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rmosteric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1초

동해고유수의 해양학적 특성 II. 동해고유수와 chimney (Ocean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Jspan Sea Proper Water II. The Japan Sea Proper Water and Chimney)

  • 최용규;조규대;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21-139
    • /
    • 1995
  • Based on the Results of Marine Meteorological and Oceanographical Observations (1966 -1987), the phenomenon of chimney is found as a candidate for the formation of the Japan Sea Proper Water (JSPW). The chimney phenomenon occurs twelve times Inuring 1966∼ 1987. The water types in the chimney denoting the deep convection are similar to those of the JSPW 0∼ 1℃ in potential temperature, 34.0∼34.1 ‰ in salinity and 68∼80 cl/t in potential thermosteric anomaly from the sea surface to the deep layer. The static stabilities in the chimney stations are unstable or neutral. This indicates that the winter time convection occurs. The JSPW sunken from the surface layer of chimney in winter spreads out under the Tsushima Warm Current area, following the isosteric surface of about 76 cl/t in Potential thermosteric anomaly. The formation of the deep water of the JSPW is mainly affected by the cooling of the sea surface than the evaporation of winds because the temperature and the salinity on the isoteric surface of about 76 cl/t in potential thermosteric anomaly ate cold and low The phenomenon of chimney occurred in here and there of the area in the north of 40" 30'N, west of 138" E. This suggests that the deep water of the JSPW is formed not in a limited area but probably in the overall region of the northern open ocean.

  • PDF

하계 동해에 있어서 대마난류의 북상한계와 변동 (THE NORTHERN BOUNDARY THE TSUSHIMA CURRENT AND ITS FOUCTUATIONS)

  • 홍철훈;조규대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1983
  • 1970∼1979년 기간중 하계의 동해에 있어서 대마난류의 북상한계와 연변동을 규명하기 위해서 염분최대를 추적하고, 이값에 대한 deltaT(thermosteric anomaly) 에 관하여 검토했다. 29 N 이북의 동지나해로부터 동해북부해역에 이르기 까지 대마난류의 염분최대치 및 그 층의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그 층도 얕아졌다. 동해의 대마난류역에서 염분최대가 나타나는 층에 대한 deltaT의 값은 220-260 cl/t 이었다. 240cl/t면상의 34.4 등염선을 지표로하여 조사한 대마난류의 북상한계 는 한국 동해안측에서는 4 N 이남해역으로 한정으며, 동염선은 두가지 형태로 나타났다. 즉 동서방향인한국동해안쪽으로 치우쳐 북상하는 경우와 남남서-북북동 방향인 일본연안쪽으로 북상하는 경우였다.

  • PDF

Steric Sea Level Variability in the East Asian Seas estimated from Ocean Reanalysis Intercomparison Project Data

  • Chang, You-Soon;Kang, Min-Ji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487-501
    • /
    • 2019
  • In this study, steric height variability in the East Asian Seas (EAS) has been analyzed by using ocean reanalysis intercomparison project (ORA-IP) data. Results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ocean reanalysis and satellite data except the phase of annual cycle and interannual signals of the Yellow Sea. Reanalysis ensemble derived from 15-different assimilation systems depicts higher correlation (0.706) than objective analysis ensemble (0.296) in the EAS. This correlation coefficient is also much higher than that of the global ocean (0.441). For the long-term variability of the thermosteric sea level during 1993-2010, a significant warming trend is found in the East/Japan Sea, while cooling trend is shown around the Kuroshio extension area. For the halosteric sea level, a dominant freshening trend is found in the EAS. However, below 300 m depth around this area, the signal-to-noise ratio of the linear trend is generally less than one, which is related to the low density of observation data.

북서태평양에서의 북태평양중층수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in the Northwest Pacific)

  • 양성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29-239
    • /
    • 1994
  • 북태평양에 위치한 일본근애의 수괴분포에 대한 특성을 중층수에 중점을 두어 일본 해상 기상청이 관측한 정이 해양관측정선에서 얻어진 자료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쿠로시오해역의 T-S도상에서 분산은 비교적 작게 나타나고 있다. 쿠로시오해역에서 고온, 고염분층에서부터 저온, 저염분측으로 이동하고 있다. 혼합해역에서 수형의 분한은 북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염분측의 이동보다 저온, 저염분측으로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염분극소층에서 해수의 써모스테릭 아노말리(thermosteric anomaly)는 해양관측정선이 북에서 남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소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해수가 염분극소층을 따라 남하하는 것이 아니고, 염분극소층이 두 해수의 수직적인 경계임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서 오야시오수와 쿠로시오수의 두 전형적인 수괴를 정의하고 있따. 염분극소층보다 깊은 부분의 T-S도는 전형적인 오야시오수와 쿠로시오수가 같은 양으로 혼합하는데 대해, 염분극소층보다 상층에서는 전혀 다름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염분극소층 해수의 써모스테릭 아노말리가 북에서 남으로 이동함에 따라 뚜렷이 감소해 간다. 이러한 사실은 왜 염분극소층에서 써모스테릭 아니말리의 값이 북에서 남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감소하는지를 설명해 주고 있다.

  • PDF

Status of Observation Data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for Sea Level Study

  • Han, MyeongHee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323-343
    • /
    • 2020
  • Observation data measured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IORS) have been utilized in oceanographic and atmospheric studies since 2003. Sea level data observed at the IORS have not been paid attention as compared with many other variables such as aerosol, radiation, turbulent flux, wind, wave, fog, temperature, and salinity. Total sea level rises at the IORS (5.6 mm yr-1) from both satellite and tide-gauge observations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northeast Asian marginal seas (5.4 mm yr-1) and the world (4.6 mm yr-1) from satellite observation from 2009 to 2018. The rates of thermosteric, halosteric, and steric sea level rises were 2.7-4.8, -0.7-2.6, 2.3-7.4 mm yr-1 from four different calculating methods using observations. The rising rate of the steric sea leve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total sea level in the case with additional data quality control. Calculating the non-steric sea level was not found to yield meaningful results, despite the ability to calculate non-steric sea level by simply subtracting the steric sea level from total sea level. This uncertainty did not arise from the data analysis but from a lack of good data, even though tide,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were quality controlled two times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y Agency. The status of the IORS data suggests that the maintenance management of observation systems, equipment, and data quality control should be improved to facilitate data use from the IORS.

대마난류 수형의 계절 변화 (Seasonal Variation of the Water Type in the Tsushima Current)

  • 조규대;최용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331-340
    • /
    • 1988
  • 대마난류 수형의 계절 변화를 19개년 $(1965\~1983)$의 해양관측 자료를 사용하여 (thermosteric anomaly)로서 검토했다. $33.8\%_{\circ}$의 염분값을 지표로 살펴본 바에 의하면, 대한해협을 통해 유입된 하계 표층 저염수는 여름부터 가을동안에 표층의 수형변화에 영향을 주고 있다. 표면에서 $\delta_T$의 값은 수온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지만, 하계에는 일시적으로 염분에 영향을 받는다. 그 값은 최저 수온이 나타나는 겨울에 가장 작고, 봄에 수온의 상승에 따라 차츰 증가하며, 최고 수온 및 최저 염분이 나타나는 여름에 가장 크고, 가을에 수온의 하강에 따라 차츰 감소한다. 그리고 저염수의 유입 때문에 고오도 서방역은 8월에 779 cl/t, 한국 연안역은 9월에 622 cl/t으로 쿠로시오역의 8월의 값 622cl/t 보다 더 크다. 깊이 100m에서 $\delta_T$ 변화는 표면만큼 탁월하지 않으며, 년중 수온 변화에 의존하고, 대마난류역의 북쪽 정점으로 갈수록 감소한다.

  • PDF

하계 동해의 용존산소 분포특성과 대마난류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xygen and the Tsushima Current in the Japan Sea in Summer)

  • 홍철훈;조규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1-297
    • /
    • 1983
  • 고온${\cdot}$고염수인 대마난류는 동해에서 하계에 염분 최대층을 형성한다. 또 이 염분최대층의 용존산소($4.0{\sim}5.5\;ml/l$)는 고산소인 동해고유수 ($6.0{\sim}8.5\;ml/l$)에 비해 적은 값을 보이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하계 동해에서 대마난류가 변동함에 따른 용존산소의 분포특성과 그 변동을 파악하기 위하여, 용존산소의 연직구조에 따라 그 분포역을 구분하고 염분 최대층에서 용존산소를 조사하여 연직단면구조의 변화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존산소의 분포역은 해에 따라 다소 변동은 있으나 크게 셋으로 구분되었다. 즉 쿠로시오의 성질을 거의 그대로 보이는 $36^{\circ}N$ 이남해역, 동해 고유수의 성질을 보이는 해역($40^{\circ}N$ 이북해역) 및 그 중간해역인 대마난류역($36^{\circ}N{\sim}40^{\circ}N$)이었다. 염분최대치가 나타나는 층에서의 용존산소 및 ${\delta}_T$(thermosteric anomaly)의 범위는 대체로 $4.9{\sim}6.5\;ml/l,\;210{\sim}240\;cl/t$ 이었으나, 그 최대빈도는 각각 $5.5{\sim}5.7ml/l,\;230{\sim}240\;cl/t$ 이었다. 대마난류가 한국 동해안쪽으로 치우쳐 북상한 해의 경우에는 냉수와의 경계역에서 사행이 심하나 일본 연안쪽으로 주류가 북상한 해의 경우는 냉수와의 경계역이 매우 남하해 있고 비교적 전자에 비해 사행도 적었으며, PM 선상의 단면도로 볼 때 주축이 외해쪽으로 좀 더 이동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용존산소의 분포상태로써 대마난류의 복상한계를 파악할 수가 있었다.

  • PDF

지구온난화에 의한 북서태평양 및 한반도 근해의 해수면 상승 (Sea Level Rise due to Global Warming in the Northwestern Pacific and S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 오상명;권석재;문일주;이은일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236-247
    • /
    • 2011
  • 지구온난화로 인한 북서태평양 및 한반도 근해의 미래 해수면 상승을 IPCC AR4 기후 예측모델들의 결과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부분의 기후모델에서 제시하지 않은 지역적인 열팽창에 의한 해수면 상승을 3차원 수온과 염분 자료를 이용한 역학고도의 계산을 통해 분석하였다. 해수면 자료의 분석결과, 열팽창을 고려한 북서태평양 및 한반도 근해의 해수면 상승률은 전 지구 평균보다 최대 두 배까지 높게 나타났다. 특히, 쿠로시오 확장지역에서 가장 높은 해수면 상승 경향을 보였다. 열팽창을 고려한 A1B 시나리오에 의한 MPI_ECHAM5와 GFDL_CM2.1 모델 결과에서는 향후 100년 동안 북서태평양에서 각각 24 cm와 28 cm 그리고 한반도 근해에서 27 cm와 31 cm의 해수면이 상승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통계분석 결과, 이러한 해수면 상승은 겨울철 시베리아 고기압의 약화와 북서태평양 해역의 기압장 변화 그리고 이로 인한 바람장 및 해류의 변화로 발생한 수온변화가 그 원인으로 분석된다. 특히, 쿠로시오 확장지역의 북상에 따른 수온 변화가 북서태평양에서 가장 큰 해수면 상승을 유발한 것으로 사료된다.

Interleaving Phenomena of the North Pacific Intermediate Water in the Offshore Area of the Kuroshio

  • Yang, Sung-Kee;Lee, Byung-Gul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21-527
    • /
    • 2003
  • To study the intruded phenomena of North Pacific Ocean around Boso peninsular, water property distribution in the adjacent seas to Japan is studied using the hydrographic data obtained by Japan Maritime Agency and Japan Fisheries Agency from 1973 to 1996, The scattering of water type in T-5 diagram is relatively small in the Kuroshio Region. Both the envelopes of saline side and of fresh side of the scattered data points shifts gradually from saline side to fresh side as the observation Line moves from southwest to northeast. In mixed water region, the scattering of water type increases rapidly as the observation line moves north; the envelope of fresh cold side moves towards fresh cold side much faster than that of saline side. This suggests that the water does not advect along the salinity minimum layer, but the salinity minimum layer can be understood as a boundary of two different waters aligned vertically, We defined the typical water masses as the Oyashio Water and the Kuroshio Water. The water mass below the salinity minimum layer may be created by isopycnal mixing of these two water masses with a fixed mixing rate. While the water mass above the salinity minimum cannot be created simply by isopycnal mixing. The salinity minimum layer may be eroded from upper side due to active minxing processes in the surface layer, while the water of the salinity minimum layer moves gradually southward. This appears to give an explanation why the thermosteric anomaly value at salinity minimun decereases towards south.

한국 동해 묵호와 울릉도의 해수면의 변화 (Variability of Sea Levels at Mukho and Ullungdo off the East Coast of Korea)

  • 이재철;김순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413-427
    • /
    • 1991
  • 묵호와 울릉도에서의 해수면 및 해류와 관련된 해수면차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기압보정된 두곳의 해수면의 시계열자료는 매우 유사한 변화 양식을 보여준다. 해수면과 해수면차의 상관관계에는 두 가지 성분이 기여를 하는데 저주파의 밀도효과는 양쪽의 해수면이 동시에 상승$\cdot$하강하도록 하고 지형류 효과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진동하도록 한다. 두 가지 효과는 묵호에서는 서로 상쇄되는 반면에 울릉도에서는 더해진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시계열의 특성은 0.01 cpd를 중심으로 두 부분으로 나된다. 묵호에서는 저주파수에서 두 가지 효과가 상쇄됨으로써 상관성이 낮은 반면에 고주파수에서는 지형류 효과가 우세하여 해수면과 해수면차 사이에 $\pm 180^{\circ}$의 위상차가 생긴다. 묵호와 울릉도 사이의 역학고도의 차와 해수면차는 상관성이 높은데, 이는 묵호-울릉도 사이의 평균유속이 양쪽의 해수면 자료를 통하여 성공적으로 파악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연변화에 있어서 묵호-울릉도의 해수면차의 최대치는 대한해협보다 약 40일 늦게 나타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