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weighted average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7초

Virus Throttling의 웜 탐지오판 감소 및 탐지시간 단축 (Reducing False Alarm and Shortening Worm Detection Time in Virus Throttling)

  • 심재홍;김장복;최경희;정기현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6호
    • /
    • pp.847-854
    • /
    • 2005
  • 인터넷 웜(worm)의 전파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발생초기에 웜의 전파를 탐지하여 막지 못하면 큰 피해를 초래 할 수 있다. 새로운 세션에 대한 연결요청을 일정 비율이하로 제한함으로써 웜의 발생여부를 탐지하는 바이러스 쓰로틀링(virus throttling)[6, 7]은 대표적인 웜 조기탐지 기술 중의 하나이다. 대부분의 기존 기술은 지연 큐 관리에 있어서 동일한 수신 IP 주소들을 개별적으로 처리함으로써 웜 탐지의 오판 가능성을 증가시켰고, 지연 큐가 가득 찼을 때에만 웜이 발생했다고 판단하는 단순 판단 기법을 사용했다. 본 논문은 지연 큐에서 동일 수신 IP 주소들을 하나의 연결 리스트로 묶어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동일 수신 IP들을 중복하여 지연 큐에 저장하지 않는 이차원 지연 규 관리방안을 제안한다. 개선된 바이러스 쓰로틀링은 지연 큐 길이 산정 시동일 수신 IP 주소들을 중복하여 계산하지 않기 때문에 웜 탐지 오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크기의 지연 큐를 가지고도 웜 탐지시간을 줄이고 웜 패킷 전송 수를 줄일 수 있는 가중치 평균 큐 길이 기반의 새로운 웜 탐지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지연 큐 길이 산정 시 현재의 큐 길이 뿐 아니라 과거의 큐 길이를 반영하는 방법이 웜의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하여 기존 기법보다 빠르게 웜을 탐지할 수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국내 교통산업 서비스 지수의 산정 및 경기순환분석 (Estimation of Korea Transportation Service Index and Business Cycle Analysis)

  • 한상용;정경옥;정경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3-6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교통산업 서비스 지수를 산정하고 산정된 지수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교통사업 서비스지수는 도로, 철도, 항공, 해운부문 등 국내의 여객 및 화물운송 서비스 활동수준을 나타내는 월별 지표로서, 개별 여객수송 및 화물운송 실적자료를 이용하여 산정되었다. 구체적으로 1995년 1월${\sim}$2004년 12월까지의 도로, 철도, 항공, 해운부문의 여객수송실적(인-km)과 화물운송실적(톤) 자료들이 이용되었다 국내 개별 교통산업 부문의 여객 및 화물 운송수입 자료들을 활용하여 개별 수송실적지수들의 가중치 자료를 산출하였으며, 개별 교통산업 서비스 지수(여객지수, 화물지수 및 종합지수)는 라스파이레스 지수와 파쉐 지수에서 일반적으로 발생하는 대체편의를 줄일 수 있는 피셔이상지수를 이용하여 산정되었다. 그 결과, 여객지수보다는 화물지수와 종합지수가 경제현황을 보다 잘 설명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종합지수를 기준으로 할 때 교통산업 서비스 지수는 국내 경기순환주기에 비해 정점에서는 약18개월, 저점에서는 약3개월 후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통산업 서비스 지수의 공식적인 산정과 활용을 위해서는 신뢰성 있고 시의성 있는 시계열 자료의 구축이 필수적이며, 다양한 지수 산정 방법론의 개발도 요구된다.

L-모멘트법을 이용한 지역홍수빈도분석을 통한 금강유역 미계측 유역의 설계홍수량 산정 (Estimating design floods for ungauged basins in the geum-river basin through regional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L-moments method)

  • 이진영;박동혁;신지예;김태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8호
    • /
    • pp.645-65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에 대한 지역홍수빈도분석을 실시하고 재현기간에 따른 홍수량을 추정하는 관계식을 제안하였다. 유역 내 유량자료의 수문학적 독립성과 동질성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Lag-1 자기상관성 분석, 동질성 검정, 이상치 검정, 불일치척도 검정을 수행하였다. 검정 결과, 금강유역의 대상 관측소들은 시간에 대하여 독립적이고 동질적 모집단에 속하며 이상치는 없었다. 일반 극치 분포(GEV), 3변수 대수정규 분포(LN-III), 피어슨-III 분포(P-III), 일반 로지스틱 분포(GLO), 일반 파레토 분포(GPA) 등 5개의 3변수 확률분포함수에 대한 L-모멘트비도와 평균가중거리(AWD), 그리고 $Z^{DIST}$ 적합도 산정 결과, GLO 분포함수가 금강유역의 최적 확률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GLO 분포를 바탕으로 지역홍수빈도를 추정하는 회귀모형을 제안하였고, 강경 관측소의 관측 유량을 이용하여 회귀모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북한 핵실험 모니터링 : 1, 2차 비교 (Monitoring North Korea Nuclear Tests: Comparison of 1st and 2nd Tests)

  • 지헌철;박정호;김근영;제일영;신동훈;신진수;조창수;이희일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3권3호
    • /
    • pp.243-248
    • /
    • 2010
  • 북한지역에서 핵실험으로 추정되는 두 번의 발파가 관측되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관측소와 한중 공동관측소는 북한과 주변국간의 경계에 고르게 분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 핵실험 장소로부터 200 km에서 550 km 거리에 있는 광대역 지진 관측소의 자료를 사용하여 북한의 2차례 핵실험을 비교 분석하였다. 관측소별 1차 실험과 2차 실험의 초동 Pn 도착 시간차를 비교함으로서 상대적인 위치이동을 계산할 수 있다. Pn 속도를 8 km/s로 가정하고, 실험 장소와 관측소간의 기하학적인 관계를 이용하여 계산한 결과, 2차 장소는 1차 장소로부터 서북서 방향으로 2 km 거리에 위치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P 파로부터 계산된 2차 실험의 실체파 규모는 평균적으로 4.5이나, 관측소별로는 최대 5.2에서 최소 4.1로 아주 큰 차이를 보인다. 이에 비해 Lg 파로부터 계산한 2차 실험의 규모는 평균적으로 4.6이며, 관측소별로 최대 4.7에서 최소 4.3사이로 P 파에 의한 규모에 비해 관측소간의 차이가 작다. 1, 2차 실험의 이동 윈도우 주파수 스펙트럼은 매우 비슷한 패턴을 보여 주며 두 실험의 초동 P 파의 모서리 주파수는 거의 차이가 없다. 따라서 2차 실험의 깊이가 1차 때와 비슷한 것으로 추정된다. 2차 실험의 폭발력은 관측소별 1차와 2차의 지반속도비로부터 계산한 결과 1차에 비하여 8배 큰 것으로 추정된다.

유방암의 감시림프절 검사에서 유방크기와 체질량지수에 따른 검사시간 변화 (The Variation of Scan Time According to Patient's Breast Size and Body Mass Index in Breast Sentinel lymphangiography)

  • 이다영;남궁혁;조석원;오신현;임한상;김재삼;이창호;박훈희
    • 핵의학기술
    • /
    • 제16권2호
    • /
    • pp.62-67
    • /
    • 2012
  • 유방암 환자의 감시림프절 생검을 위하여 현재 방사성동위원소와 blue dye를 이용한 감시림프절 매핑(Mapping)이 선행되고 있다. 현재 모든 환자에 대하여 일괄적인 검사방법이 적용되므로 환자의 유방의 크기나 비만도와 같은 특성이 고려되지 않아 림프절의 흐름이 느린 환자의 경우, 림프절을 충분히 형성하지 못한 채 검사가 종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신체적 특성인 체질량지수와 유방의 크기에 따른 림프액의 속도차이를 관찰하였다. 이를 통해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 유방의 감시림프절 신티그래피 에서 환자의 특성을 고려한 최적의 검사시간을 도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2011년 10월부터 2011년 12월까지 수술직전 유방의 감시림프절 신티그래피를 시행한 100명(여성 100명, 평균연령 $50.34{\pm}10.26$)를 대상으로 하였다. 장비는 감마카메라 Forte (Philips Medical Systems, Nederland B.V.)를 사용하였으며, 방사성의약품은 $^{99m}Tc$-Phytate 18.5 MBq, 0.5 ml를 피내주사하였다. 먼저 8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의 5분 검사방법대신 충분히 림프절을 형성할 때까지 시간의 제한 없이 영상을 획득하였다. 이를 통해 환자의 유방크기와 체질량지수 별 그룹을 나누어 평균 검사시간을 구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시간을 변화시킨 변형 유방 림프신티그래피를 20명의 환자에게 시행하여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80명의 대상 중 유방의 크기에 따른 평균 검사시간은 A그룹 2.48분, B그룹 7.69분, C그룹 10.43분이었다. 80명의 대상 중 체질량지수에 따른 평균 검사시간은 저 체중 1.35분, 표준 2.56분, 과 체중 5.62분, 비만 15분이었다. 앞서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각 그룹별 적절한 검사시간을 적용하여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는 20명 중 성공평가를 받은 경우는 17회 실패평가를 받은 경우는 3회로 총 85% 성공률을 나타내었다. 유방의 크기와 체질량지수에 따른 총 검사 시간은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유방의 크기가 클수록 증가하였으며, 얻어진 정보를 바탕으로 기존 검사방법에서 검사시간만을 변화시킨 변형 유방 림프신티그래피를 적용하였을 때 대부분의 경우 검사시간 내 림프절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모든 환자에게 일괄적으로 적용하던 검사방법보다 개인의 신체적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검사시간을 각각 다르게 적용하였을 때 검사에서 높은 성공률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화학물질 관리 연구-1. 산업안전보건법상 관리 화학물질의 특성과 노출기준 비교 (Study on the Chemical Management - 1. Chemical Characteristics and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unde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of Korea)

  • 박지훈;함승헌;김선주;이권섭;하권철;박동욱;윤충식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7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oxicological data with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OELs) of chemicals under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OSHA) regulated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Korea. Methods: Information on chemicals which have OELs on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xicological data was collected using Material Safety Data Sheet(MSDS) from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KOSHA) and the Korea Information System for Chemical Safety Management(KISChem) in 2014.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OELs with chem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molecular weight, boiling point, odor threshold, vapor pressure, vapor density, solubility and octanol-water partition coefficient(OWPC) and toxicological data such as median lethal dose($LD_{50}$) and median lethal concentration($LC_{50}$). Results: A total of 656 chemicals have OELs under OSHA in Korea. The numbers of chemicals which have eight-hour time weighted average(TWA) and short term exposure limits(STEL) are 618 and 190, respectively. TWA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boiling point and STEL was only correlated with vapor pressure amo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Solubility and OWPC between "skin" and "no skin" substances which indicate skin penetration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oth $LD_{50}$ and $LC_{50}$ were correlated with TWA, while the $LC_{50}$ was not with STEL. As health indicators, health rating and Emergency Response Planning Guidelines(ERPG) rating as recommended by the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NFPA) and Americ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AIHA) were associated with OELs and reflect the chemical hazards. Conclusions: We found relationships between OEL and chemical information including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toxicological data. The study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understanding present regulatory OELs.

대전지역 일부 대학생의 영양소 섭취상태 식사의 질과 식습관에 있어서 남녀의 차이에 관한 연구 (The Comparison in Daily Intake of Nutrients, Quality of Diets and Dietary Habits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Daejeon)

  • 이미숙;곽충실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9-51
    • /
    • 200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daily nutrient intakes,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between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Male undergraduate students 004 subjects)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229 subjects) , enrolled at H University in Daejeon, were recruited for this study.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22.9 year in male and 20.4 year in female students. Daily intakes of energy and nutrients were calculated from the records of one day of dietary food intakes by 24-hour recall method, and general information, dietary habits and attitudes, food intake frequency and food preferences and knowledge for food and nutrition were surveyed through a questionnaire. About $70.1\%$ of male and $66.1\%$ of female students were in the normal range of BMI (18.5 - 23), and $25.2\%$ of male students were over-weighted in contrast to $27.7\%$ of female students were underweight. Males and females were taking $77.2\%$ and $77.9\%$ of RDA for energy, respectively, and $54.8\%$ of male and $48.0\%$ of female students were taking energy under $75\%$ of RDA. Many of them showed deficient intakes of calcium, iron, vitamin A and riboflavin. Average of MAR was 0.75 in male and 0.72 in female students. NAR for calcium, iron, vitamin A and riboflavin in male students were 0.55, 0.69,0.75 and 0.61, respectively, compared to 0.53, 0.51, 0.70 and 0.67 in female students. The nutrients, which have INQ less than 1, were calcium and riboflavin in male, compared to calcium, iron, and riboflavin in female students. There were no gender differences in meal regularity and meal skipping rates, but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rates of skipping dinner than males (p < 0.001) About $50.8\%$ of female students were ingesting snacks 1 - 2 time/day, compared to $27.1\%$ of male students. For the food intake frequency, fruit group was significantly eating more for female than male students (p< 0.001) Though female students got higher scores for nutritional knowledge test (p < 0.001) than male students, they did not show better dietary habits or dietary attitudes than male students actually. Therefore, a more active and actual education program accustomed to the different genders and ages with focus on real changing of dietary behaviors needs to be developed and run in schools and local departments.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제조 및 취급 근로자의 노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xposure to Tetrahydrofuran of Manufacturing and Handling Workers)

  • 최호춘;홍좌령;이귀영;김두호;박정일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56-161
    • /
    • 2011
  • Objectives: Tetrahydrofuran (THF) is a colorless, water-miscible organic liquid with low viscosity at standard temperature and pressure. THF has been used as a solvent and a precursor for various syntheses of polymers. However, THF is known to irritate to the eyes, skin and mucus membranes. Overexposure by inhalation, ingestion or skin contact may produce nausea, dizziness, headaches, respiratory irritation and possible skin bur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of the worker exposure and characteristics of workers in the workplaces that use or manufacture THF. Methods: Sixteen factories in Korea, which manufacture or use THF,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a total of 130 air samples including 104 time-weighted average (TWA) samples and 26 short-term exposure limit (STEL) samples, were collected. Air samples were collected with charcoal tube (100mg/50mg) and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flame ionization detector(GC/FID). Results: The TWA concentration of THF was 16.05ppm (GM) at PS script printing, 2.32ppm (GM) at PVC stabilizer, 1.03ppm (GM) at Lithium triethylborohydride, 0.63ppm (GM) at Polytetramethylene ether glycol(PTMEG), 0.42ppm (GM) at Manufacturing THF, 0.13ppm (GM) at Glue and 0.12ppm (GM) at synthetic rubber/resins. Two out of sampes for PS script printing exceeded 50ppm as 8-hour exposure limit of MOEL. The short term exposure to THF was 54.77ppm (GM) at PS script printing, 17.10ppm (GM) at PTMEG, 13.76ppm (GM) at Manufacturing THF, 2.86ppm (GM) at Lithium triethylborohydride, 0.87ppm (GM) at synthetic rubber/resins and 0.13ppm (GM) Glue. We found that the highest exposure process for both the TWA and STEL samples was PS script process. Two samples exceeded 100ppm as short term exposure limit of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MOEL). Conclusions: Characteristic of STEL concentration for THF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WA concentration in workplaces because workers could exposure high concentration of THF in a moment when they work irregularly schedule. So exposure controls for momentary works have to be prepared, and considered the skin absorption and inhale of THF.

시정계 자료 특성을 고려한 시정계 자료 품질검사 기법 개발 (Development of Quality Control Method for Visibility Data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Visibility Data)

  • 오유주;서명석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6권5_1호
    • /
    • pp.707-723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상청에서 운용중인 시정계 자료의 시공간대표성 및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다단계 결정나무 품질검사(decision tree QC) 방법을 개발하고 3년간(2016.03-2019.02) 시정계 자료에 적용하였다. 개발된 QC 방법의 정성적 및 정량적 검증을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시정계 자료 및 목측 자료 그리고 노르웨이 기상청의 QC 방법을 사용하였다. 1단계에서는 물리적 범위 초과 및 결측 검사를 수행하여 결측 및 비정상 자료의 합이 총 자료의 10%를 초과하면 해당 지점은 다음 QC에서 제거하였다. 2단계에서는 시정이 시간적으로 연속성 있게 변한다는 가정하에 시간적 연속성 검사를 수행하였고, 임계값을 동적으로 설정하였다. 3단계에서는 시정이 공간적으로 연속성 있게 변한다는 가정하에 공간적 연속성 검사를 수행하였다. 4단계에서는 시정계의 정확도가 시정에 반비례한 점을 고려한 가중평균법으로 10분 주기 시정자료를 산출하였다. 시정계가 처음으로 도입 운용되는 점으로 인해 전체 시정계 자료 중 약 10% 정도가 1단계에서 제거되었다. 또한 안개발생 주변 지역에서는 시정의 공간적 변동성이 연속성 검사를 수행할 수 없을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3단계는 적용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QC 방법을 정성적, 정량적 검증한 결과, 초기 자료에 포함된 이상치들이 상당부분 제거되고 시정의 순간적 변동성이 완화됨을 보였다. 또한 목측자료 및 노르웨이 기상청 QC 방법을 이용한 간접적 검증 결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QC 방법이 시정계 자료 품질검사기법으로 사용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석유계 솔벤트를 사용하는 세탁소 작업자의 노출평가 (An Evaluation of Exposure to Petroleum Based Dry Cleaning Solvent Used in Commercial Dry Cleaning Shops)

  • 정지연;이광용;이병규;이나루;김봉년;김광종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9-26
    • /
    • 2005
  • In previous report, we presented that petroleum based solvents used in dry cleaning shop was almost similar to stoddard solvent defined by ACGIH and NIOSH, and the occupational exposure standard of stoddard solvent could be used in total exposure assessment of those solvents. The specific aim of the this study was to evaluate of the solvent exposure used in commercial dry cleaning shops by using occupational exposure standard of stoddard solvent. We conducted first survey of 8 self-employed dry cleaning shops and 5 factory type dry cleaning shops from July to August, and second survey of the same shops from October to November in 2002. The exposure concentration to the solvent during loading and unloading activity of vented dry cleaning machine was 489.2ppm(GM), 270.3ppm(GM), respectively, which was almost excursion limit(500ppm) of ACGIH, and exceed the ceiling limit(312ppm) of NIOSH. The time-weighted average (TWA) worker exposure to the solvent was 21.3ppm(GM) at self-employed shops, 20.7ppm(GM) at factory type shops on first survey, and 31.1ppm(GM), 33.7ppm(GM), respectively on second survey. The TWA exposure concentration of workers with spotting and cleaning machine operating job was 25.4ppm(GM), which was 2.9 times higher than the TWA exposure concentration, 8.8ppm(GM) of press workers. All TWA exposure concentrations was lower than OEL(100ppm) of stoddard solvent. We found that the most heavy exposure process at dry cleaning was loading, unloading process, and the vent of dry cleaning machine was the main emission source for workers exposure to petroleum based solv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