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odiglycol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Thiodiglycol를 분해하는 Cupriavidus sp.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Thiodiglycol-Degrading Cupravidus sp.)

  • 박종덕;김지천;윤기홍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11-316
    • /
    • 2007
  • 탄소원으로 thiodiglycol(TDG)을 함유한 배지에서 농후배양하여 인삼토양으로부터 TDG 분해균을 분리하였다. 분리균 WS-32의 형태적, 생화학적, 유전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분리균이 Alcaligenes faecalis와 유사한 생화학적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16S rRNA 서열이 Cupriavidus 속 균주와 유사도가 높은 균주로 판명되었다. WS-32는 $33^{\circ}C{\sim}37^{\circ}C$, pH $6.0{\sim}8.0$에서 성장이 우수하였으며, TDG에 의해 성장에 약간의 저해를 받지만, 배양후기에서는 이를 탄소원으로 이용하는 현상을 보였다. HPLC를 통해 배양액 내 잔존하는 TDG를 분석한 결과 2일 배양하였을 때 배지내 잔존하는 TDG가 상당량 감소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리균 WD-32의 균체 파쇄상등액은 TDG의 산화활성을 보였으며, pH 8.0과 $45^{\circ}C$에서 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다.

Sulfur Mustard(HD)의 가수분해 (Hydrolysis of Sulfur Mustard(HD) in Water)

  • 이용한;이종철;최수;홍대식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3호
    • /
    • pp.291-297
    • /
    • 2007
  • 수포작용제의 일종인 sulfur mustard(HD, bis 2-chloroethylsulfide)를 무해한 물질로 전환하기 위한 공정 운영조건을 찾기 위하여 물에 의한 HD 가수분해 반응을 연구하고 분석절차를 수립하였다. 반응은 2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HD 10~20 wt%를 $90^{\circ}C$ 물에서 2시간 동안 가수분해 한 후 상온에서 가성소다 수용액(2.1 당량)을 주입하면서 반응시간에 따른 HD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조건에서 HD의 분해효율은 99.99% 이상 이었으며 가수분해 후의 최종 분해물질은 thiodiglycol 68 wt%, 1,2-bis(2-hydroxyethylthio)ethane 8 wt% 및 bis(2-hydroxyethylthioethyl)ether 24 wt% 이었다.

수용액에서 SPE-ACF를 이용한 특정화학물질의 신속 스크리닝 기법 연구 (The Study on the Rapid Screening of Schedule Chemicals in Aqueous Solution Using SPE-ACF)

  • 박훈;정창희;이용한;홍대식
    • 대한화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39-248
    • /
    • 2008
  • 활성탄소섬유(ACF; activated carbon fiber)를 흡착제로 사용한 고상추출법(SPE; solid phase extraction)으로 수용액 시료 중에 존재하는 특정화학물질(schedule chemicals)의 분석법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특정화학물질은 화학작용제류의 가수분해 생성물과 유사작용제로 사용되는 알킬포스포네이트류, 티오디글리콜 등 14종이었다. 분석을 위한 추출물의 실릴 유도체화 반응에서 피리딘을 사용하여 특히 3-quinuclidinol의 유도체화 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었다. 물 시료에서 아민류의 추출 회수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SPE-ACF 튜브에 시료를 부하하기 전에 5% triethylamine/MeOH(1 mL) 용액으로 SPE-ACF 튜브를 세척한 후에 시료를 SPE-ACF에 부하하는 방법으로 추출 회수율을 증대시킬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수용액 시료에서 특정화학물질을 신속히 검출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