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Southern Sea

검색결과 1,318건 처리시간 0.024초

Summer Pattern of Phytoplankton Distribution at a Station in Jangmok Bay

  • Lee, Won-Je;Shin, Kyoung-Soon;Jang, Pung-Guk;Jang, Min-Chul;Park, Nam-Joo
    • Ocean Science Journal
    • /
    • 제40권3호
    • /
    • pp.109-117
    • /
    • 2005
  • Daily changes in phytoplankt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monitored from July to September 2003 (n=47) to understand which factors control the abundance at a station in Jangmok Bay. During the study,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as mainly composed of small cell diatoms and dinoflagellates, and the dominant genera were Chaetoceros, Nitzschia, Skeletonema and Thalassionema. Phytoplankton abundance varied significantly from $6.40{\times}10^4$ to $1.22{\times}10^7$ cells/l. The initially high level of phytoplankton abundance was dominated by diatoms, but replacement by dinoflagellates started when the NIP ratio decreased to <5.0. On the basis of the N/P and Si/N ratios, the sampling periofd could be divided into two: an inorganic silicate limitation period (ISLP, $14^{th}$ $July-12^{th}$ of August) and an inorganic nitrogen limitation period (INLP, $13^{th}$ of August - the end of the study). Phosphate might not limit the growth of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the bay during the study period. This study suggests that phytoplankton abundance and species composition might be affected by the concentrations of inorganic nutrients (N and Si), and provides baseline information for further studies on plankton dynamics in Jangmok Bay.

한국주변해역 상층부의 수온 변동과 북태평양 기후체제와의 관계 (Temperature Variabilities at Upper Layer in the Korean Marine Waters Related to Climate Regime Shifts in the North Pacific)

  • 라만;이충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45-151
    • /
    • 2016
  • 수온과 기후 지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주변해 상층부의 수온변동과 북태평양 기후체제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1970, 1980 그리고 1990년대 후반에 발생한 기후체제전환은 해양생태계의 구조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북서태평양 대륙주변부에 위치한 우리나라 주변해역 또한, 10년 이상의 장주기적인 변화의 영향을 받지만, 해역별 반응은 다르다. 동해, 서해, 남해 상층부(10 m)의 경우 1988년의 기후체제전환은 3개 해역의 상층부 수온변화에서 동시에 나타난다. 반면, 1998년은 동해남부해역과 서해, 1976년의 기후체제전환은 전 해역의 겨울철 수온변화에서만 그 영향이 나타난다. 1998년 기후체제전환 이후, 서해, 동중국해, 동해 남부의 수온은 점차 감소하지만, 동해 북부해역은 1988년 기후체제전환 이후 증가하는 형태이다.

동해 남부 연안에서 출현하는 저어류 군집구조의 변화 (Variations in Demersal Fish Assemblage in the Southern Coast of East Sea, Korea)

  • 박주면;백근욱;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426-434
    • /
    • 2018
  • We investigated temporal and depth-related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the fish assemblage in the southern East Sea. Fish samples were collected seasonally between 2007 and 2008 using a demersal trawl off the southern coast of Korea. We identified 59 fish species belonging to 41 families. The most frequently occurring species was Coelorinchus multispinulosus, followed by Lophius litulon, Acropoma japonicum and Apogon lineatus. The five most abundant species were A. lineatus, A. japonicum, Myctophum nitidulum, Engraulis japonicus and C. multispinulosus, accounting for 87.04%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The number of species, abundance and diversity fluctuated with sampling location and time. Permutational multivariate analyses of variance revealed that the assemblage structure was influenced by year, season and water depth, with season being the main indicator. These changes were visually emphasized using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ordination plots. Fluctuations in assemblage structure were due to differential contributions of the dominant species.

Amphipod (Crustacea: Malacostraca) fauna of the continental shelf region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Kyung-Won Kim;Jae-Hong Choi;So-Yeon Shin;June Kim;Young-Hyo Kim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159-177
    • /
    • 2024
  • A faunal study on the marine amphipods at eight sites of the continental shelf region in the Southern Sea, Korea was conducted from 16-17 August 2022. In this study, 26 amphipod species in 19 genera and 14 families were found. Among these 14 families, the family Ampeliscidae with six species showed the highest abundance, followed by the family Caprellidae with five species. Amphipods were collected using conical nets, MOCNESS nets, SM grabs, and trawls. When using the SM Grab for collecting benthic sediment, 15 out of a total of 26 amphipod species were surveyed, indicating the highest diversity of amphipod species. Out of the total 26 species, four identified species (Ampelisca pygmaea Schellenberg, 1938; Byblis longiflagelis Ren, 1998; Caprella iniquilibra Mayer, 1903; Primno latreillei Stebbing, 1888) and five unidentified species(Themisto sp., Liljeborgia sp., Dulichiella sp., Cranocephalus sp., Primno sp.) are newly recorded in Korean fauna. These newly recorded species are fully illustrated and compared with related species. We provide a list amphipod fauna in Southern Sea of Korea including figures and tables.

한국 남해해역 패류군집에서 나타나는 시간평균화 현상과 최종 빙하기 이후 해수면 변동 (Post-Last Glacial Sea-Level Change and Time-Averaging appeared from the Molluscan Thanatocoenose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이연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541-550
    • /
    • 2005
  • 한국 남해해역의 최종빙하기 이후 해수면변화 및 시간평균화 현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남동대륙붕 19개 정점, 서남해역 5개 정점에서 산출하는 패류유해 중 우점종 및 특징종 42개체에 대해 $^{14}C$연대측정을 행하였다. 측정결과 동일 정점 내에서 시간평균화(Time-averaging) 현상이 나타나며 최대 11,939년까지 연대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최종빙하기 이후 남해해역에서의 해수면은 약 15,000년 전 최종빙하기시 해수면이 현재 해수면보다 약 $150\~160 m$ 하강하였으며, 이후 약 9,000년까지 해수면이 약 60m로 급격히 상승하였다. 그리고 이후 약 $4,000\~5,000$년까지 수심 약 $50\~60 m$에서 안정적이었으며, $3,000\~4,000$년 사이 또 한번의 급한 해수면 상승으로 수심이 현재 해수면보다$10\~20 m$ 낮아졌으며, 이후 현재에 이르는 것으로 생각된다.

남해에 출현하는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허성회;박주면;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35-41
    • /
    • 2006
  • The feeding habits of Spanish mackerel (Scomberomorus niphonius) were studied based on the examination of stomach contents of 445 specimens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4,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 size of Spanish mackerel ranged from 26.1 to 105.4 cm in fork length (FL). Spanish mackerel was a piscivorous fish which mainly consumed teleost fishes such as chub mackerel (Scomber japonicus) and anchovy (Engraulis japonicus). Its diet also included small quantities of shrimps, stomatopods, cephalopods, crabs, polychaetes, amphipods, cumaceans and copepods. Smaller individuals (<60 cm FL) consumed small fishes such as Engraulis japonicus and crustaceans. The portion of these prey items decreased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this decrease was paralleled with increased consumption of lager fishes such as Scomber japonicus and Cololabis saira. The prey siz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fish size.

남해안에 출현하는 상어류 6종의 식성 (Feeding Habits of 6 Shark Species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 허성회;박주면;박세창;김지형;백근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54-261
    • /
    • 2010
  • The feeding habits of six shark species, Scyliorhinus torazame, Mustelus manazo, Squalus megalops, Isurus oxyrinchus, Alopias pelagicus, and Carcharhinus plumbeus were studied using the stomach contents of 463 specimens collected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2007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They consumed different prey items. S. torazame preyed mainly crustaceans, and M. manazo on crustaceans and fishes. S. megalops, I. oxyrinchus, A. pelagicus, and C. plumbeus consumed predominately fishes.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ordination plots emphasized that dietary similarities separated thesix shark species into three trophic groups based on similarities in percentage Index of Relative Importance (%IRI): Group I (crustacean feeders), Group II (fish and crustacean feeders), and Group III (fish feeders).

해양대순환모형을 이용한 해빙의 역할에 관한 수치실험 연구 (Numerical Study on the Role of Sea-ice Using Ocean General Circulation Model)

  • 이진아;안중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6권4호
    • /
    • pp.225-23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후 시스템 내에서의 해빙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열역학적 방식에 의한 해빙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해양대순환 모형인 MOM에 접합한 해양/해빙 접합 모형을 구축하여 수치적 실험을 하였다. 연구에서는 먼저 접합한 모형을 이용하여 해빙의 계절 평균적인 분포를 모사하였다. 또한 해양대순환 모형이 해빙 모형과 접합한 경우와 접합하지 않은 경우를 비교함으로써 대규모 해양 분포에 나타나는 해빙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또한 모형의 결과를 다른 모형의 결과 및 관측자료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해양/해빙 모형 접합 모형의 결과를 검증하였다. 접합 모형은 양반구 고위도에서의 해빙이 계절적 분포를 전체적으로 적절히 모사하였다. 해양대순환 모형이 해빙 모형과 접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대한 비교 연구에서 해빙은 양반구 고위도에서의 해수온과 염분을 유지시켜주는 중요한 역할을 할뿐만 아니라 South Ocean 순환세포와 남반구 순환세포(Southern Hemisphere circulation cell) 및 북대서양 심층수와 관련한 자오 심해 순환과 남극환류 같은 동서류의 순환도 적절히 모사하였다.

  • PDF

한국 주변해역에 서식하는 살오징어(Todarodes pacificus)의 형태 및 유전학적 계군분석 (Morphological and Genetic Stock Identification of Todarodes pacificus in Korean Waters)

  • 김정연;윤문근;문창호;강창근;최광호;이충일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8권3호
    • /
    • pp.131-141
    • /
    • 2013
  • 본 연구는 2011년 9월에서 12월까지 동해(북부, 중부, 남부), 서해, 동중국해의 해구에서 각각 채집된 살오징어의 계군을 형태 및 유전학 차이를 이용하여 구분하였다. 형태학적 차이에 따른 계군분석은 평균성숙외투장(20-22 cm)을 기준으로 하여 발생시기를 구분하였고, 유전학적 특성에 따른 계군은 mtDNA COI 영역의 염기변이에 의한 유전자 다양성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평균성숙외투장을 기준으로 동해 북부는 발생시기가 하계군, 나머지 집단(동해 중부, 동해 남부, 동중국해 북부, 서해 북부)은 추계군으로 크게 2개의 계군으로 추정되었다. 유전자 분석결과 살오징어 mtDNA COI 영역에서 총 49개의 haplotype을 확인하였다. TCS 분석결과 haplotype 유전자형 네트워크가 star-like형태이며, 모든 집단에서 유전적 다양성(haplotype diversity, h)이 높고(h=0.661~0.841), 반면에 염기 다양도(nucleotide diversity, ${\pi}$)가 낮게 나타난 점으로 미루어보아 국내 서식 살오징어의 경우 최근에 급속한 집단의 분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Pairwise Fst를 이용한 집단분석결과 비록 모든 집단간의 유전적 차이가 낮게 나타났지만(Fst = 0.001~0.043) 평균성숙외투장 기준으로 같은 추계군으로 분류된 집단(동해 중부, 동해남부, 서해 북부)간에는 유전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P<0.05).

우리나라의 연안기후와 해면수온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the Sea Surface Temperature and the Coastal Climate in Korea)

  • 안유신;한영호;김영섭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66-574
    • /
    • 1984
  • 1962년부터 1981년까지 기온, 습도, 해면수온 자료를 이용하여 연안기후에 대한 해양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해면수온은 서해안에서 9월부터 3월 까지 약 6 개월동안, 동해안에서는 9월부터 4월까지 약 5개월동안 해안기온보다 높았다. 연안기온이 해면수온 보다 높아지는 것은 서해안에서는 3월, 남해안과 동해안에서는 4월로 서해안이 1개월 정도 빨랐다. 연안기온과 내륙기온, 연안기온과 해면수온과의 차, 그리고 연안습도와 해면수온, 해안습도와 내륙습도와의 차로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안기후요소(기온과 습도)에 대한 해양 영향의 계수는 남해안과 동해안보다 서해안에서 약하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