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yme extrac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32초

생약제(Herbs, Plant Extracts)의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ry Herbs and Plant Extracts on the Performance of Broiler Chicks)

  • 우경천;김찬호;남궁연;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52
    • /
    • 2007
  • 육계 사료에 허브와 식물체의 추출물의 첨가가 생산능력, 영양소 소화율, 장내 미생물, IgG, 혈액의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차례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 1은 대조구, 항생제($Aviilamix^{(R)}premix-avilliamycin$ 0.02 %) 0.03%구, Herb M (Herb $mix^{(R)}$-지황 10%, 산약 10%, 당귀 20 %, 오미자 5%, 감초 5%, 천궁 10%) 0.2%구, Plant extract B(BIOSTONG $510^{(R)}-Anise$ Extract 20%, Thyme Extract 17%, Quillaja 30%) 0.02%구, Plant Extract A($APEX^{(R)}$ - garlic, anise, cinnamon rosemary, thyme, Talin등 50%) 0.02%구 등 5개 처리구를 두었다. 시험 2는 대조구, 항생제($Aviilamix^{(R)}$premix- avilliamycin 0.02%) 0.03% 구, Plant Extract D($Digestarom^{(R)}$-peppermint oil, gentian, horse-tail herb, saponins, oak bark 50 %) 0.02 %구, Plant extract P($Phellozyme^{(R)}$ -Kilmora lavan extract, bromelain extract, bioflavonoid, propolis 15%) 0.1%구, Plant Extract G($Galicin^{(R)}$-allicin 10%) 0.05%구, Plant Extract C(CRINA $POULTRY^{(R)}$-cinnamon, lemongrase, savory, rosewood, spearmint, tea) 0.05%구 등 6개 처리구를 두었다. 시험 1은 1일령 육계($Ross^{(R)}$종) 1,000수(암 수 각각 500수)를 공시하여 5처리 4반복 반복당 50수(암 수 동수) 씩을 floor pen(가로: 2.0 m, 세로: 2.4 m)에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2는 1일령 육계($Ross^{(R)}$종) 240수(암 수 각각 120수)를 공시하여 6처리 4반복, 반복당 10수(암 수 동수) 씩을 케이지(가로: 35.5 cm, 세로: 45 cm, 높이: 55 cm)에 완전 임의배치하여 각각 35일간사양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1에서 생산지수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높은 경향이 있었고 herbs M구가 가장 높았다. 시험 2에서 $4{\sim}5$주 사료 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사료 요구율은 항생제 처리구가 다른 처리구보다 낮았다. 시험 1의 RBC와 적혈구 용적 (HCT 또는 PCV), Hb는 첨가구들이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2의 BA는 대조구보다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혈청 IgG 농도는 대조구에 비해 첨가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시험 1과 시험 2의 장내 미생물 균총과 영양소 이용율은 처리간에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일부 한방제와 생약제제는 육계에서 항생제를 대체하여 사용이 가능하며 특히 혈액의 성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13종 허브추출물의 수퍼옥사이드 소거능과 세포독성 및 면역증강 효과의 in vitro계 검색 (In vitro Studies on the Superoxide Scavenging Activities, the Cytotoxic and the Immunomodulating Effects of Thirteen Kinds of Herbal Extracts)

  • 정하열;김현배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99-705
    • /
    • 2000
  • 인간의 체내에서 과량으로 생성된 활성산소가 자체 방어기전에 의해서 분해 혹은 소거되지 않는 경우에 이는 생체 조직 내 세포와 면역체계에 관련된 효소들을 손상시켜 암이나 면역질환과 같은 퇴행성 질환을 야기 시키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대 이집트 시대이래 지금까지 서구에서 약초 혹은 향초로서 사용되어온 13종 허브추출물에 대해서 유해산소 소거능을 검색하고 SRB assay 방법에 따라 두가지 암세포주(Hepa-lclc7, KB-3-1)와 정상세포주(L-929)에 대한 세포 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이들에 의한 대식세포의 활성화와 같은 면역체계의 증강 유도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NO test에 따라 대식세포의 활성화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 13종류의 허브추출물에서 일반적으로 medicinal 허브로 분류되고 있는 eucalyptus, peppermint, mate, sage, thyme, yarrow 등의 수퍼옥사이드 소거능이 다른 허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Hepa-1c1c7, KB-3-1과 같은 암세포주 및 L-929와 같은 정상세포주에 대하여도 세포독성을 나타냈으며 이때 각각의 허브추출물에 의해 측정된 암세포주에 대한 $IC_{50}$ 값들은 정상세포주에 대한 $IC_{50}$ 값들보다 크거나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어 암세포주에만 선택적으로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면역증강 활성실험에 있어서는 수퍼옥사이드 소거능이 다른 허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6종류의 허브추출물 중에서 sage 만이 표준시료의 37% 정도의 활성을 나타내어 각 시료의 수퍼옥사이드 소거능과 면역증강 활성과의 연관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섬백리향 잎과 줄기 추출물의 항염 활성에 관한 세포생물학적 연구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e Extracts from Leaves and Stems of Thymus quinquecistatus var. japonica (H.Hara))

  • 이선미;백정인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125-133
    • /
    • 2021
  • Objectives : Thymus quinquecistatus var. japonica (H.Hara) is a member of the genus Thymus of perennial aromatic herb, and it's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of South Korea. It has traditionally been known to have protective or therapeutic effects on various human disease including cerebrovascular and neurological disease. Recently it was suggested that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thyme has anti-fungal and anti-bacterial effe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effect of Thymus quinquecistatus var. japonica in Raw 264.7 macrophage cell line. Methods : The cytotoxic effects of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from Thymus quinquecistatus var. japonica, was tested using MTT assay.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s to nitric oxide production and mRNA expression of inflammatory cytokines were examined by RT-PCR. Also, MitoSOX-red assay and JC-1 assay were performed to determine if the extracts can inhibit mitochondrial ROS accumulation and maintain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Results : In LPS-induced inflammatory response, the extracts efficiently reduced nitric oxide NO production through inhibiting mRNA expression of iNOS enzyme. In addition, expression of the proinflammatory cytokines, IL-1𝛽 and IL-6, was also down-regulated by the extract treatments. Excessive accumulation of mitochondrial ROS induced by LPS was inhibited in the extract treated cells, which finally protected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water and 70% ethanol extracts from Thymus quinquecistatus var. japonica have anti-inflammatory effect through down regulation of IL-1𝛽, IL-6, and iNOS, and also have antioxidative effect against mitochondrial ROS accumulation that promote inflammatory response.

천연 항균물질을 이용한 황토모르타르의 항곰팡이 성능 평가 (Antifungal Performance of Hwangtoh Mortars with Natural Antifungal Substances)

  • 소형석;김정우;이보람;소승영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75-83
    • /
    • 2015
  • 본 연구는 다양한 천연물계 항균물질로부터 추출된 추출액(extract)들의 자체 항곰팡이 성능을 평가하고, 이를 적용한 항균모르타르의 항곰팡이 성능과 그 지속성능, 그리고 항균성능 등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찰함으로써 효율적인 건축물 내 항균대책 및 친환경 항균 건자재(모르타르 포함) 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마조람 추출액 및 이를 적용한 항균모르타르의 항곰팡이 성능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유기계 화학 항곰팡이제 및 이를 적용한 모르타르와 동등수준의 높은 항곰팡이 성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마조람 추출액 5% 혼입 모르타르는 장기 항곰팡이 성능뿐 아니라 대장균, 녹농균 및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능에서도 뛰어나 그 활용가능성이 크게 기대되었으며, 향후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검토가 요구된다.

Nematocidal Screening of Essential Oils and Herbal Extracts against Bursaphelenchus xylophilus

  • Elbadri, Gamal A.A.;Lee, Dong-Woon;Park, Jung-Chan;Yu, Hwang-Bin;Choo, Ho-Yul;Lee, Sang-Myeong;Lim, Tae-Heo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178-182
    • /
    • 2008
  • Five essential oils and 15 herbal extracts were evaluated to control Bursaphelenchus xylophillus in laboratory. The essential oils from clove plant (Syzygium aromaticum), mustard (Brassica integrefolia), thyme (Thymus vulgaris), and Pelargonium inquinans were found to be highly promising and gave excellent control of the nematodes at all the time of exposure. Among them, the least one gave 91.3% mean mortality rate at 24 hours of exposure time, which is highly significant from the control. While in the second study, most of the methanol (Desmodium caudatum, Paulownia coreana, Auckulandia lappa, Sophota flavescens, Aloe sp., Rheum palmatum, Zingiber officinale, Magnolia officinalis, and Eugenia caryophyllata), hexane (Torreya nucifera, Pharbitis nil, Prunus mume, Melia azedarach, and Xanthium strumarium), and hot water (Cinnamomum cassia) herbal extracts killed the nematodes, but in varying degrees compared to the control. Only one extract was found to be promising viz Magnolia officinalis which found to b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and gave mean mortality of 72, 82.3, and 85.3 % for 24, 48, and 72 hours exposure, respectively. Further screening was conducted for M. officinalis with concentrations of 1,000, 100, and 10 ppm against the same species of nematode with the same time of exposure. However, it gave an excellent result for 1,000 ppm for all time of exposure, whereas for the 100 and 10 ppm it gave mean mortality of 39.5 and 25.8% for the time 72hrs, respectively that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Neem과 mustard oil이 곤충병원성 선충과 누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Neem and Mustard oils on Entomopathogenic Nematodes and Silkworm)

  • 하판정;김태수;이신혜;추호렬;최성환;김영섭;이동운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54-64
    • /
    • 2010
  • 13종의 식물 정유(anise oil, clove oil, marigold, mustard oil, neem oil, quassia, quilaja, rosemary oil, rotenone, tea tree extract, thyme oil, wintergreen oil, and yucca)와 caffeine이 산업곤충인 누에(Bombyx mori)와 생물적 방제 인자의 하나인 곤충병원성 선충 Steinernema carpocapsae GSN-1 계통(Sc)과 Heterorhabditis sp. Gyeongsan 계통(Hg)에 미치는 영향을 실내 검정하였다. 1,000 ppm 농도의 식물체 추출물들 중 neem oil이 누에에 대한 살충활성이 가장 높았다. Neem oil을 처리한 뽕잎을 공급하였을 때, 급상 5일과 10일 후 누에의 치사율은 각각 55.3%와 100%였다. 그리고 neem oil이 처리된 뽕잎을 섭식한 누에는 번데기와 고치를 형성하지 못하였다. Rotenone을 처리한 뽕잎을 공급받은 누에의 고치와 번데기 무게는 각각 0.27 g과 1.01 g으로 가장 적었다. Mustard oil은 곤충병원성선충에 대하여 살선충 활성이 높았다. X-plate에서는 mustard oil 20 ppm 처리 시 곤충병원성선충 Sc와 Hg의 치사율이 처리 3일 후 각각 69.0%와 100%였으며 5 ppm 농도에서도 4%와 36%의 치사율을 보였다. Sand barrier에서 Sc를 100 ppm 농도의 mustard oil과 혼합 처리 시 꿀벌부채명나방(Galleria mellonella) 노숙 유충의 치사율은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으나 Hg의 경우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30% 낮은 꿀벌부채명나방 치사율을 보였다. 꿀벌부채명나방 유충의 체내에 정착한 선충 수는 Hg가 Sc에 비하여 적었다. Sand barrier내 생존 Sc 선충 수는 200 ppm 이하 농도에서는 무처리구와 차이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