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ree dimensional scanner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25초

Validation of a low-cost portable 3-dimensional face scanner

  • Liu, Catherine;Artopoulos, Andreas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9권1호
    • /
    • pp.35-43
    • /
    • 2019
  • Purpos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a low-cost portable scanner (Scanify) for imaging facial casts compared to a previously validated portable digital stereophotogrammetry device (Vectra H1). This in vitro study was performed using 2 facial casts obtained by recording impressions of the authors, at King's College London Academic Centre of Reconstructive Science. Materials and Methods: The casts were marked with anthropometric landmarks, then digitised using Scanify and Vectra H1. Computed tomography (CT) scans of the same cast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validation of Vectra H1. The 3-dimensional (3D) images acquired with each device were compared using linear measurements and 3D surface analysis software. Results: Overall, 91% of the linear Scanify measurements were within 1 mm of the corresponding reference values. The mean overall surface difference between the Scanify and Vectra images was <0.3mm.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depth measurements. Merging multiple Scanify images produced significantly greater registration error. Conclusion: Scanify is a very low-cost device that could have clinical applications for facial imaging if imaging errors could be corrected by a future software update or hardware revision.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한 상악 제1유구치 치관의 크기와 형태에 관한 연구 (A MORPHOMETRIC STUDY OF THE MAXILLARY PRIMARY FIRST MOLARS USING THREE-DIMENSIONAL SCANNER)

  • 이종범;김종철;한세현;이상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43-652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상악 제1유구치 치관의 크기와 형태적 특성을 3차원 스캐너를 미용하여 계측하고 국정 금속관과의 크기와 형태학적인 차이를 비교하는 것이다. 3차원 레이저 스캐너(Breuckmann opto Tep-HE100, INUS. Korea)로 스캔한 132aud 어린이들의 상악 제1유구치 경석고 모형을 Rapidform 2004 프로그램(INUS, Korea)을 이용하여 각 치아의 근원심경과 협설경, 교합면-치경부간 거리, 근원심경에 대한 협설경의 비율을 계측하고 평균치를 얻었으며, 남녀 상악 제1유구치의 평균적인 크기와 형태를 얻고 기성 금속관과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악 제1유구치 디관의 좌우측 크기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상악 제1유구치 치관의 남녀간 크기에 있어서 남자의 치관 크기가 유의하게 더 큰 값을 보였고(p<0.05), 치관의 형태에 유의한 치이는 보이지 않았다(p>0.05). 3. 3차원 이미지로 상악 제1유구치를 재구성하여 나타낸 평균적인 남녀 상악 제1유구치의 크기는 3M의 기성 금속관과 비교 시, 남자는 기성 금속관의 4, 5번 사이, 여자는 기성 금속관의 4번과 유사하였고, 일성의 기성 금속관과 비교 시 기성 금속관의 근원심경이 커서 협설경을 기준으로 남자는 5번, 여자는 4번과 유사한 크기를 보였다. 4. 3M의 기성 금속관에 비해 재구성한 평균치의 치관 형태가 근심 설측 우각 부위, 원심 설측 우각 부위에서 더 풍융하였고, 협측 치은 융기의 치경부 1/3부위가 더 풍융한 양상을 보였으며, 남자의 치관보다 더 풍융한 양상을 보였다. 일성의 기성 금속관은 평균치의 치관 형태보다 정사각형의 형태를 나타냈고, 근원심경이 더 긴 양상을 나타냈다.하악 유견치의 치근 흡수의 완료는 하악 제 1 유구치 보다 빨랐으며, 하악 유견치에서 치근 흡수에 소요된 총 기간은 가장 짧았다. 5. 치근 흡수의 속도는 흡수 말기가 초기에 비해 빠른 경향을 나타냈다. 정확한 유치 치근의 흡수시기에 대해 알기 위해서는 정기적이면서 종적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ture model index(SMI), degree of anisotropy (DA)는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4. 조직 절편을 관찰한 결과, 부드러운 사료를 먹인 실험군에서 하악 과두의 연골층의 증식 층과 전체 두께가 상당히 감소하였다.항성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8379, 근심면 평균 0.8223, 설면 평균 0.7766, 원심면 평균 0.6781 순으로 나타났다. 4. 치아 우식증 진단율을 비교한 결과 교합면, 협면, 설면에서는 $DIFOTI^{TM}$ 이미지 판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근심면과 원심면에서는 방사선 판독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p<0.05).는 P=0.009로 나타났다. 임상생징후 변화는 유의성이 없었다. 4. 종양환자의 검사치간의 시기별에 따른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유의확률이 0.05 이하인 수치들은 Hb과 Albumin, K, Na간, Neutrophil과 Leukocyte간이었고 상관계 수치는 $0.370{\sim}0.442$ 사이로 나타났다. 유의확률 0.01이하로 조사된 수치는 Cholesterol과 ALT간, LDH와 Platelet, Creatinine간, Platelet와 BUN간, Na와 K수치간 이었으며 상관계수는 $0.531{\sim}0.866$사이로 나타났다.

  • PDF

사면 변형 측정을 위한 3차원 레이저 스캐너의 적용 (Application of 3-D Laser Scanner for the Measurement of Slope Displacement)

  • 오석훈;서백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555-562
    • /
    • 2010
  • 응력을 받고 있는 사면의 변형 여부를 분석하기 위해 3차원 레이저 스캐너를 이용하여 일정 기간의 차이를 두고 정밀 측량을 수행하였다. 3차원 레이저 스캐너는 비접촉식으로 레이저 빔의 주행시간을 이용하여 대상점의 3차원 좌표를 결정할 수 있는 장비로써, 사면이나 대형 구조물의 변위를 분석하는데 매우 유용한 장비이다. 스캐닝은 약 7개월의 시간차이를 두고 이루어졌으며, 측정간의 비교를 위해 사면의 외부에 기준점을 유지하여 사용하였다. 변형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평면각 변화, 곡면도 변화, 격자 틀의 각도 변화, 공통 병합점의 편차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사면의 변형이 특히 많이 발생한 지점을 결정할 수 있었고 이를 보수·보강 방안의 마련에 활용할 수 있었다.

지상레이저스캐너 성능평가를 위한 테스트베드 구축 방안 (Test-Bed Establishment Scheme for Terrestrial Laser Scanner' Performance Evaluation)

  • 이인수;차득기;김수정;김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39-49
    • /
    • 2009
  • 3차원 지상레이저스캐너는 짧은 시간에 대상물의 수많은 위치에 대한 고정도의 3차원 좌표를 얻을 수 있는 장비로서 측지분야를 포함하여 토목공학, 고고학 및 건축, 그리고 응급서비스 및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응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 이용되는 지상레이저스캐너 장비는 대부분 외국에서 수입되고 있으며, 현재 측량장비로서 공인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지상레이저스캐너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장비 검정과 성능평가를 위한 실외 표준 테스트베드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상레이저스캐너의 테스트베드 구축과 관련하여 국외 사례를 고찰하여 이를 통해 국내 테스트베드 구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3차원 인체치수 조사 자료의 품질 개선을 위한 연구 (A Study for Quality Improvement of Three-dimensional Body Measurement Data)

  • 박선미;남윤자;박진우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117-124
    • /
    • 2009
  • To inspect the quality of data collected from a large-scale body measurement and investigation projec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per data editing process. The three-dimensional body measurement may have measuring errors caused from measurer's proficiency or changes in the subject's posture. And it may also have errors caused in the process of algorithm expressing th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hree-dimensional scanner into numerical values, and in the course of data-processing dealing with numerous data for individuals. When those errors are found, the quality of the measured data is deteriorated, and they consequently reduce the quality of statistics which was conducted on the basis of it.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new way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e three-dimensional body measurement by proposing a working procedure identifying data errors and correcting them from the whole data processing procedure-collecting, processing, and analyzing- of the 2004 Size Korea Three-dimensional Body Measurement Proje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to three stages: Firstly, we detected erroneous data by examining of logical relations among variables under each edit rule. Secondly, we detected suspicious data through independent examination of individual variable value by sex and age. Finally, we examined scatter-plot matrix of many variable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s among them. This simple graphical tool helps us to find out whether some suspicious data exist in the data set or not. As a result of this study, we detected some erroneous data included in the raw data. We figured out that the main errors are not because of the system errors that the three-dimensional body measurement system has but because of the subject's original three-dimensional shape data. Therefore by correcting some erroneous data, we have enhanced data quality.

Comparison of Reproducibility of Linear Measurements on Digital Models among Intraoral Scanners, Desktop Scanners,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Jo, Deuk-Won;Kim, Mijoo;Kim, Reuben H.;Yi, Yang-Jin;Lee, Nam-Ki;Yun, Pil-Young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5권1호
    • /
    • pp.1-8
    • /
    • 2022
  • Purpose: Intraoral scanners, desktop scanners, and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are being used in a complementary wa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Limited patient-based results are available about dimensional reproducibility among different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dimensional reproducibility among patient-derived digital models created from an intraoral scanner, desktop scanner, and two CBCT system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nine arches from sixteen patients who were candidates for implant treatments were enrolled. Different types of CBCT systems (KCT and VCT) were used before and after the surgery. Polyvinylsiloxane impressions were taken on the enrolled arches after the healing period. Gypsum casts were fabricated and scanned with an intraoral scanner (CIOS) and desktop scanner (MDS). Four test groups of digital models, each from CIOS, MDS, KCT, and VCT, respectively, were compared to the reference gypsum cast group. For comparison of linear measurements, intercanine and intermolar widths and left and right canine to molar lengths were measured on individual gypsum cast and digital models. All measurements were triplicated, and the averages were used for statistics. Bland-Altman plots were drawn to assess the degree of agreement between each test group with the reference gypsum cast group. A linear mixed model was used to analyze the fixed effect of the test groups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α=0.05). Result: The Bland-Altman plots showed that the bias of each test group was -0.07 mm for CIOS, -0.07 mm for MDS, -0.21 mm for VCT, and -0.25 mm for KCT. The linear mixed model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est and reference groups (P>0.05). Conclusion: The linear distances measured on the digital models created from CIOS, MDS, and two CBCT systems showed slightly larger than the references but clinically acceptable reproducibility for dia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20대 여성의 목밑둘레 형태 유형화 및 특징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eck-base Shape of Korean Females in Their Twenties)

  • 황근영;남윤자;박재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3_4호
    • /
    • pp.502-510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eck shapes of women by classifying their neck-base types according to the shapes of neck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The subjects were 58 women $18\~24$ years of age. Their body were measured directly and indirectly by using camera, 3-dimensional body scanner. The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composed of 17 items. They were measured during the months of October in 2001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three kinds of neck-base type. The first type was slant from the back neck-base to the side neck-base, and slant from the side neck-base to the front neck-base. The second type was gentle from the back neck-base to the side neck-base, and gentle from the side nect-base to the front neck-base. finally, the third type was gentle from the back neck-base to the side neck-base, and slant from the side neck-base to the front neck-base. Hopefully, understanding the shapes of neck and characteristics of each neck-base type will help to suggest computer assisted neck-base's landmark identification algorithms and measurement extraction methods from three-dimensional body scan data.

3차원 구조광 스캐너를 이용한 식물의 잎 면적 측정 방법 (Measuring Leaf Areas with a Structured-Light 3D Scanner)

  • 남경희;고은미;문새로미;김창기
    • 생태와환경
    • /
    • 제47권3호
    • /
    • pp.232-238
    • /
    • 2014
  • 3차원 구조광 스캐너를 이용하여 비파괴적, 비접촉적으로 식물 잎 면적을 측정하는 방법을 고안하고자 하였다. 3차원 구조광 스캐너를 이용하여 측정한 콩의 잎 면적은 엽면적 측정기로 측정한 잎 면적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콩의 V1~V4까지의 각 생장단계마다 3차원 스캔 이미지를 이용하여 측정한 잎 면적은 지상부를 수확한 후 측정한 생중량 분석 결과와 매우 높은 상관관계($R^2=0.98$)를 나타내었다. 가뭄 및 염분 스트레스 환경에서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시간에 따른 콩의 생장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대조구의 식물체 잎 면적은 시간이 경과될수록 증가한 반면 가뭄 및 염분처리구의 식물체 잎 면적은 처리 12일과 14일 후 각각 감소하여 처리구 간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3차원 스캐너를 이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식물체의 잎 면적과 생체량을 효과적으로 추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3차원 컴퓨터 그래픽 기술을 이용한 KONUS 내관의 설계와 제작 (DESIGN AND FABRICATION OF INNER KONUS CROWN USING THREE DIMENSIONAL COMPUTER GRAPHICS)

  • 김인섭;김병오;유관희;강동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544-551
    • /
    • 2000
  • A fabrication method of inner and outer crown using CAD/CAM is presented. The information of abutment teeth is transferred to a computer through a 3-dimensional scanner. A Konus inner and outer crown is designed on a computer and a real crown is machined based on this design using CAM. This method can save laboratory time and reduce inaccuracies compare to conventional casting procedure. A stone model with six prepared abutment teeth from a patient was used in this study. Three dimensional information from the model was transferred to a computer using a contact type 3-dimensional scanner with a $25{\mu}m$ accuracy. All margins were identified on a computer image where there is a change in surface taper of a model. To provide a cement space, the image of a inner sur face of a Konus inner crown was duplicated $25{\mu}m$ apart from the surface of a prepared abutment teeth image. The cement space was $20{\mu}m$ at the cervical margin. All Konus crowns were machined with a $10{\mu}m$ accuracy. It was concluded that this method can reduce working-time for the laboratory process and increase accuracy. A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make a simplified process for a more complex prosthesis.

  • PDF

단일 수복물과 3본 고정성 수복물 지대치 모델에서 삼차원 분석을 통한 구강 스캐너의 정확도 비교 (Comparison of the accuracy of intraoral scanner by three-dimensional analysis in single and 3-unit bridge abutment model: In vitro study)

  • 황미양;손큰바다;이완선;이규복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02-109
    • /
    • 2019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단일 수복물 지대치와 3본 고정성 수복물 지대치 모델에서 3종류의 구강 스캐너에 따른 정확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본 연구에서는 단일 수복물 지대치와 제1대구치가 상실된 3본 고정성 수복물 지대치를 제작하고, 이를 주모형으로 설정하였다. 제작된 주 모형은 산업용 삼차원 스캐너로 스캔하였고, 이를 참조 스캔 데이터로 설정하였다. 3종류의 구강 스캐너(CS3600, CS3500, 그리고 EZIS PO)를 이용하여 주 모형을 5회 스캔 하였다. 이를 평가 스캔 데이터로 설정하였다. 삼차원 비교분석(Geomagic control X)에서 지대치의 스캔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해 분할된 지대치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alpha}=.05$). 구강 스캐너 정확도는 kruskal-wallis test를 실시하여 비교하였고, pairwise test로 사후 검정을 실시하였다. 단일 수복물 지대치 모델과 3본 고정성 수복물 지대치 모델의 정확도 차이는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구강 스캐너에 따른 정확도의 측정결과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 < .05). 그리고 단일 수복물 지대치 모델과 3본 고정성 수복물 지대치 모델의 진도(trueness)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주었으며, 단일 수복물 지대치에서 더 좋은 진도를 나타냈다 (P < .05). 정밀도(precision)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P = .616). 결론: 단일 수복물과 3본 고정성 수복물 지대치의 정확도를 비교한 결과, 스캔 영역이 늘어날수록 지대치 스캔의 오류는 증가하였고, 3종류의 구강 스캐너에서 3본 고정성 수복물 지대치 모델의 스캔 정확도는 임상적으로 허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