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reasons for job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5초

독신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ttitudes and the Perceptions Toward a Single Life)

  • 박충선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6호
    • /
    • pp.163-171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ttitudes and the perceptions toward a single lif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male and female singles. In this study, a total of 160 singles aged 30 to 39 were interviewed using a questionnaire on socio-economic status,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a single life, and life satisfac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ies, percentages and chi-squa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socio-economic status of singles are higher than that of the married ones, showing a high level of income, education, and jobs. The 54.4% of the respondents showed that they remained as singles, because they have not met desirable partners yet, and the 20.9% answer that the main reasons for being a single are working and studying. The attitudes and the perceptions toward a single life were measured in six areas; freedom, self-achievement, self-development, institutional pressure. anxiety of support systems, and sex discrimination toward singles. The freedom of a single life was shown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education and income. The self-achievement, self-development, and the level of anxiety about support systems were shown to be related to the sex of singles, indicating that single women got more benefits than single men. Single men experienced more institutional pressures such as marriage pressures and filial piety than single women.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acceptance to live as a single in terms of sex. Finally, life satisfaction with a single life turned to have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sex, age, education, and income.

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Fatal Injuries Among Aged Workers in Republic of Korea

  • Jungsun Park;Jong-shik Park;Younghoon Jung;Minoh Na;Yangho Kim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15권2호
    • /
    • pp.158-163
    • /
    • 2024
  • Objectives: The present paper aimed to examine whether an aging workforce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work-related fatal injuries and to explore the underlying reasons for this potential increase. Material and methods: Aged workers were defined as those who were at least 55 years old. Work-related fatalities were assessed in aged and young workers who were registered with the workers' compensation system in 2021 in the Republic of Korea. Total waged workers, based on raw data from the Local Area Labor Force Survey in 2021, were used as the denominator to estimate the work-related fatality rates. Results: Most work-related fatalities in the aged workers occurred among individuals working in the "construction sector" (58.9%), those with "elementary occupations (unskilled workers)" (46.1%), and those with the employment status of "daily worker" (60.8%). The estimated incidence (0.973/10,000) of work-related fatalities among aged workers was about four times higher than that (0.239/10,000) among younger workers. "Falling," "collision," "struck by an object," and "trip and slip" were more frequent types of work-related fatalities among aged workers relative to young workers. The category of "buildings, structures, and surfaces" was a more frequent cause of work-related fatalities among aged workers than among young workers. Conclusions: Aged workers had a higher incidence of work-related fatalities than young workers. Frequent engagement in precarious employment and jobs, coupled with the greater physical vulnerability of aged workers, were likely causes of their higher level of work-related fatal injuries.

부업종사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Subjective Heatlh Status of Dual job Worker)

  • 장덕진;공하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1호
    • /
    • pp.513-523
    • /
    • 2023
  • 경제적 사유 및 자기계발 등을 이유로 부업을 택하는 근로자들이 점점 늘어나며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1% 이상이 된 상황에서 국가 전체의 근로환경 및 개인의 삶의 질에 밀접한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업 종사 근로자의 건강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제6차 근로환경조사를 원시자료로 활용하여 부업 종사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노동력 구조, 물리적 환경, 정서적 환경의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업의 종사자 지위에 따라 주관적 건강 상태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주업 근무 만족감을 높여주는 것과 더불어물리적으로는 장기간 지속되는 반복 업무를 하지 않고, 정서적으로는 차별 경험을 제공하지 않는 것이 근로자의 주관적 건강 상태에 있어 중요함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여성 베이비부머들의 식생활 태도와 미래 식생활 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Dietary Behaviors of Female Baby Boomers and the Needs for Future Perspectives of Dietary Life)

  • 남혜원;명춘옥;박영심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895-908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emale baby boomers' dietary habits and their attitudes together with their needs for future perspectives of dietary life. Our aim is to use these findings as a basic data when forecasting for food-related industries or policy making. A survey is being carried out for a total of 358 female baby boomers and analyzed by SPSS 12.0. The following is a summary of this study. The average age is 52.6 years old, most of them graduated from highschool (63.1%) and had a nuclear type of family (76.1%). Only 39.0% is composed of housewives, others had either full-time or part-time jobs. Self-assessment of stress is not so high and only 8.1% are dissatisfied with their lives. 38.2% are either overweight or obese in terms of BMI, and most of them are non-smokers (97.2%) or non-drinkers (63.0%). Their mean dietary habit scores are $70.6{\pm}11.8$, and the scores show significant relations with their education levels (p<0.01), monthly income (p<0.01), life satisfaction rates (p<0.001), stress levels (p<0.001), smoking habits (p<0.05), drinking habits (p<0.05), regular exercises (p<0.001) and regular health check-ups (p<0.05). The rate of skipping breakfast, lunch and dinner are 18.2%, 1.1%, 5.2% respectively. The main reason for skipping breakfast is the 'lack of time'. With regards to the frequency of grocery shopping, almost half of the subjects (55.7%) said '1~2 times per week' and bought mainly raw food sources such as vegetables, fruits, and meats. The majority of the subjects (91.3%) report that they cooked meals at homes, and took about 1 hour of time. The subjects also point out that cooking was a bothering task, and only 46.4% would prepare meals at home, while others would rather eat out or eat convenience foods. The main reasons for not wanting meal services in the elderly welfare facility are because they didn't want to live such places (48.4%) and the meals are tasteless (31.3%). As for delivery meal services, 60.1% are aware of it, and 39.9% would consider using it in the future. Factors to be considered when using the delivery meal service are sanitation (43.7%), nutrition (28.7%), taste (18.4%), price (6.3%), and brand name (2.9%).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information when developing food-related strategies for baby boomers in the future.

어머니의 이유식 준비 태도가 유아의 식습관 및 성장 발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Mothers' Weaning Attitudes on Their Children's Food Habits and Development)

  • 이주희;김창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51-561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mothers' attitudes on preparing baby foods for their children's food habits and development. The subjects were allocated to 419 preschool children, aged 3 - 5 years. This study surveyed by questionnaire, which was answered by the children's mothers. Subjects were classified by two groups, active and passive, based on their mothers' weaning attitudes. In the active group, mothers tried to make a variety of foods for preparing the baby foods, whereas mothers in the passive group didn't try to make it too much. Family income was higher in the active group and the subject' mothers had more jobs than those in the passive group, whereas their parent's education levels showed no differences. According to Rohrer index, 2.6% of subjects were obese in the active group, whereas 7.7% in the passive group. These data were shown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other's food habits and breast-feeding versus formula feeding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children's food habits were shown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igher regularity of meals, higher frequencies of snacks at home, higher frequencies of fruit, com, sweet potato as a snacks and less instant foods were revealed in the active group more than in the passive group. The major problem of children's food habits was an unbalanced diet (52.7%) and the major reasons for unbalanced diet were the taste (58.7%) and the texture (23.2%). The active uoup used more fruits and vegetables than the passive group.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o solve problems of children's unbalanced diets. In the positive group, 14.4% of mothers tried to develop new cooking methods for solving the problem of an unbalanced diet, but 8.2% did in the passive group. furthermore, 2.3% of mothers in the positive group removed unpleasant items of the food, whereas 6.9% did in the passive. The average nutritional knowledge scores on a 10 scale were 7.2 and 6.9 in active and passive groups, respectively, and they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Mothers among the active group explained the knowledge for food and nutrition to their children more than those in the passive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mothers' attitudes for baby food are an important factor for forming their children's food habi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materials and new recipes for a variety of baby foods to mothers.

DP운항사 NCS개발 및 전문인력양성 활성화 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NCS Development and Professional Training Activation for DP Operators)

  • 김이완;이진우;이창희;예병덕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28-638
    • /
    • 2017
  • 최근 국내 일부 항해사들은 해운산업의 어려운 취업환경을 극복하고, 직업선택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하여 승선경력을 기반으로 국내외 교육기관에서 DP운항사 교육을 이수하여 직종을 전환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이 활성화 되어있지 않기 때문에 동 분야로 진출하고자 하는 항해사들은 어렵게 자격취득을 위한 실습을 마치고 대부분 해외선사로 진출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DP운항사로 취업을 희망하는 항해사들은 경력을 중시하는 해외 해양플랜트 기업의 보수적인 채용 절차, 비영어권 출신자의 언어사용의 한계, 다문화 승선생활의 어려움, 필수 직무요건에 대한 체계적인 정보 부족 등의 이유로 구직 단계에서 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DP운항사가 갖추어야 할 직무능력 및 자격 요건을 분석하여 국가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능력 수준을 제시하고 있는 NCS 표준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DP운항사 전문인력양성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DP운항사의 직무 분류, 직무능력표준 및 경력개발경로를 제시하였고, DP운항사 양성 활성화 방안으로서 DP 실습선박의 공동 활용, DP 전문 교원 양성 및 정부주도 NCS 수출모델을 제안하였다.

초등 교사의 SW교육 수업 전문성 개발 활동 형태 및 특성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Primary Teachers' Instructional Expertise Development Activities for Software Education)

  • 옥지현;안성진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519-533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에서 SW교육 관련 내용을 지도하는 교사들의 수업 전문성 개발을 위해 참여하는 활동들에 대해 유형별로 분류하고, 최근 3년간 전문성 개발 활동 참여 정도, 활동 후 성과 등 전문성 개발 활동 형태 및 특성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초등 교사 276명이 설문에 참여하였고, 그 결과 집합으로 이루어지는 직무연수(96%), 원격으로 이루어지는 직무연수(96%)에 가장 많이 참여하였고, 컨설팅 장학 멘토링 동료관찰(82%), 관련부처 및 시도교육청 주관 강좌 워크숍 세미나(69%), 교과연구회(66%)등이 그 뒤를 이었다. 한편 비공식적 활동 중 독서가 가장 많았고, 유튜브, 깃허브 등 웹사이트 정보 활용(80%), 교사들의 전문성 계발 네트워크(76%)순으로 많이 참여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활동에 참여하는 이유로 대다수가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해서 활동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후 수업 전문성 향상 도움도, 직무역량 향상도, 현업적용도 및 수업 효능감, 긍정적 효과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가 SW교육 관련 교과 지도를 위한 초등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활동의 교육적 가치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지속적 전문성 개발 방안을 마련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여성노동자'라는 새로운 범주설정의 필요성 : 다큐멘터리 영화 <외박>을 중심으로 (The Necessary to Make a New Category as 'Women Laborer' : Focused on a Documentary Movie, Weabak)

  • 배상미
    • 여성학논집
    • /
    • 제31권1호
    • /
    • pp.93-116
    • /
    • 2014
  • 이 논문은 2007년 6월 30일에 발생했던 이랜드 노동조합의 상암 홈에버 매장 점거파업투쟁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 <외박>을 대상으로 이 영화에 재현된 여성노동자 형상을 통해 임금노동자이자 가사노동자이기도 한 '여성노동자'의 위상을 가늠해보고, 다큐멘터리라는 재현양식이 여성노동자 재현에 효과적인 측면을 논의하고자 했다. 1990년대 노동유연화 정책이 본격화되면서, 여성노동자들의 일자리가 우선적으로 유연화의 경향에 휩싸이게 되었다. 여성들은 본래 일터가 아닌 가정 안에 있어야 한다는 이데올로기와, 여성노동자들의 주요 직종은 숙련직이 아닌 비숙련직이므로 업무의 중요성이 낮다는 선입견은 이 경향을 정당화하는 근거였다. 이랜드 파업을 야기한 여성 비정규직의 대량해고 사태에도 이러한 선입견이 작용했었다. <외박>은 투쟁과정에서 '여성노동자'이기에 받는 차별과 파업현장에서도 끊임없이 엄마와 아내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 그녀들의 고충을 통해 여성노동자들의 진정한 파업은 일터에서 뿐만 아니라 가정에서의 파업이 수반되어야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가정은 여성노동자의 활동을 방해하는 대상이기도 하지만 여성노동자라는 정체성을 가지게 만든 원인이다. 지켜야 할 대상이자 방해물인 가족의 이중적인 의미는 그녀들이 놓인 삶의 조건인 것이다. 가사노동 전담자이자 임금노동자인 여성노동자들의 위상은 '노동자'라는 일반명사로 환원되거나 이론화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진다. <외박>은 다큐멘터리라는 장르적 재현이 여성노동자들의 입장에서 그녀들의 계급투쟁을 다시 읽어낼 새로운 리얼리즘을 모색하는 하나의 방법이라는 것을 보여준 중요한 예이다.

도어 안전고리 스마트 제어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 a Smart Control System of Door Security Guard)

  • 이효승;오재철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6권1호
    • /
    • pp.61-67
    • /
    • 2017
  • 현 시대에 사는 사람들 중에 다수는 자의적이거나 타의적인 이유로 결혼을 하지 않거나 독립하여 혼자 생활하는 것을 선호하고 있고 그 이유로는 크게 타인에게 간섭받기 싫어서 또는 경제적 사정 등이 있으며, 특히 자신만의 편안한 생활을 추구하는 직장여성들이 일인 생활을 선호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이러한 점을 타겟으로 하여 악용하는 범죄의 표적이 되기도 한다. 그로인하여 현관문 등에 안전고리 등과 같은 보안장치를 추가 장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현관문의 안전고리를 잠그는 행위는 그렇게 어려운 일은 아니지만 쉽게 잊어버릴 수 있고, 취침 전 잠자리에 위치하여 있을 때 안전고리의 잠금 여부를 확인하거나 잠가야할 때 다시 일어나서 현관으로 이동해 안전고리를 확인하고 잠가야 한다. 하지만 그 번거로움과 불편함으로 괜찮겠지 하는 마음에 안전고리를 채우지 않을 때가 많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고 보다 안전한 생활을 유지하기위한 방법으로 스마트 폰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안전고리를 조정할 수 있는 장치를 설계 및 구현하여 보다 편하게 안전고리를 사용하여 불법주거 침입 등의 범죄로 부터 안전을 도모 하고자 한다.

온라인 채용정보를 이용한 데이터 과학자 요구 역량 탐색 (Exploring the Job Competencies of Data Scientists Using Online Job Posting)

  • 김향단;백승익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1-20
    • /
    • 2022
  • 4차 산업혁명으로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이 빠르게 변화함에 따라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직종들이 등장하고 있다. 새롭게 등장한 직종 중에 최근에 기업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직종은 '데이터 과학자 (Data Scientist)'일 것이다. 인터넷과 같은 정보통신 기술이 우리들의 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온라인에서의 활동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의 활동에 대한 데이터가 매시간 컴퓨터에 저장되어 빅데이터를 생성하고 있다. 기업들은 이런 빅데이터로부터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기업의 노력과 함께 새롭게 등장한 직종이 바로 '데이터 과학자'이다. 빅데이터 시대를 이끌어갈 유망 직업인 데이터 과학자에 대한 수요는 끊임없이 증가되고 있지만 공급은 여전히 부족한 현황이다. 분석과 관련된 기술과 도구들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업은 여전히 이러한 기술을 목적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를 찾는데 있어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데이터 과학자 부족 문제를 심각하게 만드는 주요 이유 중 하나는 데이터 과학자 직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업에서 필요로 하는 데이터 과학자의 역량을 기업의 실제 채용정보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과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나 시스템 분석가들에게 요구되었던 Technical Skill과 System Skill 뿐만 아니라 비즈니스 컨설턴트나 Project Manager에게 요구되었던 비즈니스 관련 스킬이나 효율적인 팀워크를 위한 대인관련 스킬도 광범위하게 요구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데이터 과학자란 직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과 데이터 과학자를 채용하기를 원하는 기업에게 가이드라인을 제공하여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