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inking style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4초

소비자의 구매의사결정에 있어 제품별 사고유형과 소비행동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inking Style and Consumption Behavior in Comsumer's Decision Making)

  • 최낙환;안려나;라광진
    • 감성과학
    • /
    • 제14권2호
    • /
    • pp.279-292
    • /
    • 2011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사고유형에 따른 소비 행동의 차이를 탐색하였다. 특히 소비자들이 실용제품의 평가에는 실용속성을, 쾌락제품의 평가에는 쾌락속성을 보다 많이 활용하게 될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소비자의 사고유형을 이성적 사고유형과 경험적 사고 유형으로 구분하고 제품속성 정보 유형에 따라 다른 사고유형을 유발시키는지를 검증하고, 이러한 사고유형이 제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소비자들은 제품유형별로 각기 다른 기준을 이용하여 평가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용재의 경우에는 평가기준으로 실용속성을 좀 더 사용하며 쾌락재의 경우에는 쾌락속성을 좀 더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속성정보 유형에 따라 유발되는 사고유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용속성 정보는 이성적 사고를 유발하는 반면, 쾌락속성 정보는 경험적 사고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실용재를 실용속성으로 평가할 경우 이성적 사고가 제품에 대한 평가를 높게 하며, 쾌락재를 쾌락속성으로 평가할 경우 경험적 사고가 제품에 대한 평가를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어머니의 사고양식 및 양육효능감과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Mother's Thinking Style,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 문태형
    • 아동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49-63
    • /
    • 2002
  • A total of 227 children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mother's thinking style and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tween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Data were gathered with Thinking Style Scale Questionnaire, Parenting Self-efficacy Scale, and Social Competency Scale: Preschool.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s were used for data analys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mother's thinking styles and parenting self-efficacy and between mother's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emerged. That is, mothers whose thinking styles were legislative, hierarchical, and liberal had more parenting self-efficacy, and children whose mothers felt more confidence in their parenting had a higher degree of social competence.

  • PDF

중등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학습흥미 및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Interest and Self-Regulated Learning by Giftedness and Thinking Style)

  • 이현주;채유정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7-68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영재성에 따라 사고양식에 따른 학습자 유형 분포의 차이를 분석하고, 사고양식 유형과 영재성에 따른 학습흥미와 자기조절학습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교육청 과학영재 과정을 이수하는 중학생 129명, 일반학생 310명이 사고양식 도구 65문항, 자기조절학습 검사 24문항, 학습흥미 검사 45문항에 응답하였고, 2단계 군집분석, $x^2$ 검증, 이원다변량분석(2 way-MANOVA), $Scheff{\acute{e}}$ 사후검증 등을 통해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위계적 군집분석 결과, 학생들은 4개의 군집, '높은 사고형', '외부-자유형', '행정-보수형', '낮은 사고형'으로 분류되었다. 영재학생 집단에서는 높은 사고형(51.2%), 행정-보수형(30.2%), 외부-자유형(17.1%), 낮은 사고형(1.6%)순으로, 일반학생집단에서는 행정-보수형(59.0%), 높은 사고형(20.6%), 외부-자유형(11.6%), 낮은 사고형(8.7%)순으로 많았다. 둘째, 사고양식에 따른 학습흥미 분석 결과, 높은 사고형은 모든 학습흥미에서 행정-보수형 및 낮은 사고형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사고적 흥미가 다른 집단에 비해 가장 높았다. 영재성에 따른 학습흥미의 분석 결과, 영재학생이 일반학생에 비하여 사고적 흥미와 탐구적 흥미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고양식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분석 결과, 높은 사고형은 모든 자기 조절 하위 구인에서 행정-보수형 및 낮은 사고형보다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특히, 통제신념은 모든 집단 중 가장 높았다. 또한 영재가 일반학생에 비하여 통제신념과 정보탐색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교육 및 지원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의 관계탐색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Learning Styles of Gif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 한기순;김희정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289-316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4, 5, 6학년 178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영재학생의 사고양식과 학습양식을 분석하고 두 변인간의 상호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하여 Sternberg의 사고양식 검사와 Grasha Reichmann Student Learning Style Questionnaire(GRSLSQ)가 활용되었다. 초등학교 영재아동의 사고양식의 경우 입법형, 사법형, 지엽형, 자유주의형, 계급형, 외부지향적인 사고양식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양식과 관련하여서는 의존형보다는 독립형, 협동형보다는 경쟁형, 회피형보다는 참여형이 높게 나타났다.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두 변인 군 간의 공유변량이 59%(Rc=.77)로 사고양식과 학습양식 간에 상당히 유의하고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제기하고 있다. 정준함수 1의 독립변인 군에서는 외부지향적, 자유주의적, 계급적, 사법적, 행정적, 입법적 사고양식 순으로 높은 정준교차부하량을 지닌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군의 경우에는 독립형, 참여형, 협동형, 경쟁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즉, 외부지향적, 자유주의적, 계급적, 사법적, 행정적, 입법적 사고양식이 높을수록 독립형, 참여형, 협동형, 경쟁형의 학습 양식 선호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가 영재들의 특성 이해 및 향후 양식 연구와 관련하여 어떠한 시사점이 있는가가 논의되었다.

과학영재들의 사고양식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간의 관계 분석 (Thinking Styl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Scientific Inquiry Ability of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이지애;박수경;김영민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3호
    • /
    • pp.773-796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소속의 중학생 과학영재 110명을 대상으로 사고 양식,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탐구능력의 특징과 수준을 조사하고, 각 하위 변인들의 관계 및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설명력을 가지는 사고양식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사고양식'은 Sternberg가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하여 제안한 개념으로 기능, 형식, 수준, 범위, 경향성 등 다섯 가지 차원에서 13가지의 유형으로 구성된다. 사고 양식 검사는 Sternberg와 Wanger (1991)의 TSI를 국내에서 타당화한 검사지를 사용하였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은 '학습방법검사'로 명명한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지를, 과학탐구능력은 국내에서 최근 개발된 과학탐구능력 검사지(TSI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 과학영재들은 입법적 사고양식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외 자유주의적, 외부지향적, 계급제, 사법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였고 보수주의적 사고양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또한, 이들 사고양식은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과학탐구능력과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었다.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유의미하게 설명하고 있는 변인은 입법적, 계급제, 지엽적, 자유주의적 사고양식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능력에 대한 설명력이 큰 변인은 입법적 사고양식인 반면 과두제 사고양식은 부적으로 나타났다. 한편, 군집분석을 통해 사고양식 유형 및 수준별로 집단을 구분한 뒤,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고양식의 유형별 집단에 따라 자기조절학습능력과 과학탐구능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Analysis on the Earth Science Concepts of the Gifted Science Students and Non-gifted students By the Type of Thinking Styles)

  • 박수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708-718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Sternberg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근거하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양식의 차이를 조사하고, 사고양식 유형에 따라 두 집단이 가지고 있는 지구과학 개념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과학영재학교 1학년 120명과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122명을 대상으로 총 65문학의 자기보고식 사고양식 검사와 서술형 지구과학 개념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학생은 입법적, 사법적, 무정부제, 전체적, 진보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여 새로운 과제를 선호하고 자기 자신의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반면에 일반학생은 행정적, 과두제, 보수적 사고양식이 우세하여 이미 짜여진 구조나 지침에 따라 문제를 해결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다. 사고양식 유형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 집단과 일반학생 집단 모두 Type I 사고양식의 학생들이 Type II 사고양식의 학생들 보다 지질학 분야와 천문학 분야 공통적으로 심도 있고 복합적인 개념을 나타내었다.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How Do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ink)

  • 한기순;배미란;박인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1-34
    • /
    • 2003
  • 본 연구는 현재 과학 영재 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266명의 과학 영재들을 대상으로 Sternberg(1988, 1990)의 정신자치제 이론에 기초한 사고양식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그들의 사교양식의 특성을 밝히고, 사고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과학영재들은 일반 학생들 보다 자유주의적이고 입법적인 성향, 그리고 사법적인 성향을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집행적이고 보수적의적인 성향보다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에 적합한 양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고양식은 지능검사 및 과학적 탐구능력과는 거의 관계가 없었지만, 창의성 검사와는 부분적인 상관을 보여 주었다. 즉 자유주의적인 성향이 강한 학생들은 TTCT검사의 독창성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고, 유창성은 보수주의적인 경향성과 부적인 상관을 보였다. 또한 사법적인 양식은 독창성 및 융통성과 긍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과학 영재들의 사고양식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과학 영재교육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예비유아교사의 사고양식과 창의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inking Styles and Creativity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황윤세;최미숙
    • 아동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47-259
    • /
    • 2005
  • The present study researched Sternberg's(1997) definition of Thinking Style as interactive and reciprocal mental self-government and explored its relationship to creativity in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The Thinking Style Inventory(Yoon, 1998) and the Creativity Test(You, 1996) were administered to 210 subjects. Data were analyzed by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WIN 10.0 program. Thinking style profiles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were confirmed by a trilateral correlation among legislative, executive, and judicial functions and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monarchic, hierarchic, oligarchic, and anarchic forms. There was a negative bilateral correlation between liberal and conservative tendencies. All sub areas of thinking styles were related to the creativity of preservice kindergarten teachers.

  • PDF

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비판적 사고 성향, 직무만족도 및 직무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mmunication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b Satisfaction and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 박효미;이혜순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8권2호
    • /
    • pp.105-112
    • /
    • 201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dictors of job stress in hospital nurses. The predictors of job stress were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communication styl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job satisfaction. Methods: 294 nurses who had worked in a hospita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sed with descriptive analysis methods including a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job stress score for nurses was 111.6.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job stress and marriage status (p<.001), education (p<.001), clinical career (p<.001), position (p<.001), communication style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p<.001), and job satisfaction (p<.001).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job satisfaction and clinical career together accounted for 36.88% of the total variation in job stress.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lead to an improvement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s suggested.

  • PDF

A Psychological Model Applied to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 Alamolhodaei, Hassan;Farsad, Najmeh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3권3호
    • /
    • pp.181-195
    • /
    • 2009
  • Students' approaches to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vary greatly with each other. The main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compare students' performance with different thinking styles (divergent vs. convergent) and working memory capacity upon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 sample of 150 high school girls, ages 15 to 16, was studied based on Hudson's test and Digit Span Backwards test as well as a math ex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ffect of thinking styles and working memory on students' performance in problem solving was significant. Moreover, students with divergent thinking style and high working memory capacity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ones with convergent thinking style. Th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math teaching and problem solving emphasizes that cognitive predictor variable (Convergent/Divergent) and working memory, in particular could be challenging and a rather distinctive factor for stu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