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oor breast

검색결과 235건 처리시간 0.023초

안구 적출술로 확진된 폐 선암의 안구 전이 1예 (A Case of Eyeball Metastasis of Lung Adenocarcinoma Confirmed by Enucleation)

  • 김창년;김성주;정재호;박무석;고원기;이준구;김세규;김성규;장준;신동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5호
    • /
    • pp.624-629
    • /
    • 2001
  • 우안 시력 장애와 안구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폐종괴가 관찰되어 경기관지 폐생검과 안구 적출술을 시행하여 폐선암의 우안구 전이를 진단한 1예를 경험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 PDF

Clinicopathological Significance of Elevated PIK3CA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 Jang, Si-Hyong;Kim, Kyung-Ju;Oh, Mee-Hye;Lee, Ji-Hye;Lee, Hyun Ju;Cho, Hyun Deuk;Han, Sun Wook;Son, Myoung Won;Lee, Moon Soo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6권2호
    • /
    • pp.85-92
    • /
    • 2016
  • Purpose: PIK3CA is often mutated in a variety of malignancies, including colon, gastric, ovary, breast, and brain tumors. We investigated PIK3CA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and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IK3CA expression level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as well as survival of th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PIK3CA expression in a tissue microarray of 178 gastric adenocarcinomas by immunohistochemistry and reviewed patients' medical records. Results: In our study, 112 of the 178 gastric cancer patients displayed positive PIK3CA expression. Overexpression of PIK3CA was correlated with low grade differentiation (P=0.001), frequent lymphatic invasion (P=0.032), and high T stage (P=0.040). Patients with positive PIK3CA staining were more likely to display worse overall survival rate than those with negative PIK3CA staining, as determined by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with log-rank test (P=0.047) and a univariate analysis using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hazard ratio=1.832, P=0.051). Conclusions: Elevated PIK3CA expressio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umor invasiveness, tumor phenotypes, and poor patient survival.

외래에서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암환자들의 영양불량 위험도 연구 (Nutritional Risk in Oncology Out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 김원경;박미선;이영희;허대석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73-581
    • /
    • 2008
  • Although it is well known that cancer patients suffer from malnutrition, there are few published studies on malnutrition in out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in Korea.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nutritional risk in oncology out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nd to show the baseline data to set up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s for cancer patients. This i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analysis on 1,962 patients referred for nutritional education before or during chemotherap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Cancer Center from January 2006 to May 2007. According to a malnutrition screening tool, the proportion of patients having malnutrition risk was 23.0%. In the case of upper gastrointestinal cancer, more than 50% of patients were assessed as being at the risk of malnutrition. They showed more than 7% weight loss compared to their usual body weight and poor oral intake; energy intake was less than 100% of Basal Energy Expenditure(BEE) and protein intake was less than or equal to 0.77 g/kg/d. However, only 6.3% of breast cancer patients had risk of malnutrition and their oral intake was better; energy intake was 121% of BEE, and protein intake was 0.90 g/kg/d. Out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had different nutritional risk depending on their cancer site. Nutritional management program should be conduc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ancer site and upper gastrointestinal cancer patients at high risk of malnutrition should basically have nutritional assessment and intervention.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actobacillus crispatus Culture Supernatants Downregulate Expression of Cancer-testis Genes in the MDA-MB-231 Cell Line

  • Azam, Rosa;Ghafouri-Fard, Soudeh;Tabrizi, Mina;Modarressi, Mohammad-Hossein;Ebrahimzadeh-Vesal, Reza;Daneshvar, Maryam;Mobasheri, Maryam Beigom;Motevaseli, Elahe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0호
    • /
    • pp.4255-4259
    • /
    • 2014
  • Lactobacilli are probiotics shown to have antitumor activities. In addition, they can regulate gene expression through epigenetic mechanisms. In this study, we aimed to assess anti tumor activities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actobacillus crispatus on the MDA-MB-231 breast cancer cell line. The effects of culture supernatants were determined by MTT [3-(4,5-dimethylthiazol-2-y-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Changes in expression of 5 cancer-testis antigens (CTAs), namely AKAP4, ODF4, PIWIL2, RHOXF2 and TSGA10, were analyzed by quantitative real time RT-PCR. The culture supernatants of the 2 lactobacilli inhibited MDA-MB-231 cell proliferation. In addition, transcriptional activity of all mentioned CTAs except AKAP4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24 hour treatment with culture supernatants. This study shows that Lactobacillus acidophilus and Lactobacillus crispatus have antiproliferative activity against MDA-MB-231 cells. In addition, these lactobacilli could decrease transcriptional activity of 4 CTA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expression of CTAs is epigenetically regulated, so it is possible that lactobacilli cause this expression downregulation through epigenetic mechanisms. As expression of CTAs in cancers is usually associated with higher grades and poor prognosis, downregulation of their expression by lactobacilli may have clinical implications.

Evaluation of polyherbal formulation and synthetic choline chloride on choline deficiency model in broilers: implications on zootechnical parameters, serum biochemistry and liver histopathology

  • Selvam, Ramasamy;Saravanakumar, Marimuthu;Suresh, Subramaniyam;Chandrasekeran, CV;Prashanth, D'Souz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11호
    • /
    • pp.1795-1806
    • /
    • 2018
  • Objective: The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choline deficiency model (CDM) in broilers for evaluating efficacy of polyherbal formulation (PHF) in comparison with synthetic choline chloride (SCC). Methods: A total of 2,550 one-day-old Cobb 430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ssigned to different groups in three experiments. In experiment 1, G1 and G2 served as normal controls and were fed a basal diet with 100% soybean meal (SBM) as a major protein source supplemented with and without SCC, respectively. In G3, G4, G5, and G6 groups, SBM was replaced at 25%, 50%, 75%, and 100% by soy protein isolate (SPI) to induce a graded level of choline deficiency. In experiment 2, PHF (500 and 1,000 g/ton) in comparison with SCC (1,000 g/ton) were evaluated. In experiment 3, dose-response of PHF (200, 400, and 500 g/ton) with SCC (400 g/ton) was determined. Results: Replacement of SBM by SPI produced a linear decrease in body weight gain (BWG) with a poor feed conversion ratio (FCR). 25% SBM replacement by SPI yielded an optimum negative impact on BWG and FCR; hence, it is considered for further studies. In experiment 2, PHF (500 and 1,000 g/ton) and SCC (1,000 g/ton) showed a similar performance in BWG, FCR and relative liver weight. In experiment 3, PHF produced an optimum efficacy at 400 g/ton and was comparable to SCC in the restoration of serum aspartate aminotransferase activity, abdominal fat, breast muscle lipid content and liver histopathological abnormalities. Conclusion: Replacement of SBM by SPI caused choline deficiency characterised by worsening of BWG, FCR, elevation in liver enzyme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indicating fatty liver. CDM was found valid for evaluating SCC and PHF. It is concluded that PHF has the potential to mimic biological activities of SCC through the restoration of negative effects caused by CDM.

제주지역에 도입된 편백의 가계별 생장특성과 유전력 구명 (Growth and Heritability of Hinoki Cypress (Chamaecyparis obtusa) Families in Jeju)

  • 최형순;강영제;김인식;박영규;유근옥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36-245
    • /
    • 2012
  • 제주지역에 도입된 편백 18가계의 초기 생장부터 현재(42년생) 까지의 연령별 수고, 흉고직경, 재적생장을 분석하였다. Yako-7, Muei-1, Sangsong-9 가계가 우수한 생장을 하였으며, Sangeun-3, Yago-6, Hyena-2 가계의 생장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평균생장을 분석한 결과, 수고생장은 9년생에서 15년생 사이의 생장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우수하였으며, 흉고직경의 생장은 특별한 경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수고, 흉고직경, 재적의 가계유전력은 각각 0.68, 0.75, 0.75로 추정되었으며, 연령간의 생장을 비교한 결과, 유노상관 관계는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Ets-1 enhances tumor migration through regulation of CCR7 expression

  • Fang, Li-Wen;Kao, Ying-Hsien;Chuang, Ya-Ting;Huang, Huey-Lan;Tai, Tzong-Shyuan
    • BMB Reports
    • /
    • 제52권9호
    • /
    • pp.548-553
    • /
    • 2019
  • Ets-1 is a prototype of the ETS protein family. Members of the ETS protein family contain a unique ETS domain. Ets-1 is associated with cancer progression and metastasis in many types of cancer. Many studies have shown a link between elevated expression of Ets-1 in cancer biopsies and poor survival. CCR7 is a chemokine that binds to specific ligand CCL21/CCL19. CCR7 expression is associated with tumor metastasis and infiltration into lymph nod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test whether Ets-1 could regulate CCR7 expression and enhance tumor metastasis. Our data showed that CCR7 expression was downregulated in Ets-1-deficient T cells upon T-cell stimulation. Overexpression of Ets-1 increased CCR7 expression in breast cancer cell lines. In contrast, knockdown of Ets-1 reduced CCR7 expression. Ets-1 could directly bind to CCR7 promoter and mediate CCR7 expression in luciferase reporter assays and chromatin immunoprecipitation assays. Transactivation activity of Ets-1 was independent of the Pointed domain of Ets-1. Ets-1 could also enhance $NF-{\kappa}B$ and CBP transactivation of CCR7 promoter. Our results also showed that Ets-1 could modulate cancer cell transmigration by altering CCR7 expression in transwell assay and wound healing assay. Taken together, our data suggest that Ets-1 can enhance CCR7 expression and contribute to tumor cell migration.

수유 및 분만방법에 따른 신생아실 로타바이러스 원내감염의 증상 차이 (The Difference between Clinical Manifestations and Feeding or Delivery Methods in Healthy Full-term Neonates and Those with Nosocomial Rotaviral Infection)

  • 이소영;김현지;김미영;김원덕;이동석;김두권;최성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5호
    • /
    • pp.454-458
    • /
    • 2003
  • 목 적 : 신생아 로타바이러스 위장염의 빈도는 영유아와는 달리 계절적 유행 없이 일정하게 발생하며 임상 증상은 다양하여 무증상에서부터 구토, 설사 및 발열 드물게는 괴사성 장염과 출혈성 위장염 등을 나타낸다. 저자들은 건강한 만삭 신생아에서의 로타바이러스 원내 감염과 그 관련 요소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본원에서 발생한 정상 신생아실의 만삭아에서 수유 및 분만 방법에 따른 증상의 빈도를 비교하여 이들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2001년 1월부터 6월까지 동국대학교병원에서 출생한 생후 7일 이내의 건강한 만삭 신생아 총 348명 중 증상을 보인 환아를 대상으로 시행한 변 rotazyme 검사에서 양성으로 확진된 환아 총 152례를 대상으로 연구하였으며 환아에 대한 각각의 항목은 병력지를 통하여 검토되었다. 환아 중 패혈증이나 뇌수막염, 요로 감염, 위식도 역류 및 황달 등이 있는 환아는 본 연구에서 제외되었다. 분만 방법은 정상 질식분만과 제왕절개술, 수유 방법은 모유와 분유로 구분해서 조사하였다. 분만 방법 및 수유 방법에 따른 로타바이러스 장염 신생아의 증상, 증상 기간에 대한 유의성을 통계적 Chi-square testd와 Fisher's exact test 및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로 검정하였으며 P<0.05인 경우를 유의 하다고 판정하였다. 결 과: 2001년 1월부터 6월까지 정상 만삭 출생아 중 입원 환아를 제외한 총 348명 중에서 로타바이러스 장염으로 확진 된 환아는 총 152명(43.7%)이었고, 그 중 남아는 95명(62.5%), 여아는 57명(37.5%)이었다. 체중이 2,500 g 이상이 149명(98.0%)이었고 모유 수유아는 97명(63.8%), 분유 수유아는 55명(36.2%)였고 분만 방법에서 정상 질식분만아는 22명(14.5%), 제왕절개아는 130명(85.5%)이었다. 증상은 미열이 51.3%로 가장 많았으며, 그 외 설사(40.8%), 복부 팽만(38.8%), 구토(35.5%) 등의 순 이었다. 증상 시작일이 생후 3-4일 이내인 경우가 134명(88.2%)이었으며 18명(11.8%)은 생후 5-7일째 증상이 나타났다. 증상 기간은 3일 이내인 경우가 120명(78.9%), 4-6일이 29명(19.1%), 7일 이상이 3명(2.0%)이었다. 모유 수유아에서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증상의 빈도가 낮았고 분만 방법과 관련해서는 정상 질식 분만한 모유 수유아/분유 수유아에서 설사 11.1/84.6%, 수유 부진 22.2/69.2%, 체중 증가 지연 22.2/76.9%로 모유 수유아에서 증상 발현 빈도가 낮았고, 제왕절개분만 한 모유 수유아/분유 수유아에서는 정상 질식분만 한 환아에서와는 다르게 설사증상의 빈도는 차이가 없었으나 미열 45.5/66.7%, 복부 팽만 29.5/50.0%, 구토 31.8/60.9%, 체중 증가 지연 8.0/52.4%, 수유 부진 4.5/26.2%, 탈수 2.3/14.3%, 보챔 5.7/26.2%로 모유 수유아에서 증상의 빈도가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었다(P<0.05). 결 론 : 로타바이러스 장염에 이환된 건강 만삭아의 분만 방법 및 수유 방법에 따른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증상 차이에 대한 연구에서 모유 수유아에서 증상 발현빈도가 분유 수유아 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모유 수유가 분유 수유보다 로타바이러스 장염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고 생각된다.

유방암 환자에서 골전이에 대한 핵의학적 평가 (Assessment of Bone Metastasis using Nuclear Medicine Imaging in Breast Cancer : Comparison between PET/CT and Bone Scan)

  • 조대현;안병철;강성민;서지형;배진호;이상우;정진향;유정수;박호용;이재태
    • Nuclear Medicine and Molecular Imaging
    • /
    • 제41권1호
    • /
    • pp.30-41
    • /
    • 2007
  • 목적 : 유방암 환자에서 골전이는 Tc-99m MDP를 이용한 전신 골스캔이 주로 이용되며, 이 검사 기법은 높은 예민도를 나타내나 특이도가 낮다는 단점을 가진다. F-18 FDG를 이용한 PET 검사는 높은 해상도를 가지며 골스캔이 비하여 높은 분해능을 가지며 골전이 진단성능이 높다. PET에 CT 영상 기법이 도입된 F-18 FDG PET/CT는 PET 검사와 동시에 CT 영상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유방암환자의 골전이 평가에 PET 보다 더 높은 검사의 정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유방암 환자에서 골 전이여부를 평가하는데, F-18 FDG PET/CT와 골스캔의 진단성능과 유용성을 비교해 보았다. 대상 및 방법 : 유방암으로 진단받은 후 병기 판정위하여 혹은 유방암 수술후 재발 평가를 위하여, Tc-99m MDP 골스캔과 F-18 FDG PET/CT를 1주일 간격이내에 시행한 여성환자 157명 ($28{\sim}78$세, 평균연령=$49.5{\pm}8.5$세)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전이 병소의 최종진단은 조직학적검사, 방사선상학적 검사, 임상적 추적관찰을 이용하였다. 골스캔은 Tc-99m MDP를 740 MBq을 투여한 4시간 후에 평면감마카메라 영상을 얻었다. 골스캔 소견은 정상소견, 저확률, 중간확률, 고확률로 구분하였다. PET/CT 검사는 6시간 이상 금식 이후에 시행하였으며, F-18 FDG 370 MBq을 정맥주사를 시행한 후 1시간동안 안정을 취한 후 3D 방식으로 영상을 획득하였다. CT 촬영은 조용한 호흡 중에 시행되었고 감쇠보정에 이용하였다. 생리적인 섭취증가를 제외하고, 주위 골의 섭취에 비해 높은 섭취를 보이는 경우 이상섭취로 판단하였다. FDG 섭취정도의 정량화는 SUVmax와 SUVrel를 이용하였다. 결과: 대상환자 가운데 6명이(4.4%) 골전이 소견을 나타내었으며, 골스캔은 4명(66.6%)의 환자에서만 진단할 수 있었고, PET/CT는 6명 (100%) 모두를 진단할 수 있었다. 골스캔과 PET/CT에서 발견된 골병소의 수 135개이었으며, 양성병소가 27개, 전이병소가 108개였다. 골전이 병소는 양성 골병소에 비하여 높은 SUVmax 및 SUVrel을 나타내었다($4.79{\pm}3.32$ vs $1.45{\pm}0.44$, p=0.000, $3.08{\pm}2.85$ vs $0.30{\pm}0.43$, p=0.000). 108개의 골전이 병소 가운데 76개(70.4%)의 병소가 골스캔 상 이상섭취 소견을 나타내었으며, 동일한 76개(70.4%)의 병소가 FDG 섭취증가 소견을 나타내었다. 골병소부위의 골스캔상 이상섭취 유무와 PET상 섭취증가 유무는 유의한 일치도를 나타내었다(Kendall tau-b : 0.689, p=0.000). 골전이 병소 가운데 골스캔상 양성소견을 보인 병소는 그렇지 않은 병소에 비하여 높은 SUVmax 와 SUVrel을 나타내었다($6.03{\pm}3.12$ vs $1.09{\pm}1.49$, p=0.000, $4.76{\pm}3.31$ vs $1.29{\pm}0.92$, p=0.000). 골전이 병소의 발생부위는 척추골이 가장 많았으며, 골반골, 늑골, 두개골, 흉골, 견갑골, 대퇴골, 쇄골, 상완골 순서였다. 두개골 전이병소에 SUVmax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늑골의 SUVrel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경화성 골전이 병소가 다른 형태의 골전이 병소에 비하여 낮은 SUVmax와 SUVrel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 유방암 환자의 골전이 평가시 골스캔에 비하여 F-18 FDG PET/CT의 진단적 예민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경화성 골전이 병소는 FDG 이상섭취가 없는 경우가 많아 CT 소견의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소세포 폐암에서의 위 전이 2예 (Two Cases of Gastric Metastasis from Small Cell Lung Cancer)

  • 유광하;김형중;안철민;이세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273-280
    • /
    • 1999
  • 저자들은 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된 환자에서 오심 구토 혈변등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여 상부 위 내시경 검사 및 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위장으로의 전이를 확인한 2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