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obarbituric acid value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39초

Lutein과 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 급여가 계육의 저장중 지질 산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Lutein and 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 Supplementation on the Lipid Oxidation of Broiler Meat during Storage)

  • 민병진;김혜정;강창기;이성기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09-214
    • /
    • 2003
  • 육계사료에 xanthophylls의 첨가가 닭고기의 지질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사료에 lutein과 apocarotenoic acid ethyl ester(Apo-ester)를 각각 10 ppm과 20 ppm 첨가하여 브로일러를 6주간 사육하였다. 도계후 가슴육과 다리육으로 분리하여 3$^{\circ}C$에서 9일, -18$^{\circ}C$에서의 4개월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냉장저장중 모든 계육의 pH는 증가하였고 xanthophylls 급여육이 대조구보다 높았다. 저장중 TBARS와 POV는 가슴육보다 다리육에서 더 높았다(p<0.05). Xanthophylls 급여육은 대조구에 비해 지질산화가 억제되었고(p<0.05) 가슴육보다는 다리육에서, 냉장기간보다는 냉동기간중에 억제효과가 더 높았다. 첨가농도별 효과를 보면 10ppm보다는 20 ppm 급여육에서 지질산화가 더 억제되었다. Lutein과 apo-ester 급여구간 유의차는 없었으나(p>0.05), lutein 20 ppm 급여육이 가장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육계사료에 xanthophylls의 두 종류인 lutein과 apo-ester를 첨가하면 닭고기의 지질산화를 지연시킬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저염수산발효식품의 가공에 관한 연구 4. 저염 멸치젓의 가공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s 4.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Anchovy)

  • 차용준;박향숙;조순영;이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3-367
    • /
    • 1983
  • 옛부터 남도지방에서 즐겨 먹어 온 전통적인 수산발효식품의 하나인 멸치젓은 다른 젓갈류와 마찬가지로 식염함량이 높아 그 짠맛이 문제점으로 대두되어왔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식염농도가 낮은 멸치 젓을 가공하고자 에틸알코올, 젖산 및 솔비톨을 첨가하여 저염멸치젓의 가공조건과 아울러 BHA 또는 고추가루를 첨가하였을 때의 항산화효과를 실험하였다. 원료멸치에 식염을 $8\%$, BHA를 $0.02\%$ 혹은 고추가루를 $0.5\%$ 첨가한 저염멸치첫은 식염을 $20\%$ 첨가하고 BHA를 $0.02\%$ 첨가한 것과 마찬가지로 관능검사 결과 숙성 55일경에 가장 맛이 좋았으며, 휘발성염기질소는 숙성 90일 이후에도 100 mg/100 g 범위였다. 또한 아미노질소함량은 숙성 55일경에 가장 높았다. TBA값은 BHA를 $0.02\%$ 첨가한 제품이 염농도에 관계없이 항산화력이 가장 좋았으며, 고추가루를 $0.5\%$ 첨가한 제품은 BHA 보다는 항산화력이 떨어지나 대조시료와 비교하여 볼 때 유도기가 연장되는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과산화물값은 TBA값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생균수는 숙성기간중 저염(식염 $8\%$)젓 이 대조제품(식염 $20\%$) 보다 생균수가 낮았다. 원료멸치에 대하여 젖산 $0.5\%$, 솔비톨 $6\%$ 및 에틸알코올 $4\%$를 첨가함으로써 재래식멸치젓(식염 약 $20\%$) 보다 식염함량을 $\frac{1}{3}$정도 감소시킨 저염젓갈을 가공할 수 있었으며, 저장성도 있고 맛도 좋았다.lla sp.와 Navicula sp. 및 Chaetoceros sp. 등의 연안내만성종이다. 이들중 8월의 Rihzosolenia alata f. gracillima와 11월의 Astrionella gracillima는 특히 우세하였다.cosapentaenoic acid가 서로 비슷한 양으로 존재하면서 주성분을 이루고 있었다. 4) sterol조성에 있어서는 시료에서 다 같이 전sterol성분에 대한 cholesterol의 함양분포가 $82.4\sim89.1\%$로서 가장 많았고 그외 소양성분으로서 22-dehydrocholesterol 과 24-methylenecholesterol이 각 시료에 공통적으로 함유하고 있었다. 5) 총지질에서 분획한 비극성복질(신성지질)과 극성지질의 함양비는 시료에서 다 같이 비극성낙질보다 극성지질의 함양이 훨씬 높았다. 그리고 극성지질중에서도 당지질보다 린지질의 함양이 월등히 높았다. 6)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유리 sterols의 함양분포가 중성서질에 대하여 $50.0\sim70.5\%$로서 주성분을 이루며, 그 다음 서로 비슷한 양으로 나타나는 esterified sterol, 유리지방산 및 triglyceride가 분리 동정되었다. 그리고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 oleic acid, hexadecadienoic acid 주성분이었다. 7)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은 palmitic acid가 가장 많고 그가 oleic acid, linoleic acid, octadecatetraenoic acid, myristic acid가 구성지방산의주함분을 이룬다. 그러나 특히 꼴뚜기의 당지질에는 이들 지방산외에 arachidonic acid의 함양이 월등히 높아 주성분의 하나였다

  • PDF

멸치젓 숙성중 지질의 산화와 지방산 조성의 변화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and Lipid Oxidation in Anchovy During Fermentation with Salt)

  • 서해점;정보영;남택정;변재형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95-201
    • /
    • 1998
  • 멸치젓 숙성 중 지질의 산화가 멸치젓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코자 멸치에 대하여 식염을 $10\%$$20\%$ (w/w)로 혼합한 다음, 각각 $10^{\circ}C$$20^{\circ}C$에서 105일간 숙성시키면서 POV와 TBA 값 및 지질함량과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POV와 TBA 값에 비추어 숙성초기에는 식염농도 $10\%,\;10^{\circ}C$ 숙성멸치젓이 식염농도 $20\%,\;20^{\circ}C$ 숙성멸치젓보다 산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숙성과정중 TL함량은 $10\%$ 멸치젓에서 약 $16\%,\;20\%$ 멸치젓에서 약 $33\%$ 감소하였고, 전자에서는 TL중 주로 PL이 감소하였으나, 후자에서는 PL 및 NL이 거의 등량으로 감소하였다. 주요지방산, 즉 14 : 0, 16 : 0, 16 : In-7, 18 : In-9, 20 : 5n-3, 22 : 6n-3 함량은 생시료에 비하여, 숙성 105일째 $10\%$ 멸치젓에서는 평균 약 $81\%$의 잔존율을, $20\%$ 멸치젓에서는 평균 약 $67\%$의 잔존율을 나타냈다.

  • PDF

The effect of finishing diet supplemented with methionine/lysine and methionine/α-tocopherol 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Barido, Farouq Heidar;Utama, Dicky Tri;Jeong, Hae Seong;Kim, Juntae;Lee, Chang Woo;Park, Yeon Soo;Lee, Sung K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69-78
    • /
    • 2020
  •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effects of diets with and without supplements of methionine/lysine (met/lys) and methionine/α-tocopherol (met/α-tocopherol) on the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Methods: A total of 21 Hanwoo steers were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groups. Each group consisted of 7 animals that received different dietary treatments for 120 days as follows: a control (C) diet composed of a basal diet with 74% total digestible nutrient and 12% crude protein; treatment 1 (T1) composed of a basal diet enriched with methionine 69%+lysine 31%; and treatment (T2) composed of a basal diet enriched with methionine 84.65%+α-tocopherol 15.35%. Daily supplementation was given using the top-dressing method (20 g/animal). Results: The met/lys groups yielded a longissimus lumborum with increased water holding capacity (p<0.01) and lower shear force value (p<0.05). Dietary met/lys did not have an adverse effect on the animal performance and carcass traits. Instead, these supplements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higher protein content compared to the control diet (p<0.05). Myristic acid (C14:0) was the only fatty acid affected by the supplementation. While the met/α-tocopherol group led to significantly higher protein and oxymyoglobin contents during storage (p<0.05). It also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lower shear force value an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score during storage (p<0.05) compared to the control and treatment 1 since the initial storage day. The met/α-tocopherol diet also yielded meat with a redder color (p<0.05) after 3 days of storage. However, it did not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fatty acid profiles of Hanwoo steers. Conclusion: Met/lys supplementation resulted in higher protein scores, water holding capacity and lower shear force scores. While met/α-tocopherol supplementation contributes to the production of redder meat, reduces lipid oxidation, production of more tender meat and increases the content of protein and oxymyoglobin percentage.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Angelica acutiloba Kitagawa Ethanol Extract)

  • 김아라;이재준;이명렬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22
    • /
    • 2009
  • 본 연구는 일당귀의 생리활성 및 기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in vitro에서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과 용매별 분획물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능, 항산화 지수, 아질산염 소거능,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 지질과산화 억제 효과를 측정하여 일당귀의 항산화력을 측정하였다. 일당귀 에탄올 추출물을 n-hexane, chloroform, ethylacerate, n-butanol, water로 계통 분획하여 DPPH radical에 대한 자유기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 n-hexane 분획이 $39{\mu}g/ml$로 가장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ancimat로 측정한 항산화 지수도 분획 중 n-hexane 분획이 1.7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서도 모든 pH에서 n-hexane 분획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H 변화에 따른 각 분획의 아질산염 소거 작용은 pH 1.2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지질과산화물 생성 억제 효과는 n-hexane 분획이 87.7%로 가장 높았으나,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BHT의 억제율보다는 낮았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과산화물가로 측정한 결과도 n-hexane의 항산화력이 가장 우수하였고 ethylaceta, chloroform, n-butanol, water 순이었다. 이상의 결과 일당귀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 원인물질에 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일당귀 추출물의 in vitro 에서 항산화효능의 우수함을 통해 일당귀의 천연항산화제로서 개발 및 활용성을 기대해 본다.

구기자 분말이 첨가된 유과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효과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Yukwa Prepared with Lycii fructus Powder)

  • 박복희;양효현;조희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745-751
    • /
    • 2012
  • 유과의 저장성 향상과 기능성 효과가 있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구기자 분말(Lycii fructus powder)을 첨가한 유과를 제조하여 $50^{\circ}C$에서 40일 동안 저장하면서 유과의 저장과정 중 항산화효과와 품질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구기자 첨가 유과 중 구기자 5% 첨가 유과의 밀도와 부피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대조군에 비해 구기자 첨가 유과의 퍼짐성과 수분함량이 더 많이 증가하였다. 색도에서 구기자 첨가량이 많을수록 L값은 낮게, a값과 b값은 높게 나타났으며 조직감은 구기자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구기자 유과의 관능평가에서는 유과의 색, 맛, 풍미, 조직감에서 구기자 5% 첨가 유과가 가장 높은 점수를 보였으며 대조군이 전반적인 기호도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저장 기간 중 구기자 유과의 산가를 살펴보면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모든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대조군보다 구기자 첨가군에서 훨씬 낮았으며 구기자 5%첨가 유과에서 가장 낮은 산가를 나타냈다. 과산화물가는 저장 20일까지는 약간씩 증가하다가 그 후 30일까지는 급격히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과산화물가 역시 구기자 5% 첨가 유과에서 가장 낮은 과산화물가를 나타냈다. TBA가는 대조군에 비해 구기자 첨가군이 낮은 값을 나타내 지방의 산화를 지연시켰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구기자 분말을 유과에 첨가 제조 시 저장성 향상과 기능성 효과를 갖는 소재로써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자색 콜라비를 첨가한 햄버거 패티의 품질 및 저장 특성 (Quality Properties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Hamburger Patty Added with Purple Kohlrabi (Brassica oleracea var. gongylodes))

  • 차선숙;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12호
    • /
    • pp.1994-2003
    • /
    • 2013
  • 본 연구는 마쇄한 자색 콜라비의 첨가가 햄버거 패티의 품질 및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으며, 콜라비 첨가량은 각각 0, 3.3, 6.6 및 10%로 제조하여 $5^{\circ}C$에서 15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특성 및 저장 특성을 조사하였다. 패티의 일반성분은 조지방과 조단백질 함량은 콜라비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조회분과 수분 함량은 증가하였다. 네 종류의 패티에서 가장 많은 조성을 차지하는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ysine, leucine의 순이었으며,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의 경우 palmitic acid가 가장 많았고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가 가장 높았다. 열량, 보수력 및 가열감량은 처리구별 커다란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pH는 대조구에 비해 10% 콜라비를 첨가한 K3구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그 차이는 작았다. 조직 특성에서는 탄력성과 응집성이 콜라비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또한 관능평가에서 콜라비 6.6%와 10%를 첨가한 K2구와 K3구에서 색, 다즙성, 연도, 풍미 및 전체 기호도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어 바람직하였다.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지질산패도, VBN 함량 및 총 미생물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0% 콜라비를 첨가한 K3구는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지질산패도와 VBN 함량이 저하되었으나 총 미생물 수는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10% 콜라비의 첨가는 패티의 품질과 저장 특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Effects of Grapefruit Seed Extract on Oxidative Stability and Quality Properties of Cured Chicken Breast

  • Kang, Su-Tae;Son, Hee-Kyoung;Lee, Hyun-Joo;Choi, Jung-Seok;Choi, Yang-Il;Lee, Jae-J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29-439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and functional effects of a curing agent containing grapefruit seed extract (GSE) on the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chicken breast. The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of GSE were 45.06 mg/g and 36.06 mg/g, respectively. The $IC_{50}$ value of 2,2-diphenyl-1-picrylhydrazyl hydroxyl scavenging of GSE was $333.33{\mu}g/mL$. The chicken breast comprised six groups: no-treatment (N), 0.2% ascorbic acid + 70 ppm sodium nitrite (C), 0.05% GSE (G0.05), 0.1% GSE (G0.1), 0.3% GSE (G0.3), and 0.5% GSE (G0.5). The pH and cooking loss of cured chicken breast decreased with increasing GSE levels, and the water holding capac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GSE levels. The hardness and chewiness of GSE-treated chicken breast were higher than those of N and C. Hunter's L and a color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GSE addition. Moreover, 0.1% GSE (G0.1) increased the flavor and total acceptability scores. The 2-thiobarbituric acid and volatile basic nitrogen values of the 0.5% GSE group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C group. Total microbial counts of GSE-treated chicken breast were higher than those of C, but that lower than those of N. Adding GSE to chicken breast delayed lipid peroxidation and had antimicrobial effects during cold storage. GSE improved shelf life and palatability; therefore, it could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functional curing agent ingredient in meat products.

Bacillus polyfermenticus SCD의 항산화 및 콜레스테롤 저하효과 (Antioxidative and Cholesterol-reducing Activity of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 정황영;김태훈;박준석;김기태;백현동
    • KSBB Journal
    • /
    • 제18권5호
    • /
    • pp.371-376
    • /
    • 2003
  • 프로바이오틱 생균인 B. polyfermenticus SCD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항산화 및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검증하였다. DPPH법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48% 정도였으며, TCA법에 의한 활성은 45%로 측정되었다. 그리고 TBARS 법에 의해 측정된 활성은 stimulator가 존재할 때 60%에 달하였으며, SOD 유사활성은 15% 정도였다. 이러한 활성은 기존의 항산화제인 BHT나 $\alpha$-tocopherol의 1% 용액과 비교할 때, 비슷하거나 약간 낮은 수치를 보여 준다. 향후 항산화 물질이 정제되어 이 물질의 1% 용액과 1% 농도의 기존 항산화제의 활성을 비교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 같은 뚜렷한 B. polyfermenticus SCD의 항산화력을 바탕으로 천연 항산화제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B. polyfermenticus SCD의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는 0.3% oxgall이 존재할 때, 64% 정도였다. 이 수치는 oxgall이 존재하지 않을 때 수치(67%)와 비교할 때, 큰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콜레스테롤 저하 기작은 세포내 흡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nhibition of lipid and protein oxidation in raw ground pork by Terminalia arjuna fruit extract during refrigerated storage

  • Chauhan, Pranav;Pradhan, Soubhagya Ranjan;Das, Annada;Nanda, Pramod Kumar;Bandyopadhyay, Samiran;Das, Arun K.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2호
    • /
    • pp.265-273
    • /
    • 2019
  • Objective: Terminalia arjuna plant, specially its leaves, bark, and roots, are widely used in traditional herbal medicine due to presence of bioactive components and being a rich source of natural antioxidants. But its fruit has not been used for any such purposes despite its potential to retard oxidation. Hence, the antioxidant potential of Arjuna fruit extract (AFE) in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of raw ground pork was evaluated during refrigerated storage for 9 days. Methods: The AFEs were prepared using different solvents viz. ethanol (EH), water, ethanol: water (60:40) and methanol:hot water (60:40). The AFEs were analysed for total phenolic content (TPC), 2, 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power. Water extract (WE) and ethanol-water extract (EH-WE) were selected and incorporated at 1.0% into freshly minced pork meat and compared with a synthetic antioxidant, in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during storage. Results: The TPC in AFEs using different solvents ranged from 11.04 to 16.53 mg gallic acid equivalents/g and extracts exhibited appreciable scavenging activity ranging from 50.02% to 58.62%. Arjuna extracts significantly (p<0.05) improved the colour score of meat samples by reducing the formation of metmyoglobin during storage. Both the AFEs (WE and EH-WE) significantly (p<0.05) lowered the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 peroxide formation and formation of protein carbonyls in raw pork than control sample during storage. Upon sensory evaluation of all samples, it was found that AFE treatment could prolong the storage period of meat samples, without influencing the colour and odour score, up to 6 days. Conclusion: AFEs used at 1% improved the oxidative stability, colour and odour score and prolonged the refrigerated shelf life of ground pork up 6 days. Therefore, AFE could be explored as an alternative natural antioxidant in retarding lipid and protein oxidation in meat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