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cereals

검색결과 627건 처리시간 0.022초

선식용 곡류원료의 위해미생물 제거를 위한 세척방법에 따른 효과 (Analysis of Harmful Microorganisms in Raw Cereal Materials and Processing Environment for Sunsik)

  • 김진희;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65-568
    • /
    • 2012
  • 선식에 사용되는 곡류의 종류도 다양하고 오염미생물의 종류도 다양하여 곡류는 크기 모양 등을 고려하여 검정콩, 찹쌀, 수수의 3종류를 대상으로 피검균은 대장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켜 세척조건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다. 초기 원료에 비해 세척횟수를 증가하여도 세척에 의한 오염균 감소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수량도 원료대비 200%의 경우가 오염균 감소에 약간 영향을 미치었으나 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척 수 온도를 찬물이 아닌 $40^{\circ}C$의 물로 세척 시 1 log 이상의 오염균 감소효과를 보았다. 세척방법 시 염수를 첨가한 세척수의 사용 시 5% 정도가 적당하였으며 염수 처리 시 2 log 내지 3 log 정도의 감소효과를 관찰 하였다. 그러나 염류의 사용은 짠맛을 최종제품에 주게 되므로 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며 완전한 염류의 제거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세척수량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우유와 곡류를 이용한 요구르트의 제조 (The Preparation of Yogurt from Milk and Cereals)

  • 김경희;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30-135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곡류(쌀, 보리, 밀, 옥수수)를 각각 2%(w/v) 첨가하고 젖산균(Lactobacillus 3종)으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곡류의 첨가가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및 요구르트의 품질(점도 및 관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곡류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접종된 3종의 젖산균 중에서는 L. acidophilus의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점도 측정의 결과를 보면, 옥수수 첨가 요구르트의 점도가 가장 높았으며 보리 첨가 요구르트의 점도가 가장 낮았다. 호상요구르트는 thixotropic flow의 특성을 나타냈으며, 곡류 첨가 요구르트의 점도는 발효 6시간부터 24시간까지 현저히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밀 첨가 요구르트의 관능성이 표준시료보다 우수하였고 보리 첨가 요구르트의 관능성이 모든 시료 가운데 가장 저조하였다.

  • PDF

Toxigenic Mycobiota of Small Grain Cereals in Korea

  • Lee, Theresa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33-33
    • /
    • 2016
  • Mycotoxins are toxic secondary metabolites produced by fungi. They can be present in where agricultural-based commodities are contaminated with toxigenic fungi. These mycotoxins cause various toxicoses in human and livestock when consumed. Small grains including corn, barley, rice or wheat are frequently contaminated with mycotoxins due to infection mainly by toxigenic Fusarium species and/or under environment favorable to fungal growth. One of the most well-known Fusarium toxin groups in cereals is trichothecenes consisting of many toxic compounds. Deoxynivalenol (DON), nivalenol (NIV), T-2 toxin, and various derivatives belong to this group. Zearalenone and fumonisin (FB) are also frequently produced by many species of the same genus. In order to monitor Korean cereals for contamination with Fusarium and other mycotoxigenic fungal species as well, barley, corn, maize, rice grains, and soybean were collected from fields at harvest or during storage for several years. The fungal colonies outgrown from the grain samples were identified based on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Trichothecene chemotypes of Fusarium species or presence of FB biosynthetic gene were determined using respective diagnostic PCR to predict possible toxin production. Heavy grain contamination with fungi was detected in barley, rice and wheat. Predominant fungal genus of barley and wheat was Alternaria (up to 90%) while that of rice was Fusarium (~40%). Epicoccum also appeared frequently in barley, rice and wheat. While frequency of Fusarium species in barley and wheat was less than 20%, the genus mainly consisted of Fusarium graminearum species complex (FGSC) which known to be head blight pathogen and mycotoxin producer. Fusarium composition of rice was more diverse as FGSC, Fusarium incarnatum-equiseti species complex (FIESC), and Fusarium fujikuroi species complex (FFSC) appeared all at considerable frequencies. Prevalent fungal species of corn was FFSC (~50%), followed by FGSC (<30%). Most of FFSC isolates of corn tested appeared to be FB producer. In corn, Fusarium graminearum and DON chemotype dominate within FGSC, which was different from other cereals. Soybeans were contaminated with fungi less than other crops and Cercospora, Cladosporium, Alternaria, Fusarium etc. were detected at low frequencies (up to 14%). Other toxigenic species such as Aspergillus and Penicillium were irregularly detected at very low frequencies. Multi-year survey of small grains revealed dominant fungal species of Korea (barley, rice and wheat) is Fusarium asiaticum having NIV chemotype.

  • PDF

한국인의 식이섬유 섭취상태의 연차적 추이(1969~1990) (Annual Changes in the Estimated Dietary Fiber Intake of Korean During 1969~1990)

  • 이혜성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7권1호
    • /
    • pp.59-69
    • /
    • 1994
  • Dietary fiber(DF) intakes of Korean during 1969∼1990 were estimated and the major food sources of fiber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from the Annual Reports of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The estimated daily DF intake of Korean has gradually decreased during the 22 years, from 24.46g in 1969 to 17.31g in 1990 with a remarkable decline in 1987. The average DF intakes of the rural population were higher than those fo urban's until 1980, but the situation was reversed until 1987 and the regional difference in DF consumption disappeared thereafter. Vegetables, cereals, grain and legumes were the major sources of fiber for Korean in recent 5 years(1986∼1990), providing 32%, 16% and 19% of DF intake respectively. Throughout the 22years, the intakes of DF from cereals and fresh vegetables have been reduced and those from processed vegetables, seaweeds and fruits has been increased. Df intake from legumes continuously increased until 1986, and it decreased thereafter. Rural population consumed more fiber from cereals than the urban's during the 1970s, but thereafter regional difference in cereal fiber intakes became insignificant. Urban population consumed more fiber from legumes and fruits than the rural's through the entire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 present DF intake of Korean is considerably lower than generally anticipated and is below the tentative recommended DF intake and thus higher DF intake than the present level is needed.

  • PDF

곡류의 영양 및 기능성 성분 함량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stituents in Cereals)

  • 김소영;최정은;한혜경;김세나;김효숙;박홍주;김재현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0-90
    • /
    • 2009
  • Cereals or cereal grains, are grasses cultivated for the edible components of their fruit seed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12 raw cereals produced in Korea. The nutritional and functional contents such as moisture, carbohydrate, crude protein, crude lipid, ash, dietary fiber, minerals(Ca, P, Fe, Na, and K), vitamins (A, E, C, B groups, folic acid, and niacin), total polyphenol, carotenoid, and flavonoid containing isoflavone were investigated. Especially, the dietary fiber were determined and divided into three contents such as total, soluble, and insoluble fibers. As a results, the black rice was shown the high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They were included the rich vitamins, minerals, carbohydrates, fats and protein. The other chemical compositions were not shown the remarkable differences among cereal cultivar. This resul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specific cooking or functional study.

  • PDF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분석에 의한 원산지별 농산물의 방사선 조사여부 검지 (The Detection of Irradiated Agricultural Commodities by Origins with Photostimulated Luminescence (PSL) Analysis)

  • 정재영;이은영;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291-295
    • /
    • 2001
  • 방사선 처리의 가능성이 높은 농산물로서 곡류(현미, 메밀)와 두류(대두, 땅콩, 적두, 녹두)는 국산과 중국산을, 마늘은 국산을 대상으로 하여 곡류와 두류는 0.5∼4 kGy, 마늘은 0.05∼0.5 kGy 범위의 감마선을 각각 조사하고 조사여부의 검지를 위한 광자극 발광 특성(PSL)을 검토하였다. 곡류와 녹두의 PSL 값은 대체로 비조사군(< 700 photon counts, negative)과 조사군(> 5,000 counts, positive)의 중간 값을 보여 PSL 검지법의 적용이 불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두, 땅콩, 적두 및 마늘은 비조사군은 700 court군 이하, 감마선 조사구는 5,000 이상의 photon count를 나타내어 조사 여부의 건지에 광자극 발광분석의 적용이 가능하였다 본 실험에 사용된 곡류와 두류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광자극 발광 특성은 원산지 별로 차이가 없었다.

  • PDF

쌀을 포함한 곡류 및 두류의 항변이원 활성의 검색 (Screening of Antimutagenic Activities from Cereals and Beans Including Rice)

  • 강미영;최영희;남석현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6호
    • /
    • pp.419-423
    • /
    • 1996
  • SOS chromotest 방법을 이용하여 천연물에 포함된 항변이원성 물질의 활성을 정량화 할 수 있는 항변이원 활성단위 측정법을 개발하였다. 이 방법에 의하여 시료의 항변이원 활성을 특정 화학적 변이원이 유도하는 변이원성이 표준측정 조건하에서 50% 억제되는 시료의 양으로 수치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확립된 방법으로 쌀의 품종별 항변이원 활성 및 기타 곡류의 항변이원 활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변이품종 쌀인 자도와 향도가 취반용으로 사용되는 추청보다 항변이원 활성이 높았고, 일반적으로 검정콩이나 팥과 같은 잡곡의 항변이원 활성이 현미보다 높았다.

  • PDF

γ -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Selected Uncooked Foods

  • Oh, Suk-Heung;Moon, Yeon-Jong;Oh, Chan-H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8권1호
    • /
    • pp.75-78
    • /
    • 2003
  • We analyzed the ${\gamma}$-aminobutyric acid (GABA) content of a selection of uncooked foods. Foods with GABA concentrations in excess of 100 nmole per g dry weight included: brown rice germ, brown rice sprouts, barley sprouts, bean sprouts, beans, corn, barley, brown rice, spinach, potatoes, sweet potatoes, yams, kale and chestnuts. Cereals included: brown rice germ, brown rice sprouts, barley sprouts, bean sprouts, beans, corn, barley, and brown rice and had GABA concentrations of 718, 389, 326, 302, 250, 199, 190, and 123 nmole per g dry weight (DW), respectively. The vegetables: spinach, potatoes, sweet potatoes, yams and kale contained 414, 166, 137, 129, 122 nmole GABA per g DW, respectively. The GABA concentration of chestnut was 188 nmole per g DW. However, oatmeal, adlay, broccoli, squash, carrots, onion, apples, lentinus edodes, green laver, and lactobacillus had GABA concentrations of less than 100 nmole per g DW. These results show that brown rice germ, sprouted cereals and spinach are good sources of plant-derived GABA. These data will be useful in selecting foods for the manufacturing of uncooked foods containing a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of GABA.

곡물별 담자균 배양물의 효소활성 (Enzyme activity of Basidiomycetes products in each cereals)

  • 박효숙;김보현;최한석;김중만;김명곤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02-108
    • /
    • 2010
  • 본 연구는 곡류별 버섯 균사체의 성장률과 효소활성을 측정하였다. 현맥 배양물이 다른 곡류와 비교했을때 균사체 성장 속도가 빨랐다. 효소 활성은 기간별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alpha}$-amylase 효소 활성은 느타리와 상황버섯균이 우수하였으며, ${\beta}$-amylase활성은 느타리와 장수버섯균이 우수하였다. Protease활성은 상황버섯균을 제외하고는 곡물에 관계없이 비교적 고른 생산을 보였다. 담자균 배양에 의해서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와 황색도가 증가하였다.

  • PDF

곡류저장시 Fusarium moniliforme에 의한 Fusarin C 생성에 관한 연구 (A Research on the Production of Fusarin C in Cereals during Storage by Fusarium moniliforme)

  • 안명수;현영희;정태영;김덕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5-81
    • /
    • 1989
  • 우리나라에서 상응되고 있는 12종의 곡류 중에서 Fusarin C의 존재여부와 몇종의 곡류배지에서의 F. moniliforme에 의한 Fusarin C의 생성능력 및 Fusarin C의 생성과 수분활성도와의 관계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서울지역에서 상용하고 있는 곡류 12종 중에 쌀, 차조, 수수, 옥수수에서 Fusarin C가 상당량 검출되었으며 평택지역에서는 보리와 율무에서만, 서울지역의 곡류들보다 훨신 적은 양이 검출되었다. 이와 같은 경향에서, 지역 간의 판매 유통기간중의 보관상태가 매우 중요한 인자라고 생각된다. 2. 곡류를 배지로 한 F. moniliforme의 배양시에 생성되는 Fusarin C의 양은 쌀에서 월등히 높게 나타났으며 보리에서도 옥수수보다 많은 양이 생성되는 것으로 나타나 우리가 상식하고 있는 쌀 및 보리가 F. moniliforme의 배지로서 옥수수보다 더 적절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수분활성도가 Fusarin C 생성에 미치는 영향은 쌀보다 옥수수에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옥수수의 경우 수분황성도가 높을수록 Fusarin C의 생성량이 크게 증가되며, 수분활성도가 높은 부분에서는 1주에서 최고 값을 나타내었으나 2주에서는 급격히 감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