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idal variation

검색결과 367건 처리시간 0.026초

바지락 치패의 폐사에 관한 연구-I 간척지의 간출시에 있어서의 온도, 염분변화와 유입하천수의 지하염분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Natural Mortality of the Young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I. Seaonal Variation of the tidal Temperature, Sainity , and the Effect of Overflowing Fresh Water on the Subterranean Salinity of the Tidal Flat at Low Tide)

  • 최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6
    • /
    • 1966
  • Frequently , large masses of the young short necked clam, Tapes japonica , die at their tidal flats in summer and this phenomenon has not been explained clearl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is to study the thermal condition and the chlorinity level of tidal flats in which the young clam appears to be injured. A study is also mad efor the burrowing organism in the lower layer of the esturay over which the fresh water flow during the low tide. Observation are made at five places of the tidal flat near Ikawazu Fixheries Laboratory of Tokyo University during the ebb and flow tide period of the spring tide. The diurnal and monthly changes of tidal temperatures and chlorinities are measured. Results of the study are ; 1.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tidal flat increases with the ebb tide, reaches the highest between 12-14PM, and gradually decreases thereafter. The temperatures of tidal flat below 5 and 10 cm increase gradually until the flow tide reaches the surface. 2. At the spring tide in summer , the diurnal change of surface of the tidal flat temperature is very extensive ; it reaches 37-39$^{\circ}C$ in August. At the depths of 5 and 10 cm the temperature remains at 33 $^{\circ}C$ and 31$^{\circ}C$ , respectively. 3. The chlorinity of the tidal flat is higher during May through June and lower July through August, and this seems to be related to the amount of rainfall. 4. The chlorinity of the surface of tidal flat increases slightly during the ebb and flow tide periods. The observed higher chlorinity of surface of the tidal flat was 18.82% Cl. 5. At near the esturay, the fresh water that overflows the tidal flat affects the chlorinity of the surface but no such influence to the depth of the flat. 6. From above observations, it is assumed that the young short necked clam in the tidal flat could be exposed to the severe change of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high temperature of the tidal flat in summer and the low chlorinity of it at flood period may be considered as the change in environment.

  • PDF

한국 남해안 중부에 위치한 광양만 조간대의 해조상과 군집 (Composition of Marine Algal Community at the Intertidal Zone in Gwangyang Bay, South Sea, Korea)

  • 최창근;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01-207
    • /
    • 2008
  • The seasonal variation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the marine algal community were investigated using the quadrat method from February 2006 to January 2007 at 10 sites in Gwangyang Bay, Korea. In total, 48 red, 17 brown, and 13 green algal taxa were identified. The algal vertical distribution in the intertidal zone was characterized by Ulva pertusa, while the upper tidal zone was dominated by Gelidium divaricatum. The middle zone was primarily composed of Enteromorpha linza, Sargassum thunbergii, and Chondracanthus intermedia, whereas Hizikia fusiformis, Sargassum thunbergii, Gelidium amansii, and Corallina pilulifera characterized the low tidal zone. Results of cluster analysis indicated that algal composition fell into two groups, which were composed of species in the inland and open sea. In conclusion, the number of species, diversity, and abundance of vegetation in this area were remarkably reduce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in Gwangyang Bay.

영산강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변화 (Changes of Sedimentary Environment in the Tidal Flat of the Dammed Yeongsan River Estuar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김영길;이명선;장진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687-697
    • /
    • 2019
  • 하굿둑과 좁고 깊은 수로형 하구의 특성을 갖는 영산강 하구에서 하구 갯벌의 퇴적환경 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6년 동안(2005~2011) 표층퇴적물의 입도와 조간대 바닥의 높이 변화(침·퇴적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고, 2008년 9월에는 하구 조간대에서 수리관측을 수행하였다. 전체 갯벌의 82 %가 연안개발에 의해 사라진 영산강 하구의 갯벌은 현재 대부분 하부조간대의 좁은 갯벌로 남아있으며, 대부분 점토와 실트로 구성된 퇴적물은 전체의 70 ~ 94 %를 실트가 차지할 정도로 점토-부족, 실트-우세의 특성을 보인다. 이는 개발에 따른 점토퇴적 공간(즉 조상대와 상부 조간대)의 상실과 낙조류 우세의 조류 특성 변화에 기인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하구의 갯벌 퇴적물은 바람이 강한 가을부터 봄까지 실트가 많아져 조립해지고, 바람이 약하고, 방류량이 많은 여름에 점토가 많아져 상대적으로 세립해지는 계절적 변화를 보임으로써 하구 갯벌에서 퇴적물 입자의 거동이 실트 입자의 경우 풍파에 의해서, 점토 입자의 경우 주로 담수 방류와 조석작용에 의해 영향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하구 갯벌에 대한 6년 동안(2005~2011)의 침·퇴적 모니터링 결과는 영산강 하구 조간대에서 연평균 -2.6 cm/y의 침식이 이루어졌고, 2010년경에는 특이하게 연평균 4 cm/yr의 퇴적이 일어났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하구 조간대의 침식은 하굿둑 및 영암-금호 방조제 건설 이후에 이루어진 조석의 진폭 증가와 낙조 우세 조류의 비대칭성 강화에 기인된 것으로 평가되며, 2010년의 퇴적은 하구 준설에 따른 부유물의 대량 발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서해 연안해역에서 M2 분조와 M4 분조의 분포 및 변화 (Spatial Distribution and Time Variation of M2 Tide and M4 Tide in the Western Coast of Korea)

  • 정태성;정진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255-265
    • /
    • 2013
  •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기왕에 발표된 조위와 조류 조화상수를 수집하여 정리하고, 국립해양조사원에서 관측한 서해안 검조소의 장기 조위자료와 경기만과 남서해안의 단기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하였다. 이 자료를 토대로 우리나라 연안해역에서 조석과 조류의 분포특성 특히 비선형성을 조사하였으며, 장기 조위자료를 조화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M_2$ 분조와 $M_4$ 분조의 시간변화와 개발사업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M_2$ 분조의 진폭은 서해안 전역에서 과거에 비해서 전반적으로 감소하고 있었으며, 위상은 빨라지고 있었다. $M_2$ 분조의 비선형 상호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비선형 분조인 $M_4$ 분조도 $M_2$ 분조와 마찬가지로 전반적으로 진폭은 감소하고, 위상은 빨라지고 있었다. 조석의 비선형성은 서해남부해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군산해역에서도 비교적 뚜렷하게 나타났다. 조류 비선형성은 조석과 마찬가지로 지역적으로는 서해남부해역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전반적으로 유속이 빠른 서해와 남해의 대부분 조석수로에서도 비교적 크게 나타났다. 서해에서 전반적으로 조석 비선형성이 해안개발사업의 효과로 증가하고 있었으며, 서해 중부와 북부의 창조우세특성과 남부의 낙조우세특성은 각각 심화되고 있었다. 특히 새만금방조제 건설은 서해중부와 남부의 조석체계를 다른 사업들에 비해서 크게 변화시켰다.

파고계산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방파제 기대피해도 산정 (Calculating Expected Damage of Breakwater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Wave Height Calculation)

  • 김동현;김영진;허동수;전호성;이창훈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26-132
    • /
    • 2010
  • 천해파 예측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방파제 기대피해도 산정방법을 개발하였다. 극치분포를 따르는 심해파고를 이용하여 방파제 위치에서의 유의파고를 얻기 위해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였다. 조위와 심해파를 입력받은 인공신경망이 천해유의파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학습시켰으며 파랑변형 해석에 사용되는 수치모델(SWAN)의 예측결과와 대등한 성능을 보였다. 천해파 예측 인공신경망을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천해파를 매우 손쉽고 빠르게 얻을 수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기대피해도 해석에 사용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 또한, 파고예측 시 방파제 위치에서의 조위 변동성에 따른 기대피해도를 상호비교함으로써 조위변동성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기대피해도를 과다 또는 과소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강화도 장화리 조간대의 퇴적 특성 (Sedimentary Characteristics in the Tidal Flat of Janghwa-ri, Kangwha Island, Eastern Yellow Sea)

  • 오재경;도종대;조용구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28-340
    • /
    • 2006
  • 강화도 장화리 니질 조간대의 계절 변화에 따른 지형 변화와 퇴적 환경을 알기 위해서 4개 측선의 지형 변화, 112점의 표층 퇴적물 그리고 2점의 주상 퇴적물을 얻어 퇴적학적 분석과 방사선 동위원소 분석을 수행하였다. 표층 퇴적물은 크게 4가지의 퇴적상 즉, 사질, 니질 사, 사질 니, 실트로 나누어졌다. 장화리 조간대는 겨울철로 갈수록 표층 퇴적상이 조립해지고, 조간대 경사가 급해지는 등 전형적인 계절적 변화가 나타났다. 주상퇴적물에서 전체적인 퇴적상은 실트가 우세하고 분급은 불량하였다. Pb-210 동위원소를 분석한 결과 강화도 조간대의 평균 퇴적속도는 약 5 mm/yr로 나타났다. 또한 주상시료 최상부 퇴적상의 차이는 최근 이 연구 지역의 급격한 퇴적환경 변화를 지시하며, 이는 최근 주변 해역의 대규모 연안 개발 사업과 연관되어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웨이블릿방법을 이용한 조위편차 성분 분리 및 단주기 특성 분석 (Decomposition of Tidal Residual Data Using a Wavelet Method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Their Short-period Components)

  • 강주환;김양선;조홍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65-171
    • /
    • 2013
  • 조차가 큰 해역에서 조위편차 역시 크게 나타나고 있음은 조위편차 내에 조석성분이 남아있음을 의미한다. 상관관계함수를 통한 분석을 시행한 결과에서도 서해안 해역에서 조석주기 부근의 자기상관계수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이러한 사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조위편차의 단주기성분에 해당하는 이러한 조석관련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웨이블릿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의하면 조차가 클수록 조석주기성분이 크게 나타나고 있으며 단주기 성분에서 계절별 변화가 심하지 않다는 점과 목포의 경우 천해조성분인 6시간 주기성분이 유독 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단주기 성분과 조석관련성분의 관련성을 연관지을 수 있다. 이와 함께 24시간 이내 단주기 성분의 조위편차는 조석예측오차 및 조석-해일 비선형성 등에 주로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조석변조해일성분은 조석자체에 기인하므로 기상조 성분인 해일고와는 구분되어야 한다.

새만금해역에서 밀도성층의 계절 변동 (Seasonal Variation of Density Stratification in the Saemangeum Waters, Korea)

  • 김태인;이형래;장경일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3호
    • /
    • pp.339-352
    • /
    • 2006
  • Seasonal and tidal variations of density stratification in the Saemangeum waters are investigated based on synoptic CTD observations between July 2003 and September 2005. CTD data used in this study are those obtained after closing the dike No. 4 and before closing the two final gaps, the Sinsi and the Garyeok, on the Saemangeum tidal harrier. A total of 19 field campaigns comprehend a wide temporal spectrum, that is, few seasons, spring and neap tides, and high and low waters. In addition, ADCPs were anchored and CTDs were cast at three stations for 25 h in July 2005. Water columns are vertically homogeneous in autumn and winter. The vertical homogeneity persists in spring but with an occasional weak stratification in i:he nor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Increased reshwater runoff tends to stabilize the water columns and strong density stratification is established in summer. The mean potential energy anomaly (PEA) in summer used as a stratification parameter is the largest $(27.7\;J\;m^{-3})$ in the nor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where the Geum River discharge dominates, the smallest $(16.9\;J\;m^{-3})$ is in the inner area of the barrier, in between the two $(21.6\;J\;m^{-3})$ in the southern part of the Gogunsan Islands. Whereas the stratification is generally strengthened in summer, strong winds or large tidal currents over the shallow depths frequently destratify the water column near the mouth of river runoff inside the tidal barrier. Periodic stratification, the development of stratification on the ebb and its breakdown on the flood, occurs in the mid-area inside the barrier induced by the tidal straining, which can also be found in the results of 25 h observation.

한반도 연안 조위편차의 확률밀도함수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of the Tidal Residuals in the Korean Coast)

  • 조홍연;강주환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9
    • /
    • 2012
  • 조위편차는 최근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으로 연안 안전 방재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인자로 부각되고 있다. 태풍강도 등과 더불어 변화가 예상되는 조위편차는 해안구조물의 안전 및 기능검토에 필요한 기준해수면 결정에 기여하는 중요한 인자이다. 우리나라 연안 조위편차의 확률밀도함수는 음 양의 왜도와 정규분포보다 큰 돌도를 가지는 분포로, 정규분포로 근사화하는 방법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비모수적 방법인 Kernel 함수를 이용하여 확률밀도함수를 추정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확률밀도함수는 조위편차자료의 분포와 매우 우수한 일치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다양한 극값 추정에도 높은 수준의 정도를 보여주고 있다.

물질순환모델을 이용한 제주항의 수질관리(I) - 제주항의 물리해양환경의 변화 - (Water quality management of Jeiu Harbor using material cycle model(I) - The Variation of Phys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s in Jeiu Harbor -)

  • 조은일;이병걸;오윤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5-32
    • /
    • 2002
  • In order to control of water quality in Jeju harbor, variation of physical oceanographic environments was estimated using material cycle model. It is composed of the three-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for the simulation at water flow and material cycle model for the simulation of water quality. The three 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simulation of the circulation and mixing in Jeju Harbor has been conducted forced by Sanzi River Discharge, Tidal elevation, wind and Solar heat in case of August and November, 2000 and February and May, 200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numerical model and observation show that the model can produce realistic results of current in the harbor. The monthly variation of velocity pattern are not so much changed are found In Jeju Harbor. The residual current was forced by temperature, salinity, density, wind and tidal current. The residual current of August, 2000 are the strongest among four month. It can be explained that the density effect can be important role in residual current at Jeju Harbor. As the results of salinity distribution simulation, very low concentration of all levels were simulated in August, 2000. The flowrate of Sanzi river was investigated 77,760 ㎥ /d in August, 2000. Therefore, pollutant loadings from Sanzi river should be considered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Jeiu har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