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willingness to pas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7초

남녀 대학생의 행사식에 대한 인식과 계승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Willingness to Pass on Dietary Practices of Special Foods on Special Events to the Next Generation)

  • 한재숙;김경아;김기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17-42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eating habits during special occasions and the willingness to pass on traditions of cooking certain dishes on special occasions to the next generatio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ncluded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ellows: there were 689 participants. 314 male and 375 female. Most participants were nuclear families(84.5%), Practicing cooking traditions during the special occasions at home on New year's day. Chusuk, Ceremony of a forefather's death, the 15th of the first month. and Winter solstice exceeded 70% of households. In every event, most persons who make the food during the special events at home are mothers. Furthermore, most persons who teach the cooking method are mothers. too. Most foods which were taken In the annual events generally were as fellows : rice cake soup on New Year's Day. boiled rice admixed with four other staple cereals on the 15th of the first month, half-moon-shaped rice cake on Chusuk. a rice-and-mugwort cake on Buddha's birthday, rice and adzuki-bean on the winter solstice and cake on Christmas and wedding anniversary.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perception of food traditions during the special events was as follows ; ‘annual events helped peoples to make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relatives deeper’ showed the highest agreement. The willingness to pass on traditional foods for the special days showed the highest agreement on New Year's Day and Chusuk, followed by Ceremony of a forefather's death. the 15th of the first month, and finally the winter solstice.

  • PDF

고속철도 차량 내 혼잡도 완화에 대한 지불 용의액 추정 연구 (Estimation of Willingness-to-pay for Mitigating Crowdedness in High-speed Rail Trains)

  • 이장호;김동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379-387
    • /
    • 2017
  • 최근 고속철도 평균 좌석이용률이 98% 수준에 이르면서 고속철도 차량 내 혼잡이 발생하는 문제가 나타났고,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고속철도 차량 내 혼잡도 완화에 따른 고속철도 이용자들의 편익을 추정하기 위하여 이용자들의 지불 용의액을 산정하였다. 진술선호자료에 근간한 조건부 가치측정법과 토빗(Tobit) 모형을 통해 지불 용의액을 추정한 결과, 지불 용의액은 소득 수준 및 혼잡도 수준과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성, 특실이용자, 자유석 및 정기권 이용자의 지불 용의액이 높고, 주말 이용자, 주부, 통근목적이나 여가목적 이용자들은 지불 용의액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지불 용의액은 철도운영자들의 좌석공급 확대를 위한 노력에 대하여 정부의 지원근거나 사회적 편익을 계량화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전자상거래 생방송에서 IWOM이 소비자 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IWOM Information on WOM Intention in E-Commerce Live Broadcast)

  • 추장운;장온;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9호
    • /
    • pp.1348-1355
    • /
    • 2022
  • This study will be an exploratory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IWOM on the intention of word-of-mouth transmission. And based on 256 questionnaire survey data of E-Commerce live broadcast consume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s used to explore the paths and mechanisms of influence of consumers' perceived IWOM and perceived value on oral transmission intention in China's E-Commerce live broadcast. The results found that consumers' perceived IWOM had a positive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ntertainment, and that perceived usefulness had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while perceived entertainment had no direct effect on word-of-mouth transmission intention. Perceived IWOM also indirectly influences willingness to pass on word-of-mouth by affecting perceived value. Among them,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usefulness in the path of perceived network influence on word-of-mouth transmission intention is greater than that of perceived entertainment.

누가, 왜 국회법을 개정하려 하는가? 제19대 국회 국회법 개정안 발의 분석 (Who Would Amend the Procedural Rules in the Legislature, and Why? An Analysis of Legislators' motivations to Propose Amendments of the National Assembly Law in the 19th Korean National Assembly)

  • 구본상;박원호
    • 의정연구
    • /
    • 제24권2호
    • /
    • pp.67-99
    • /
    • 2018
  • 본 연구는 "국회법으로 통칭하는 국회를 운영하는 절차적 규칙 개정에 누가 관여하며, 무엇이 이를 추동하는가?"라는 연구 질문을 가지고 국회선진화법이 시행된 제19대 국회에서 일어난 국회법 개정안 발의를 분석한다. 국회법 개정안 대표 발의자를 중심으로 공동 발의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정파성에 따라 뚜렷하게 구별되었다. 연결 중심성이 높은 소수의 의원은 발의 시 여야 간 협력을 시도하였으나 이들이 발의한 법안은 결과적으로 상임위원회의 관문을 넘지 못했다. 또한, 개별 의원을 단위로 국회법 개정안 발의 동인에 대한 네 가지 경쟁적 가설('위원회 가설', '분배의 정치 가설', '이념적 거리 가설', '소속 정파 가설')을 새로운 측정변수를 포함하여 회귀분석한 결과, '위원회 가설'과 '소속 정파 가설'만이 경험적으로 지지 되었다. 결국, 그 내용상 비정파적이고 탈이념적인 규칙에 관한 국회법에 대한 개정안 발의는 국회선진화법 이후에도 여전히 철저하게 정파적 고려만이 중요하다는 점에서 제도보다는 정당 지도부의 지도력과 그들의 타협 의지가 국회 갈등 해결의 핵심이라는 함의를 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