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me geography

검색결과 476건 처리시간 0.03초

한국 지리학계의 세계지리 연구 동향에 관하여 (The Research Trend of World Geography in Korean Geographers' Academic Society)

  • 이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65-479
    • /
    • 2011
  • 본 논문에서 언급하는 세계지리는 한국지리를 배제한 세계지리만을 의미한다. 본 논문은 지난 21년 동안 한국 지리학계의 세 학회지 ("대한지리학회지", "한국지역지리학회지", "문화역사지리")에 게재된 세계 지리논문을 조사 분석하여 한국지리학계의 세계지리 연구 동향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세계지리 논문의 비율이 가장 높은 시기는 1995-1999년 동안이고, 가장 낮은 시기는 1990-1994년 동안이다. 2000-2004년과 2005-2010년 동안에는, 1990년대 후반에 비하여, 세계지리 논문의 비율이 오히려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국 지리학계에는 세계지리 논문의 비율이 너무 낮을 뿐만 아니라 세계지리 논문의 연구지역이 주로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에 한정되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세계화 국제화 사회에 그리고 다문화사회에 접어든 한국의 현실을 감안할 때, 한국 지리학계의 세계지리 연구 활성화를 기대해 본다.

1950년대 지학의 등장과 지리교육과정의 변화 (The Advent of Earth Science and the Changes of the Geography Curriculum in 1950s)

  • 안종욱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1-98
    • /
    • 2011
  • 해방 이후 현재까지 교육과정의 변화 가운데, 현 지리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를 결정했다고 판단되는 시점은 교수요목기에서 제1차 교육과정기로 이해되는 기간이라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면, 제1차 교육과정기에는 이전까지 '자연환경과 인류생활', '인문지리', '경제지리'의 3과목이었던 고등학교 지리과목이 '인문지리'라는 1개의 선택과목으로 줄어들었다. 또한, 과거 지문학의 일부 내용인 천문, 지질, 생물 관련 일부 내용이 교수요목기의 지리영역에는 포함되어 있었지만, 제1차 교육과정기의 '인문지리'에서는 이러한 내용이 사라지게 되었다. 이와 같은 지리영역의 축소는 당시 교육과정에서 '지학' 과목이 신설되었다는 것과 맥을 같이 한다. '지학'은 원래 '자연지리'로 기획된 것인데, 공식적인 시간배당기준표가 공표되기 10개월 전인 1953년 6월에 공개된 문교부 시안에는 '지학' 대신 '자연지리'라는 과목이 나타나 있다는 사실을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 아쉬운 점은 '자연지리'라는 이름을 끝까지 지키지 못하고 과학과의 하위 과목인 '지학'으로 과목명이 변경되었다는 점이다. 현재 지리교육이 당면하고 있는 위기의 기저에는 이러한 제1차 교육과정기 자연지리 영역의 축소 및 지학의 등장이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현 위기의 극복을 위해서는, 지리가 축적해온 자연 및 인문 환경에 대한 포괄적인 관점과 학문적 소산을 바탕으로, 현재보다 더 많은 교육적 의미를 가진 교과목으로 변화시키고자 하는 지리교육계의 노력이 요구된다.

시공간 개인통행자료의 지리적 시각화 (Geovisualization Environment for Spatio-temporal Trajectory of Personal Activity)

  • 안재성;이양원;박기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310-320
    • /
    • 2005
  • 이 연구는 GPS 수신기를 통해 수집된 개인통행자료를 이용하여 통행패턴의 시공간적 특성을 다양한 그래픽으로 요약하고 탐색적 분석을 가능케하는 지리적 시각화 환경을 제안하고 이를 구현 및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에서는 시공간입방체(space-time cube)를 바탕으로 시간지리학 개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시간산포기둥(temporal dispersion cylinder), 평행평면그림(parallel plane plot)과 같은 부가적인 시각화 도구의 구현을 통해 개인통행패턴의 시공간적 속성 및 이동경로 주위지역의 사회경제적$\cdot$자연적 속성을 함께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개인통행자료에 포함되어 있는 "언제", "어디에서", "무엇을"이라는 세 가지 정보요소들을 동적으로 탐색 및 질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건강지리학: 지리학과 공중보건 간의 연관성 탐색 (Health Geography: Exploring Connections between Geography and Public Health)

  • 주라에브 주흐리딘;안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5-168
    • /
    • 2023
  • 스마트 건강도시, 지역, 지오인터넷(geo-internet) 및 블록체인 기술의 통합으로 인해 건강지리학이 중요해 졌다. 본 연구는 개인과 집단이 직면한 특정한 건강 문제를 중심으로 지리와 건강의 교차점을 탐구한다. 학술문헌들을 바탕으로 관찰 및 기술적 방법을 사용하여 세계적인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사회경제적 요인을 탐색하고, 지역적 접근방식을 취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우즈베키스탄의 보건 문제에 대한 간결한 사례 연구를 제시하여 귀중한 통찰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기사와 UN 출판물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분석은 건강지리학의 학제 간 연구의 특성을 보여주고, 분석 결과는 연구자와 정책 입안자에게 실용적인 적용 가능성을 제공한다. 또한, 전체적인 연구 결과는 지역별 질병을 해결하는 데 있어 지리학 및 보건 건강과학의 중요한 역할을 강조하는 동시에 질병 발생을 포함한 환경 위험 및 건강 영향을 이해하는 데 있어 공간 분석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한국지리학의 발전과 사회적 공헌 (The Development of Korean Geography and Its Contribution to Society:1945-2005)

  • 이기석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99-808
    • /
    • 2005
  • 이 글은 학회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한국지리학 발전을 뒤돌아보고 동시에 학문의 사회적 공헌을 다각적 시각에서 점검하였다. 그간 한국지리학은 짧은 반면에도 왕성한 학회 활동과 개인적 연구업적에 의해 학문적 기반을 토착화하고 전문화를 달성하였다. 또한 개인 학자들은 그들의 전문분야와 관련하여 국가 관련기관에 자문에 응하고, 관련 주요 연구기관에 진출하였으며 전문서적의 출간과 국내외 지리적 이슈에 참여하여 사회적 공헌에 이바지하였다. 앞으로 지리학은 저변 확대와 함께 사회적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체 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며 학문의 정체성을 더욱 분명히 하여야 할 것이다.

문답 대한 신지지 내용분석- 자연지리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ntents Analysis on Questioning Daehan- Sin- Gygi - Focusing on the Contents of Physical Geography -)

  • 강철성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17-27
    • /
    • 2010
  • 본 연구는 20세기 초 개화기 때, 이태국이 편찬한 '문답 대한신지지' 내용 중에서 서문과, 내용 목차, 내용 체계, 주요 내용(자연지리 부분) 순으로 내용을 분석하여 당시의 지리관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문답 대한신지지 교과서 서술 내용은 대체로 전통적 지리관을 극복하고, 실학사상에 근거하여 과학적 지식을 도입한 계몽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자연지리 내용을 중시하고, 총론은 계통적 접근 방법으로, 각론은 지지적 접근 방법으로 행정 구역에 따라 조선의 각 지방을 서술하였다. 백과사전적인 현상 사실을 포괄하고 있기 때문에 그 내용이 조직화, 구조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내용체계와 자연지리 내용 분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한문으로 기술되어 한문을 해석하는 고충을 어느 정도 덜게 하였다. 둘째, 간명하면서도 명료하여 기억하기 쉽도록 구성되어 배우기가 쉽다. 셋째, 산세, 지세, 기후, 하천, 도서, 해만 순으로 서술하였는데, 과학적인 자연지리 서술내용은 적으나, 최초로 질문-응답의 방법을 취하여 서술한 점이 높이 평가된다고 사료된다.

한국의 지리학연구 60년 회고와 전망 (Retrospects and Prospects of Sixty Years of Geographical Studies in Korea)

  • 박삼옥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770-788
    • /
    • 2005
  • 본고에서는 대한지리학회지와 지리학전문학회지 그리고 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하여 주요 연구동향을 정리하였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연구동향을 바탕으로 앞으로 21세기에 한국지리학의 위상을 높이기 위하여 나아가야 할 과제와 연구방향을 전망하였다. 한국지리학 60년은1970년대 이전과, 1980년대, 1990년대, 그리고 21세기에 해당하는 2001년 이후의 4개시기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 시기에 따라 발전의 내용이 양적${\cdot}$질적으로 상당히 다르게 나타났다. 지난 60년 동안의 한국지리학 연구는 양적인 면에서 엄청난 변화를 하였고 한국사회의 변화와 호흡을 함에 하면서 내용과 방법론에서 역동성과 다양성을 보여주었다. 도시화와 산업화 및 급속한 경제성장을 겪으면서 한국의 지리학 연구는 국토공간의 실상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사례연구에서부터 정책적 이론적 연구를 행하여 지리학의 발전을 꾀하여 왔다. 앞으로 2세기는 "지식정보사회", "고령사회", "범지구촌시대"라는 키워드가 현실화되는 사회로 변하게 될 것이며, 지구촌 사회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친환경적인 제반 정책이 중시될 것이다. 앞으로 한국에서 지리학연구는 새로 다가오는 지구촌의 변화된 사회에 적합하고 지리학의 본질을 활용할 수 있는 연구방법과 대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자연-인문의 통합적 연구, 학제적 연구, 해외지역과 북한지역연구, 한국적 지리학이론과 모델의 정립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충남 부여 능산리 충적평야의 홀로세 후기 고환경 변화 (The Change of Paleoenvironment during the Late Holocene in the Neungsan-ri Alluvial Plain, Buyeo-gun, Chungnam-Province, Korea)

  • 윤순옥;김애선;황상일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1
    • /
    • 2016
  • This study estimated vegetation environment and agricultural activity during the late Holocene inferred from pollen analysis of peat on floodplain of Wangpo-cheon around Neungsan-ri, Buyeo-gun, South Korea. By result of pollen analysis of 28 horizons from Trench NS 1 and NS 4, vegetation environment during 2,300 to 1,700 yr BP was divided into Pollen Zone I (Quercus-Alnus), Pollen Zone II (Quercus-Alnus-Gramineae) and Pollen Zone III (Pinus-NAP-Gramineae). The pollen analysis suggests that agricultural activity in the Buyeo area was widely spread from the early time of the Pre-Iron Age to the late Samhan Age and buckwheat field seem to be built to substitute paddy field during the early time of the Pre-Iron Age.

시간지리학 관점에서 본 스마트워크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mart Work through the Lens of Time-Geography Theory)

  • 김용영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13권3호
    • /
    • pp.99-121
    • /
    • 2011
  • 모바일 정보기술의 발전으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극복한 스마트워크의 시대가 열렸다. 조직에서는 똑똑한 단말기와 끊김없는 접속을 통해 스마트워크에 적합한 업무 방식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나아가 스마트워크를 활용하여 조직 활동과 조정 및 협업 프로세스를 재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조직의 생산성과 성과를 극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으며, 스마트워크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하지만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스마트워크를 통해 극복된 시공간 제약조건을 체계적으로 설명하는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공적으로 스마트워크를 구축하여 운영 중인 서울도시철도의 사례(SMRT T&F)를 시간지리학의 제약조건에 기반한 프레임워크를 통해 분석하였다. SMRT T&F 사례 분석을 통해 조직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조건을 극복하는 과정뿐 아니라 스마트워크를 성공적으로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성공 요인을 도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밝히고, 향후 스마트워크 관련 연구 방안에 대해서도 제시하였다.

학회.학과.연구소를 중심으로 본 중국지리학사: 1909~1978 (A Study on the History of Geography in China: 1909~1978)

  • 이강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17-432
    • /
    • 2013
  • 이 논문은 중국지학회 창립(1909년)부터 개혁개방(1978년) 무렵까지 중국 지리학의 역사에 대해 주로 학회조직, 대학의 학과, 연구소 등을 중심으로 살피고 있다. 중국지학회, 우공학회, 중국지리학회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전 창설된 지리학 관련 학회였다. 이 학회들은 중화인민공화국 수립 이후 중국지리학회로 통합되었다. 1921년 중국 최초의 지리학과가 주커전(竺可楨)에 의해 난징의 둥난대학(난징대학)에 창설되었다. 이후 중산대학, 저장대학, 칭화대학, 베이징사범대학 등에 주로 '지학(地學)' 또는 '사지(史地)'라는 명칭 하에 지리학 전공이 설치되었다. 1949년 공산정권 수립 후 1958년까지 소련식 지리학의 도입을 통한 활성화가 모색되었다. 1950년대 초 학회와 대학 학과들에 대한 구조조정이 있었으며, 베이징대학 지질지리학계를 비롯한 지리학 관련 학과들과 중국과학원 지리연구소가 설립되었다. 1950년대 중국의 지리학은 농업생산에 기여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었고, 자연지리학과 경제지리학 위주의 연구와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1958년 대약진운동 이후 1978년 개혁개방 무렵까지 중국지리학은 침체상태에 있었다. 개혁개방은 중국 지리학에 새로운 기회이자 위기로 다가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