원, 전북, 전념, 경남 지역)에서 28종류의 부숙 퇴비를 수집하여 생균수를 조사한 결과 대체적으로 $1{\times}10^5{\sim}10^8$의 분포 밀도를 보였다. 분리한 균주의 효소 생산 역가결과는 $30^{\circ}C$에서 보다 $55^{\circ}C$에서 배양된 고온호기성박테리아가 상대적으로 높은 섬유소분해효소와 전분분해효소 생산력을 보였고, genomic DNA의 추출에 의한 168 primer로 증폭하여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돈분뇨 발효에 관여하는 고온호기성박테리아는 15종으로 동정되었다. 그 중 미생물제재를 제조하기 위하여 효소 역가 면에서도 우수성을 보이고 내생 포자를 형성하는 균주는 Bacillus subtihs로 확인되었다.

석창포의 부위, 추출용매 및 발효에 따른 주요 성분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ontent Changes of ${\beta}$-asarone and ${\alpha}$-asarone in Acorus gramineus According to its Parts, Extraction Solvent, and Fermentation)

  • 방태선;이경진;함인혜;부영민;김호철;이재성;최호영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149-157
    • /
    • 2008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 changes of ${\beta}$-asarone and ${\alpha}$-asarone in A. gramineus according to its parts, extraction method, and fermentation. Methods: The change of ${\beta}$-asarone and ${\alpha}$-asarone was analysed with GC/MS, IR, and NMR. Results: In A. gramineus, ${\beta}$-asarone and ${\alpha}$-asarone in rhizome are 7 times and 4 times more than those in leaves respectively. And, in water extract of Acori Graminei Rhizoma, ${\beta}$-asarone was reduced to 77.8%-83.5%, and ${\alpha}$-asarone was reduced to 69.4%-72.2% compared with 50% MeOH extract. The amounts of ${\beta}$-asarone and ${\alpha}$-asarone were decreased apparently by 1 and 3 weeks fermantation with yeast activated solution. Conclusions: There was a change in the content of asarone pursuant to the medicinal part, extraction solvent, and fermentation. This result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contributing to the stability of A. gramineus according to an appropriate clinical application.

  • PDF

김치 유산균을 이용한 감 발효음료 특성 (Characteristics of Persimmon Juice fermented with Kimchi Lactic Acid Bacteria)

  • 서상영;안민실;최소라;송은주;최민경;유선미;김영선;송영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6-23
    • /
    • 2015
  • 본 연구는 대봉감을 이용한 다양한 가공제품 개발을 목적으로 김치 유산균을 활용하여 발효음료 제조기술을 확립하고, 감의 이용성을 확대하고자 실시하였다. 대봉감과 정제수의 1:3 희석액에 당원으로 쌀엿을 첨가하고, 저온살균한 후 L. buchneri BK-1 유산균으로 발효를 진행하였을 때 총산 생성능이 0.75%로 높고, 유산균 생균수가 $1.9{\times}10^8CFU/mL$ 수준으로 많았다. 쌀엿 첨가량이 많을수록 총산도는 증가하였는데, 신맛이 너무 강하지 않은 $10^{\circ}Brix$ 수준으로 쌀엿을 첨가하는 것이 기호도 향상에 좋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산균 종류별 발효 결과, L. buchneri BK-1와 P. inopinatus BK-3 두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를 진행함으로써 총산 생성이 0.80~0.83%로 우수하고 유산균 수가 $2.7{\times}10^8{\sim}5.1{\times}10^8CFU/mL$ 수준으로 많은 음료를 제조할 수 있었다. L. buchneri BK-1 유산균을 이용하여 $30^{\circ}C$에서 발효 시 적정 발효기간은 음료의 신맛이 너무 강하지 않은 총산도 0.60% 미만인 약 4~5일이었다.

TNBS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대장염모델에서 유산균 발효 마의 항염효과 (Lactic Acid Fermentation of Dioscorea batatas and Its Anti-Inflammatory Effects on TNBS-induced Colits Model)

  • 현미선;허정무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1호
    • /
    • pp.51-55
    • /
    • 2011
  • 마(Dioscorea batatas)의 건강보조제로의 개발을 위해, 3가지 유산균,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plantarum 그리고 Bifidobacterium longum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를 하였다. 발효물은 10% 발효물 수용액으로 pH 측정결과 3.83, 총 유산균수는 $8{\times}10^6$ CFU/mL로 표준화 하였다. TNBS-로 유도된 대장염 마우스 모델에 일반 마(400 mg/kg)와 발효된 마(200, 400mg/kg)를 섭취한 결과, 조직학 및 형태학적 손상정도 그리고 MPO 활성 등이 비발효 마처리군에 비하여 발효된 마를 처리한 군에서 현저하게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농도별로는 발효된 마가 200 mg/kg으로 처리된 군보다 400 mg/kg으로 처리된 마에서 설변이나 조직의 붕괴 현상을 현저하게 억제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유산균 발효 마를 투여한 대장염 마우스에서는 체중감소 및 염증세포의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유산균 발효물이 대장염 모델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항염효과를 보였으며, 대장염 치료 및 예방에 매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누룩에서 분리한 Saccharomycopsis fibuligera 미강발효물의 효소활성 및 항산화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Enzyme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Fermented Rice Bran of Saccharomycopsis fibuligera Isolated from Nuruk)

  • 박용원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1호
    • /
    • pp.403-410
    • /
    • 2021
  • 본 논문은 대체식품 및 화장품 원료로 사용되는 미강을 발효를 통해 기능성과 경쟁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5종류의 누룩에서 분리한 Saccharomycopsis fibuligera 50종의 균주 중 효소 활성이 우수한 6균주와 표준균주를 이용한 발효미강물의 𝛼-amylase, CMCase, 𝛽-glucosidase, protease 등의 효소 활성을 통해 비교한 결과, A8균이 KCTC 7806 균주에 비하여 13.7%, 21.1%, 50.3%, 10.0%의 우수한 효소 활성을 보였다. 발효의 결과지표로서 ABTS, DPPH 검사를 시행한 결과, A8으로 발효한 미강이 KCTC 7806 균주로 발효한 미강에 비하여 1.12배, 1.28배의 항산화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으로, S. fibuligera 표준균주인 KCTC 7806 보다 우수한 S. fibuligera A8 균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과제의 항염활성 및 항독성 결과와 더불어 우수한 효소 활성과 항산화능 결과를 통해 S. fibuligera A8 균주를 통한 미강 발효물이 대체식품 및 화장품 원료로서의 기능성과 가격 경쟁력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Corynebacterium glutamicum 고정화균체에 의한 L-라이신 연속발효 (Continuous Fermentationof L-Lysine by Immobilized Corynebacterium glutamicum)

  • 이인선;조정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22-327
    • /
    • 1994
  • L-라이신 생산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생체반응기를 이용한 연속발효시스템의 개발을 시도하였다. 먼저, Corynebacterium glutamicum ATCC 21514균체의 고정화조건에 대하여 검토하였는데 균체를 4% k-carrageenan에 포괄하였을 때 76.2%의 고정화율을 나타내었고, 겔강도는 4.0kg이었다. 이 고정화균체를 사용하여 생체반응기를 제작하여 L-라이신의 연속생산에 응용하였으며, 최적조건하에서 얻은 결과를 회분식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14일간의 연속발표에서 얻는 실험결과 공급당의 L-라이신으로의 전환율은 36.7%이었고, L-라이신의 생산성은 4.96mg/ml/mg-dry cell weight/hr로서 생균체나 고정화균체에 의한 회분식발효의 경우에 비하여 각각 2.5배와 4.1배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