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ca cells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6초

Localization of Weel and Other Cell Cycle Machinery in the Mouse Primordial and Growing Follicles

  • Park, Chang-Eun;Kim, Young-Hoon;Jeon, Eun-Hyun;Lee, Suman;Lee, Sook-Hwan;Lee, Kyung-Ah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2003년도 전기 한국발생생물학회 제16차 학술대회논문집
    • /
    • pp.21-23
    • /
    • 2003
  • Mechanisms regulate the arrest and growth of the resting primordial follicles are very poorly understood. To elucidate genes involved in the early folliculogenesis, we conducted suppression subtractive hybridization using mRNA from day1 and day5 ovaries and selected weel for further analysis, since it was most frequent gene in the day1-subtracted cDNA library (1). Expression of weel and correlated components of the cell cycle machinery, such as cdc2, cyclin B1, cdc25C, and phosphorylated cdc2 was evaluated by immunohistochemistry. In primordial follicles, expression of weel, cdcw, and cyclin B1 was cytoplasmic in oocytes, but phosphorylated cdc2 was weakly expressed in oocytes. While cdc25C expression was in ovarian somatic and in some theca cells. None of components was expressed in the pre-granulosa cells of the primordial follicles, while weel weakly, and cdc2 and cyclin B1 was strongly expressed in the granulosa cells of the growing follicles. Results from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1) the mejotic arrest of the oocytes may not due to of cell cycle machinery, and 2) the weel may arrest meiosis by sequestering cdc2 and cyclin B1 in the cytoplasm by protein-protein interactions and/or by inhibitory phosphorylation.

  • PDF

생쥐 난소 내 Nesfatin-1/NUCB2 발현과 결합 부위 확인 (Expression of Nesfatin-1/NUCB2 and Its Binding Site in Mouse Ovary)

  • 김진희;윤미라;방소영;심지연;강희래;양현원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4권4호
    • /
    • pp.287-295
    • /
    • 2010
  • 최근 시상하부에서 생성되는 nesfatin-1/NUCB2가 섭식과 에너지 대사를 조절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백질이 생쥐의 생식기관에서도 발현을 하는지, 그리고 그 수용체가 생식기관 내에 존재하는 지를 확인함으로써 nesfatin-1이 생식기능에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암컷 생쥐에서 난소와 자궁을 획득하여 conventional PCR 방법으로 NUCB2 mRNA 발현을 조사하였고, real-time PCR 방법으로 상대적인 NUCB2 mRNA 발현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난소 내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 위치를 조사하기 위하여 nesfatin-1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염색법을 수행하였으며, biotin conjugated nesfatin-1을 이용하여 nesfatin-1 결합 부위를 확인하였다. 또한 생식소 내 NUCB2 mRNA 발현이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알아보기 위해 PMSG 투여 후 NUCB2 mRNA 발현량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생쥐의 난소와 자궁에서 확인된 NUCB2 유전자가 시상하부에서 만큼이나 많은 양이 발현되고 있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 결과, nesfatin-1 단백질은 협막세포와 대부분의 기질세포에서 발현되었고, 일부 황체세포에서도 발현이 확인되었다. 반면, 난포 내 과립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으나, 특정 난포 내 난자에서는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한편, nesfatin-1 단백질의 결합 부위는 난소 백막 주위의 기질세포와 협막세포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PMSG 투여 후 난소와 자궁에서 NUCB2 mRNA의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난소 내 nesfatin-1 단백질의 발현과 그 결합 부위의 존재는 nesfatin-1이 뇌에서 뿐만 아니라 생식기관에서도 국부조절인자로써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되며, 앞으로 생식기관에 미치는 nesfatin-1의 역할을규명하기위한더많은연구가필요하다고판단된다.

돼지난소에서 난포폐쇄시 과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와 대식세포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A Morphological Study on the Granulosa Cell Apoptosis and Macrophages during Follicular Atresia in Pig Ovary)

  • 박창식;한승로;김수일;조근자;김원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4호
    • /
    • pp.571-584
    • /
    • 2004
  • 난포폐쇄는 과립층세포와 난포막세포들의 아포토시스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 과정에 대식 세포는 아포토시스 소체들의 포식작용과 각종 사이토카인 분비를 통해 난포폐쇄의 개시와 완성에 직, 간접적으로 관여함이 널이 보고되어 있다. 그러나 난포 폐쇄시 일어나는 아포노시스가 어디에서부터 개시되고, 어떻게 파급되는지, 아포토시스 소체의 제거방법, 퇴화된 난모세포의 제거 방법, 이들을 제거하는 대식세포의 난포내 진입 시기와 방법 등에 대해서는 아직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가임기 돼지(Yorkshire-breed)를 실험동물로 난소내 난포의 광학현미경적 및 투과전자현미경적 관찰과 TUNEL 및 돼지 대식세포 단크론항체 4E9를 이용한 면역조직화학적 방법으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난포 폐쇄는 과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로부터 개시되고 그 시기에 난포막 속층 세포들의 아포토시스도 같이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과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는 당해 세포의 과립층내 위치에 관계없이 핵농축으로부터 시작되고 짧은 시간안에 과립층 전체로 파급되고 난모세포를 둘러싸고 있는 괴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가 가장 마지막에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난포 과립층세포의 아포토시스는 핵의 농축과 변형, 세포내 소포들의 출현이 특징적이었고, 아포토시스 소체들은 인접한 정상적인 과립층세포와 대식세포들에 의해 포식되었다. 아포토시스 소체들을 포식한 정상 괴립층세포는 자신도 곧 아포토시스를 일으켜, 이들의 포식작용은 일시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모든 아포토시스 소체들과 퇴화된 난모세포는 대식 세포들이 제거함을 알 수 있었다. 대식세포는 아포토시스의 개시와 함께 난포내로 진입하고, 그 진행과 함께 난포내 모든 부위로 이동하여 아포토시스 소체들과 퇴화 난모세포를 제거하는 것으로 보인다. 처음부터 난포막에 있던 일부 대식세포들은, 아포토시스를 일으켜 난포 바닥막을 와해시킨 난포막세포들의 아포토시스 소체들을 제거하여, 폐쇄된 난포의 난소 실질화를 통해 난포 폐쇄의 완성에 기여하는 것으로 보인다.

랫드 난소에서 난포 발달에 따른 DNA 결합 단백질 억제인자 (Inhibitor of DNA Binding Protein) Id1 and Id2 mRNA 발현 (Inhibitor of DNA Binding Protein (Id)1 and Id2 mRNA Expression on Folliculogenesis in Rat Ovary)

  • 황성수;김평희;고응규;양병철;성환후;민관식;윤종택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83-187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pattern of inhibitor of DNA binding proteins (Id)1 and Id2 mRNA on folliculogenesis in rat ovary. The ovaries were obtained from 27 days old Sprague-Dawley rat, fixed, dehydrated, and paraffin embedded. For in situ hybridization, anti-sense and sense Idl and Id2 cRNA probes were prepared and applied to the ovarian section. The ovarian sections were coated with NTB-2 emulsion. After that, the slides were developed and counterstained with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In oocytes, the hybridizational signals of Id1 mRNA were strong in primordial and primary follicles, however, there were no signals in that of atretic or preovulatory follicles. The Id2 mRNA signals were also strong in the oocytes of primordial, primary and secondary follicles. Interestingly, the Id2 mRNA was expressed specifically granulosa cells, but nor in oocyte or theca cells in dominant and preovulatory follicles. Based on these results, Id1 and Id2 mRNA was expressed specifically at follicle stages and follicular tissue and might be closely related with follicle development.

흰쥐 난소 및 부신에서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mRNA의 발현에 관한 연구 (Identification of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 mRNA in the Rat Ovary and Adrenal G land)

  • 김명옥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39-43
    • /
    • 1998
  •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합성은 콜레스테롤로부터 시작되고 Steroidogenic acute regulatory protein(StAR)은 스테로이드의 합성과정에서 콜레스테롤을 미토콘드리아의 안으로 신속하게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로이드 호르몬은 난소, 부신, 고환에서 합성되며 본 연구에서는 흰쥐 난소와 부신에서 StAr mRNA의 발현 양상을 in situ hybridization 기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난소의 경우 StAR mRNa는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는 황체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고 엔드로겐을 분비하는 난포막세포에서도 약한 발현을 보였으며 에스트로겐을 분비하는 과립막세포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황체에서도 황체의 발달 저도에 따라 차이를 보였고 성장한 황체에서는 강한 발현을 보인 반면, 퇴화하는 황체에서는 약한 발현을 보였다. 부신에서 StAR mRNA는 피질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고 수질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특히, 피질의 토리층에서보다 다발층과 그물층에서 강한 발현을 보였다. 난소와 부신에서 StAR mRNA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서 발현 양상이 달랐고 스테로이드 호르몬 합성의 초기 단계에 관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Water deer and Sika deer ovaries during estrus and pregnancy

  • Ji-Hye Lee;Yong-Su Park;Min-Gee Oh;Sang-Hwan Kim
    • 한국동물생명공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2-69
    • /
    • 2023
  • Background: Research on the reproductive physiology of Water and Sika deer, an endemic in Korea, still needs to be completed. This study analyzed the ovarian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Water deer and Sika deer. Methods: Water deer and Sika deer ovaries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Russia-Korean Peninsula border during the estrus and pregnancy seasons, respectively. And,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stry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detection of Ca2+ and assess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ovaries. Results: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analysis of ovaries during pregnancy and estrus, the development of the corpus luteum and follicles of Water deer showed similar patterns to other mammals. In contrast, the corpus luteum of Sika deer differed in tissue morphology and composition from Water deer. Ca2+ related to tissue metabolism was detected in the theca cells zone of Water deer on the estrus and was highly detected in the luteum cells zone during pregnancy. The hormone receptor protein expression patterns were generally higher in the ovaries of Water deer on the estrus and the pregnancy than in Sika deer. The expression of LH receptor was relatively low in the lutein cell zone, unlikely that of Water deer. The expression of VEGF was also different from Water deer, and the response in Sika deer was relatively very low compared to Water deer in expressing all proteins-related development. Conclusio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hown that the composition of the corpus luteum of Sika deer is not clear compared to Water deer, 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and morphological formation of the corpus luteum.

성선자극호르몬이 흰쥐 난소의 GnRH와 GnRH mRN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onadotropin on the Expression of GnRH and GnRH mRNA in Rat Ovary)

  • 백원영;정파진;박신근;김완영;이종학;김종화;김명옥;최완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1권1호
    • /
    • pp.121-130
    • /
    • 1994
  • Expression of gonadotropin releasing hormone(GnRH) has been described in the rat ovary. It remains, however, unkown whether GnRH is synthesized as a prohormone.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xpression of pro-GnRH by in situ hybridization and furth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onadotropin on GnRH or GnRH mRNA in rat ovary by immunohistochemical and in situ hybridization techniques. Adult female Sprague-Dawely rats were used and the estrous cycle was synchronized by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pregnant mare's serum gonadotropin(PMSG). Ovaries were fixed with 4% paraformaldehyde and embedded with G.C.T. compound and cut by cryostat. For immunohistochemistry, avidin-biotin peroxidase complex(ABS) method was employed and for in situ hybridization, $^{35}S$-end labeled oligonucleotide was used and followed by autoradiography. By in situ hybridization using GnRH oligomer and GAP(GnRH associated protein) oligomer, GnRH mRNA and GAP mRNA were co-localized in the fullicular cells, luteal cells, interstitial cells and theca cells. GnRH or GnRH mRNA signals in the ovary increased by 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 injection. At the 3 and 6 hrs after hCG injection, the number of GnRH and GnRH mRNA containing cells increased rapidly and the density of GnRH and GnRH mRHA culminated at 9 hrs after heG injection. With the follicular development, the high expression of GnRH and GnRH mRNA was also observed within the follicles. After ovulation, the density of GnRH or GnRH mRNA decreased in the follicles but increased in the corpus lutea.

  • PDF

Expression of Neurotrophin 4 and Its Receptor Tyrosine Kinase B in Reproductive Tissues during the Follicular and Luteal Phases in Cows

  • Sun, Yongfeng;Li, Chunjin;Sun, Yanling;Chen, Lu;Liu, Zhuo;Ma, Yonghe;Wang, Chunqiang;Zhang, Wei;Zhou, Xu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4권3호
    • /
    • pp.336-343
    • /
    • 2011
  • The neurotrophins, required for the survival and differentiation of the nervous system, are known to be important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productive tissues. However, the signals initiating the growth of follicles, gamete development, and transport and the development of zygote in the reproductive system of cows remain ambiguo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dentify the transcripts and proteins of Neurotrophin 4 (NT4) and its receptor tyrosine kinase B (TrkB) in bovine reproductive tissues. The transcripts and immunoreactivity of NT4 and TrkB proteins were detected by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western blot analysis. Using immunohistochemistry, the specific immunoreactivity of NT4 and TrkB were detected in the oocytes of primordial follicles and in the growing primary follicles. The NT4 and TrkB immunoreactivity was predominantly observed in granulosa cells, cumulus granulosa cells, cumulus oocyte complexes, theca cells of mature follicles, as well as in the oviduct epithelial cells, uterine gland cell, and epithelium cells of the uterus during the follicular and luteal phases in cows. Expressions of NT4 and TrkB mRNA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ovary, oviduct, and uterus of the follicular phase. For the luteal phase, the expression of NT4 mRNA in the ovar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oviduct and uterus, and the expression of TrkB mRNA in the oviduc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n the ovary and uterus, as determined by fluorescence quantitativ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expression of NT4 mRNA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rkB mRNA in the ovary and uterus, whereas NT4 mRNA expression was lower than that of TrkB mRNA in the oviduct during the luteal phase. The present study hypothesizes that NT4 participates in the regulation of both gonads and extra-gonadal reproductive tissues in cows.

백서 난소에서 성선자극호르몬에 의한 RGS-2의 발현 조절 (Gonadotropin Regulation of Regulator of G Protein Signaling 2 (RGS-2) Expression in the Rat Ovary)

  • 이여일;이은숙;김선애;김미영;조문경;전상영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5권2호
    • /
    • pp.111-118
    • /
    • 2008
  • 연구방법: 미성숙 백서 난소의 과배란 유도를 위해 PMSG를 주사하고, 배란을 위해서 hCG를 주입하였다. RGS-2의 유전자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는 Northern blot 분석과 in situ hybridization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미성숙 백서에 성선자극호르몬인 PMSG를 복강내 주사했을 때 RGS-2 mRNA 발현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Northern blot analysis로 확인할 수 있었으나, hCG를 주입했을 때는 1시간에서 3시간 내에 발현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In situ hybridization으로 살펴본 RGS-2 mRNA의 발현세포는 난포의 크기에 관계없이 난자였으나, hCG로 처리한 후에는 배란 전 난포와 성장중인 난포의 과립막 세포이었다. 그러나, RGS-2 단백의 발현은 hCG 처치와 관계없이 난포막 세포이었다. 상기 생체 실험과 마찬가지로 시험관에서도 배란 전 난포의 과립막 세포에 대한 LH 처리는 RGS-2 유전자 발현을 1시간 내에 촉진하였다. 또한,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2 길항제도 이러한 LH의 촉진작용을 증진시켰다. 결 론: 본 연구로 배란 전 과립막 세포에서 성선자극호르몬인 LH/hCG와 성선자극호르몬 분비호르몬 길항제에 의해 RGS-2의 발현이 증진되는 양상으로 보아 RGS-2가 배란과정 동안에 Gq protein 신호전달을 조절할 것으로 추정된다.

방사선 조사선량에 따른 생쥐 난소의 TUNEL 염색반응에 관한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the TUNEL Reaction of Mouse Ovary by X-ray Irradiation)

  • 윤철호;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37권2호
    • /
    • pp.135-142
    • /
    • 2007
  • 본 연구는 6 MeV LINAC에서 발생한 X-선을 생쥐 생체에 조사한 후 난소에서 난포의 형태적 변화 양상과 난포의 세포자연사가 일어나는 과정을 TUNEL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정상난포와 퇴화난포 및 방사선이 조사된 난포에서 세포예정사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 TUNEL 염색을 실시한 결과, 정상난소의 퇴화난포에서 양성반응을 보이는 과립층세포들은 갈색을 띠고 있었고, 핵은 응축되어 나타났다. 그러나, 정상난포에서는 양성반응이 나타나지 않았다. X-선을 조사한 난소의 난포는 TUNEL 염색에 강한 양성반응이 나타났고, 600 cGy의 X-선 조사에서 난모세포는 이미 세포예정사가 진행되어 파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난포막을 형성하고 있는 난막세포의 핵들도 양성반응으로 나타나, 갈색으로 염색이 되었으며, 수질의 결합조직세포들의 핵도 갈색으로 염색되어 관찰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세포들은 세포예정사가 진행되어 있으며, apoptotic body들이 난포 내에 산재되어 있었다. 이 시기의 난소조직의 전반적인 염색도는 저선량의 X-선 조사에서보다 더 현저히 강한 염색성이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