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to germination

검색결과 559건 처리시간 0.024초

Assessment of Seed Viability and Vigour in Neem (Azadirachta indica A. Juss.)

  • Kumar, Devendra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9권4호
    • /
    • pp.282-291
    • /
    • 2013
  • Rapid loss in viability of neem (Azadirachta indica A. Juss.) seed is a major problem. Present effort was undertaken for developing a set pattern for assessing of viability and vigour in seed of various mother tree age of neem (Age I-06 years, Age II-15 years, Age III-25 years and Age IV->30 years old). Various viability test viz. triphenyle tetrazolium chloride test, electrical conductivity, excised embryo test, and germination test have been performed on seeds obtained from mother tree age classes. Inconsistency was observed with the TTC and EC test in germination of seed in laboratory as well as nursery. While various vigour tests viz. cold test, chemical stress test (methanol stress test), and accelerated ageing test alongwith ageing index, germination test (G%, MGT and GV) and various seedling growth parameters like seedling length (cm), number of leaves, collar diameter (cm), total biomass (g) alongwith mathematical indices i.e. vigour index, sturdiness quotient, volume index, quality index, root shoot ratio in nursery as well have been taken for study and showed better consistency. On the basis present study results of various viability and vigour test indicated that mother tree age class II performed better in comparison to others and it can be recommended for seed collection. Further it is also recommended that viability of neem seed may be assessed using various laboratory tests like excise embryo test and germination test (G%, MGT and GV) and vigour test may be taken preferably by cold germination test, chemical (methanol) stress test, accelerated ageing test in laboratory and germination alongwith various seedling growth parameters seedling length (cm), number of leaves, collar diameter (cm), total biomass (g) alongwith mathematical indices like Vigour Index, Sturdiness quotient, Volume Index, Quality index, root shoot ratio in nursery as discussed in this study.

염화물계 제설제의 농도처리에 따른 벼과와 국화과의 종자 발아특성 (Effect of Chloride-containing Deicing Salts Concentration on the Germination Characteristics of Six Species of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 양지;이재만;송희연;박선영;윤용한;주진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907-915
    • /
    • 2019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ost tolerant species under salinity stress from amongst Asteraceae and Poaceae. The seeds of six species were exposed to different concentrations of $CaCl_2$ (0, 9, 18, 45, 90 mM) and NaCl (0, 17, 34, 85, 170 mM), and germination was measured once every two days. The results indicated that percent germination of the six species of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were affected differently by changes in salinity concentration. Seed germination was reduced as salinity levels increase, and longer mean germination times correlated to lower percent germination and earlier germination cessation. Both Asteraceae and Poaceae seeds had the highest germination rates at 18 mM $CaCl_2$ and 34 mM NaCl, and seed germination and growth were severely reduced at salinities greater than 90 mM $CaCl_2$ and 170 mM NaCl. In the seeds of Poaceae, salt resistance was strong in the order of Miscanthus sinensis Andersson, Pennisetum alopecuroides (L.) Spreng., and Phragmites communis Trin. In the seeds of Asteraceae, salt resistance was strong in the order of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Aster yomena (Kitam.) Honda, and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 ex Kitam.. Overall, the germination rate was higher in Asteraceae than in Poaceae.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is the most tolerant species and that a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 salt tolerance of percent germination and the mean germination time in the leaves.

발아지수를 이용한 혼합 혐기소화액의 부숙도 평가 및 폭기기간 설정 (Maturity Evaluation and Determination of Aeration Time Using Germination Index of Co-Digestates)

  • 변지은;이홍주;황선구;임태진;류종원
    • 유기물자원화
    • /
    • 제28권2호
    • /
    • pp.5-13
    • /
    • 2020
  • 본 연구는 가축분뇨 슬러리와 과실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의 폭기기간이 발아지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혐기소화액 종류별 적정 폭기기간 설정에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6개 혐기소화액은 폭기처리 기간 중 공기의 량을 0.1 ㎥ air/min.㎥ 주입하고, 52일 동안 폭기하였다. 혐기소화액의 부숙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무 종자를 이용하였다. 돈분 + 우분 + 감귤착즙박 혼합 혐기소화액은 처리구 중 가장 빨리 폭기처리 30일에 발아지수(GI)가 70 이상을 나타내었다. 돈분 + 우분 혼합혐기소화액은 폭기처리 36일에 발아지수(GI)가 70 이상를 나타내었다. 돈분 슬러리 100 % 단독 혐기소화액의 발아지수(GI)는 가장 늦은 폭기처리 54일에 70에 도달하였다. 돈분슬러리 + 과실착즙박 혼합소화액이 돈분 단독 혐기소화액 보다 발아지수 70 도달 폭기기간이 24일 단축되었다. 혐기소화액의 호기성 액비 처리에서 종자 발아지수는 적정 폭기기간 설정에 활용이 가능 할 것으로 보인다.

Effect of Harvest Time on Seed Quality of Silage Corn Inbreds and Hybrids

  • Lee, Suk-Soon;Yun, Sang-Hee;Soo, Jung-Moon;Min, Hwang-Kee;Ryu, Si-Hwan;Park, Jong-Yeol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361-367
    • /
    • 2002
  •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of inbreds and hybrids in silage corn, the ears of sib-pollinated 'KS5', 'KS7rhm', and 'Ga209' and cross-pollinated 'KS5' $\times$ 'KS6' (Suwon19), 'KS7 rhm' $\times$ 'KSl17' (Suwonok), and 'Ga209' $\times$ 'DB544'(Kwanganok) were harvested at the one-week intervals from 4 to 10 weeks after silking. The optimum harvest time for the seed production for 'KS5', 'KS5' $\times$ 'KS6', 'KS7 rhm', and 'KS7rhm' $\times$ 'KS117' was 7 weeks after silking considering both emergence rate and plumule growth in cold test. Although earlier harvested seeds showed similar germination rate as the seeds harvested at the optimum time at $25^{\circ}C$, their emergence rate were lower in cold test. Seed weight and $\alpha$-amylase activity of earlier harvested seeds were lower compared to those of seeds harvested at the optimum time, while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were higher. However, the later harvested seeds showed lower germination rates at $25^{\circ}C$ and emergence rates in cold test probably due to the lower $\alpha$-amylase activity although they showed increased seed weight and reduced leakage of total sugars and electrolytes. In contrast, the emergence rate of 'Ga209' and 'Ga209' $\times$ 'DB544' in cold test increased up to 10 weeks after silking probably due to the increased seed weight and $\alpha$-amylase activity and reduced sugar and electrolyte leakages during the germination. The cross-pollinated F$_1$ hybrid seeds showed higher germination and emergence rates at $25^{\circ}C$ and in cold test, and higher plumule growth and $\alpha$-amylase activity compared to those of sib-pollinated inbreds.

몇가지 환경요인이 돼지풀의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ome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Germination of Seeds in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 김종홍;김원희;차승희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5권2호
    • /
    • pp.93-100
    • /
    • 2002
  • 돼지풀(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D/sub ESCOURTILS/)종자의 발아를 유발시키는 몇가지 환경요인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자의 휴면은 온도와 토양함수량이 적절하면 채종직후에도 일부분 타파되었고, 주야의 변온(30/20℃)이 휴면타파에 효과적이었다. 온도에 따른 발아율은 12℃∼32℃의 온도처리구에서 모두 발아가 이루어졌고, 발아에 필요한 최적온도는 24℃였다. (P<0.01). 토양함수량의 영향은 30% 처리구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60% 처리구에서 최대치를 나타내고 (P<0.05) 80% 처리구에서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토양함수량 7% 처리구에서는 전혀 발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온도에 대한 광의 영향은 24℃의 온도 처리구에서 광처리시와 암처리시 가장 높은 발아율을 나타내었고, 광의 존재유무에 따른 발아율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P>0.05). 채종시기간에는 9개월 저장기간의 어떤 시기에도 종자의 발아에 특별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P>0.05). 온도상승구(IT)에서 돼지풀종자는 16℃에서 발아하기 시작하였고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발아율이 점차 증가하여 최종발아율은 99.34%에 이르렀다. 반면에 온도하강구(DT)에서는 20℃에서 처음발아가 시작되었으며(1.34℃)에서 5.34%의 최종발아율을 나타내었고, 온도가 하강함에 따라 2차 휴면이 유도되었다. 저온에 의한 종자의 휴면타파가 고온에 의한 휴면타파보다 더 많이 유도되어, 돼지풀 종자는 늦가을에도 발아가 이루어지나 그 다음해 봄에 대부분의 종자발아가 이루어질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이와 같은 돼지풀종자들 내의 발아습성의 변이가 다양한 환경변화에 대해 자신의 생존과 자손의 번식을 위한 생리적·생태적 전략임을 알 수 있었다.

침지 온도와 시간이 삼나무 종자의 수분흡수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mmersion Temperatures and Times on Moisture Absorption and Germination of Cryptomeria japonica Seeds)

  • 최충호;조경진;탁우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98-403
    • /
    • 200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남부지역 주요 조림수종인 삼나무 종자의 침지시 온도 및 시간 조절을 통해 발아율을 향상시키고자 실시되었는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삼나무 종자의 발아적온은 $20^{\circ}C$$25^{\circ}C$이었으며, 고온인 $35^{\circ}C$에서 가장 발아율이 낮았다. 또한 15, 20, 25, 30, $35^{\circ}C$의 온도조건에서 시간에 따른 수분흡수율은 $30^{\circ}C$$35^{\circ}C$에서 높게 나타났다. 초기수분흡수속도는 $30^{\circ}C$에서 가장 빨랐으며 본 실험 중 가장 저온인 $15^{\circ}C$에서 가장 늦었다. 수분흡수속도상수 역시 고온인 $30^{\circ}C$$35^{\circ}C$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5^{\circ}C$$20^{\circ}C$에서는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편, 삼나무 종자는 $35^{\circ}C$를 제외하고는 모두 30시간 이상이 경과한 후에 평형에 도달하여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다. 온도별 침지시간에 따른 삼나무 종자는 발아율에 있어 일정한 경향을 나타내지는 않았다. $30^{\circ}C$에서 48시간 침지한 종자에서 가장 높은 발아율(45.3%)을 보였으며, 나머지는 모두 무처리구와 유사하거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종자의 평균발아일수는 침지온도 및 침지시간에 따라 뚜렷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는데 침지 48시간까지는 대체적으로 균일한 수준이었으나 $35^{\circ}C$를 제외한 나머지 온도조건들에서는 60시간에서 급격한 증가를 보였다. $30^{\circ}C$ 48시간 침지처리의 경우는 무처리구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나 이외 대부분 처리구들은 무처리구 보다 평균발아일수가 길었다. 결과적으로 침지온도 및 침지시간의 조절은 삼나무 종자의 발아일수를 단축시킬 수는 없으나 기존상태로 유지하면서 발아율은 향상시킬 수 있다.

Effects of Sonication, Osmotic Priming and Modified Drum Priming on the Germination of Tomato Seeds

  • Kim, Min Geun;Kang, Won Sik;Kim, Du Hyun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8-88
    • /
    • 2018
  • In order to increase the germination speed and uniformity of tomato seeds, sonication and modified drum priming treatments were investigated to produce high quality seeds for export. Sonication treatment was performed for 5, 10 and 20minutes at an intensity of 5.2, 10.4 and 15.7kHz in water at $15^{\circ}C$. After sonication treatment, seeds were primed with water or 100mM $KNO_3$ for 4days. 40, 50 and 60% seed moisture content (SMC) of hydrated seeds were incubated for 60, 72 and 84h in a container with a relative humidity of 99% at 26rpm for a modified drum priming treatments. Germination speed were highly improved by sonication with osmotic priming. The seed treatment of osmotic priming or hydro priming after sonication or sonication without priming enhanced germination percentage (GP) on the $2^{rd}$day after sowing to 46%, 43% and 28%, respectively, while untreated seeds resulted in only 1% GP. These treatments also highly improved mean germination time (MGT) to 1.4, 1.8 and 2.6days, respectively, when compared to 3.5days MGT of untreated seeds. The modified drum priming treatment (72h incubation after 60% SMC hydration) significantly improved results of 74% GP(on the $3^{rd}$day after sowing), 2.6days MGT and $39%{\cdot}day^{-1}$ germination rate (GR), however, untreated seeds showed 19% GP, 4.1 MGT, and $25%{\cdot}day^{-1}$ GR. Although osmotic priming after sonication, hydro priming showed similar improved germination characteristics, however, modified drum priming is considered as an industrially promising treatment methods considering the shortening of the treatment period and environment-friendly aspects.

  • PDF

발아시간에 따른 팥의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의 변화 (Changes in Antioxidant Contents and Activities of Adzuki Beans according to Germination Time)

  • 우관식;송석보;고지연;이재생;정태욱;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687-6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나물용 팥으로 새롭게 개발된 팥 신품종 연두채의 나물로의 이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그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였다. 발아시간에 따른 싹 및 뿌리의 길이와 나물 수율을 고려해 볼 때 연두채는 120~144시간 발아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발아시간에 따라 수분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단백질은 유의적으로 약간 증가하였으나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두채의 칼슘, 마그네슘 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칼륨, 나트륨, 알루미늄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발아시간에 따른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및 탄닌 등 항산화성분의 함량은 발아시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충주팥, 연두채, 다현녹두 원료곡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96, 2.68 및 2.02 mg/g이었고 충주팥과 연두채는 144시간(각각 3.33 및 3.47 mg/g)에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원료곡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충주팥과 연두채가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원료곡의 총 탄닌 함량은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충주팥은 120시간(0.96 mg/g), 연두채는 144시간(0.85 mg/g), 다현녹두는 120시간(1.62 mg/g)에 높은 함량을 보였다. 원료곡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발아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충주팥과 연두채는 대체적으로 감소하고 다현녹두는 증가하였다.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4.57, 6.51 및 2.82 mg TE/g이었고 충주팥과 연두채는 발아 초반에 감소하다가 각각 120 및 72시간 이후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 연두채 싹나물은 다현녹두 나물에 비해 항산화성분 및 활성은 약간 낮으나 수율이 높고 탄닌 등 쓴맛 성분이 낮아 싹나물로의 이용성이 기대된다.

이탈리안라이그라스 예취시기가 종자 등숙 및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lipping Time on Seed Maturity and Germination in Italian Ryegrass (Lolium multiflorum Lam. Italicum))

  • 서석기;김영두;박호기;박문수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04-111
    • /
    • 1997
  • 이탈리안라이그라스의 청초 이용 및 종자 생산가능성을 검토코자 1986년 10월부터 이듬해 6월까지 Tetrone 등 7품종을 공시하여 예취시기를 각각 4월 10일 예취와 4월 30일 예취 및 무예취로하여 시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수기는 K-11, T.N.T 등 품종이 늦었는데 각 품종 모두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출수기가 지연되고, 천입종은 직선적으로 감소하였다. 2. 입형은 입장, 입폭 및 입후 모두 무예취구에 비하여 예취시기가 늦을수록 작아지는 경향이며, 품종간에는 4배체 품종들이 2배체 품종들 보다 컸다. 3. 최초 발아율 및 발아세는 $25^{\circ}C$에서 15$^{\circ}C$ 보다 높았으며, 최종 발아율은 예취시기가 늦어질수록 낮았는데, 온도간에는 15$^{\circ}C$$25^{\circ}C$보다 다소 높았으며, 품종간에는 출수기가 빨랐던 품종들의 발아율이 높았다. 4. 발아 균일도는 $25^{\circ}C$가 15$^{\circ}C$보다 다소 좋았으며, 예취시기가 늦어질수록 낮아졌는데, 품종간에는 K-11 등 출수기가 빨랐던 것들이 발아가 균일 한 경향이며, 평균 발아일수는 $25^{\circ}C$보다 15$^{\circ}C$에서 길었고, 예취가 늦을수록 길었다. 5. 등숙관련 형질과 발아율 관계는 예취가 늦어질수록 출수가 늦어 발아율은 직선적으로 낮아지고, 천입종이 무거울수록 발아율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 PDF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잡초종의 Allelopathic 잠재성 평가 (Assessment of Allelopathic Potential of Some Weed Species on Alfalfa(Medicago sativa L.) Germination and Early Seedling Growth)

  • 정일민;디 에이 밀러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21-130
    • /
    • 1995
  • 본 실험은 알팔파 발아와 초기생육에 대한 canada thist1e 등 7종잡초의 allelopathic 잠재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실시하였다. 1. 7종류 잡초의 지상부와 지하부 추출물의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대한 억제효과를 비교하면 두 추출물이 공히 알팔파 발아와 생육에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지상부의 추출물이 지하부의 추출물보다 더 큰 억제작용을 보였으며, 이 중에서 velvetleaf 추출물이 가장 억제적이었고(b=3.69), crabgrass 추출물은 가장 낮은 억제정도를 보였다(b=2.39). 2. 농도에 따른 velvetleaf 추출물 처리에서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alfalfa 발아율, 유근의 길이, 무게 등이 대조구외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더 억제되었으며, 알팔파 발아와 유근의 생육에 대한 velvetleaf의 건조 추출물과 생체 추출물을 비교하면 건조 추출물이 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3. 건조된 velvetleaf를 silica sand와 혼합처리시 혼합비율이 증가될수록 알팔파의 초기 출현율과 생존율이 더 억제되었으며 혼합비율 1%에서는 출현율과 생존율이 44.0%, 56.7%로 가장 낮았다. 4. 잡초 잔기의 처리시간에 따른 알팔파 초기 생육에 대한 억제작용은 처리시간의 증가와 더불어 알팔파 생장이 억제되었고, 그 억제정도는 velvetleaf 72시간 처리시 가장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