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Keum River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3초

금강하구둑 홍수예경보 시스템 개발(I) -시스템의 구성- (Real-Time Flood Forecasting System For the Keum River Estuary Dam(I) -System Development-)

  • 정하우;이남호;김현영;김성준
    • 한국농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79-87
    • /
    • 1994
  • A real-time flood forecasting system(FLOFS) was developed for the real-time and predictive determination of flood discharges and stages, and to aid in flood management decisions in the Keum River Estuary Dam. The system consists of three subsystems : data subsystem, model subsystem, and user subsystem. The data subsystem controls and manages data transmitted from telemetering systems and simulated by models. The model subsystem combines various techniques for rainfall-runoff modeling, tidal-level forecasting modeling, one-dimensional unsteady flood routing, Kalman filtering, and autoregressivemovingaverage(ARMA) modeling. The user subsystem in a menu-driven and man-machine interface system.

  • PDF

금강하구둑 건설 전${\cdot}$후의 흐름특성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Tidal Flow Characteristics of Before and After Constructed Keum River Estuary Dike)

  • 신문섭;이동주;홍성근;김재형;박성열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4년도 학술발표회
    • /
    • pp.992-996
    • /
    • 2004
  • 천해역(shallow sea area)에서의 조류 형태(tidal flow regime)는 주로 만(bay)이나 해안선(shoreline)의 형태, 해저 지형(bottom topography), 수로(channel), 천퇴(sand bar)나 간석지(tidal flat) 등의 지형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본 연구는 복잡한 지형적 변화 및 천해특성에 기인된 조석(tide)의 현상이 뚜렷이 나타나는 금강하구(Keum River Estuary)를 하구둑(Estuary Dike) 건설 전${\cdot}$후(Before and After Constructed)의 수심(depth)변화 및 유속(current)변화를 수치실험(numerical experiments)으로 고찰했다.

  • PDF

서남부지역 수자원의 효율적 이용방안 (A Practical Research for More Efficient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in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 김현영;서영제;최용선;문종원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8년도 학술발표회 발표논문집
    • /
    • pp.279-286
    • /
    • 1998
  •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is situated in an unbalance of water supply and demand relating to the Keum, Mankyung, Dongjin and Youngsan River and their estuary reservoirs. For example, the Keum River estuary reservoir is discharging the larger amount of yearly runoff into the sea due to the small storage capacity, while Saemankeum estuary reservoir which is under construction, has the smaller runoff amount comparing with its storage capacity, And the downstream area of the Youngsan River, such as Youngkwang, Youngam are deficient in water due in larger demand and smaller supply. In order to solve the above unbalanced water supply and demand and also to improve the water use efficiency, the Hierarchical Operation Model for Multi-reservoir System(HOMMS)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analyze the multi-reservoir operation assuming that the above reservoirs were linked each other.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2,148MCM of annual additional water requirement for agricultural and rural water demands are required in this region at 2011 of target year, and these demands can be resolved by diverting and reusing 1,913MCM of the released water from the estuary reservoirs into the sea.

  • PDF

사강하구의 조석 및 토사이동 (Tide and Sediment Transport in the Keum River Estuary)

  • 최병호;강경구;이석우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43
    • /
    • 1989
  • 사강하구의 비선형 조석 및 이에 관련된 퇴적동력학을 조석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조석모형은 하구조문대의 노출양상 및 이차원 하구모형과 일차원 감조하천모형을 동적접합시키는 데 역점을 두었다. 모형의 결과는 하구의 강한 봉제소산에도 불구하고 M$_4$분조는 상당한 크기로 산정되었으며 이에 의한 조석비선형은 강한 장조와 상대적으로 약하나 대적시간이 긴 노조로서 제시된 바 하구사주형성의 한 요인이 된다. 또한 모형으로부터 산정된 해저최대봉제응력의 공간적인 분포는 사강하구둑 건설로 인해 군산항접 근수로 및 하구둑 하류부에 큰 퇴적변화가 야기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한 군산연안해역의 수질평가 (The Evaluation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Kunsan Using Statistic Analysis)

  • 이남도;김종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69-376
    • /
    • 200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Kunsan using multivariate analysis. The analysis data in Coastal Sea of Kunsan use of surveyed data by the NFRDI from April 2000 to November 2002. Twelve water Quality parameter were determined on each sample. The results was summarized as follow ;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Kunsan could be explained up to 62.782% by four factors which were included in loading of nitrogen-nutrients by Keum river(24.688%), suspended solids variation (12.180%), seasonal climate variation (18.367%) and variation of DIP (10.546%). To analyze spatially and monthly variation by factor score, it was divided by inner area and outer area spatially, and spring and summer monthly. The result of time series analysis by factor score, inner area of Kunsan coastal sea(St.1 and St. 2) was the most affected by nitrogen-nutrient and suspended solids due to runoff by Keum river. It could be suggested from these results that it is important to reduce tile pollution loads from Kuem river for the control of the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of Kunsan.

금강 하구에서의 화학적, 생물학적 제과정에 관한 연구 1. 질소계 화합물의 순환 : 전반적 고찰 (Studies on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in the Keum River Estuary, Korea 1. The Cycle of Dissolved Inorganic Nitrogen : General Considerations)

  • 김경렬;기준학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91-206
    • /
    • 1987
  • 금강을 통하여 연간 평균 64억톤의 담수가 유입되는 금강 하구(Keum River Estuary)는 총 유출량의 60%이상이 여름에 집중되어, 건기(low-descharge period) 및 우기(high-discharge period)가 뚜렷이 구별되는 강하구 환경(estuarine environment)을 이루고 있다. 금강 하구는 우기중 일부를 제외한 전 기간에서 높은 SPM(Suspended Particulate Matter)이 형성되기도 한다(Lee and Kim, 1987). Photosynthesis는, 금강하구가 금강, 생활 하수등을 통한 공급으로 영양염들이 항상 충분히 존재하는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SPM의 농도가 매우 낮았던 우기중에만 활 발히 진행되었다. 이는 금강하구에 있어서, SPM의 농도가 빛에너지 차단 등을 통하 여 일차 생산 활동의 진행 여부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Nitrification은 건기중 무기질 화합물들과 관련되어 진행되 는 가장 중요한 respiration 작용으로서, SPM이 높은 지역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 었으며, turbidity maximum형태에 따라 크게 두가지 형(ammonia-nitrite산화과정 및 ammonia-nitrate 산화 과정)이 관측되었다.Nitrate생성은 turbidity maximum이 매우 좁은 지역안에 형성되었던 시기에 이 구간내에서 관측되었고, Nitrate 생성은 turbidity maximum 이 강하구 전역에 걸쳐 넓게 형성되었던 시기에 강 하구 전역 에서 진행되고 있었다. 이것은 수괴가 높은 SPM지역에 머무를 수 있는 시간에 따 라 반응 형태가 좌우되어, 이 시간이 짧은 경우에 nitrete까지, 충분히 긴 경우에는 nitrate까지 ammonia가 산화되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생각된다.

  • PDF

흙의 지수적(指數的) 특성(特性)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racteristcs of Soil Parameter)

  • 강예묵;조성섭;김성완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57-166
    • /
    • 1977
  • 한강하류(漢江下流), 아산만(牙山灣), 금강하류(錦江下流)및 낙동강하류(洛東江下流) 지역(地域)에 대(對)한 Atterberg한계치(限界値)와 교란(攪亂)된 흙과 교란(攪亂)되지 않은 흙에 대(對)한 역학적(力學的) 성질(性質)을 규정(規定)하는 여러가지 토질상수치(土質常數値)의 상관성(相關性)을 분석(分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자연상태(自然狀態)의 흙에 단위체적중량(單位體積重量)은 함수비(含水比)를 좌우(左右)하는 성분(成分)인 점토광물(粘土鑛物)의 함유량(含有量)에 의하여 변화(變化)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습윤단위중량(濕潤單位重量)은 점토광물(粘土鑛物)의 함유량(含有量)이 가장 많은 낙동강하류(洛東江下流)에서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내고 한강하류(漢江下流), 금강하류(錦江下流), 아산만(牙山灣)의 순(順)으로 큰 값을 나타냈다. 2. 함수비(含水比)가 증가(增加)하면 건조밀도(乾燥密度)는 감소(減少)하는 곡선관계(曲線關係)가 성립(成立)하며 건조밀도(乾燥密度)의 값은 조립토(粗粒土)의 함유량(含有量)이 많은 아산만(牙山灣)에서 가장 컸고 금강하류(錦江下流), 한강하류(漢江下流) 및 낙동강하류(洛東江下流)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3. 각지역(各地域)의 액성한계(液性限界)와 소성지수(塑性指數)의 값은 액성한계(液性限界)의 값이 40% 이상(以上)에서는 소성도(塑性圖)의 A-선(線)보다 위에 있었다. 4. 건조밀도(乾燥密度)는 공극비(空隙比)의 증가(增加)에 따라 감소(減少)하는 곡선관계(曲線關係)가 성립(成立)하며 조립토(粗粒土)의 함유량(含有量)이 많은 흙에서 변화(變化)의 폭(幅)이 컸다. 따라서 공극비(空隙比)의 증가(增加)에 따라 건조밀도(乾燥密度)의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은 점토함유량(粘土含有量)이 가장 작은 아산만(牙山灣) 지역(地域)에서 가장 큰값을 나타내고 금강하류(錦江下流), 한강하류(漢江下流) 및 낙동강하류(洛東江下流)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 PDF

금강하구역의 수동역학적 변수 (2) -수치실험을 중심으로- (Hydrodynamic Changes in the Keum River Estuary (2) - By Numerical Model Tests -)

  • 서승원
    •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8-26
    • /
    • 1998
  • 금강하구에서 대규모 공사의 영향으로 인한 수동역학적 변화를 해석하기 위하여, 2차원 유한요소 수동역학모형을 적용하었다. 수치모형을 조석과 조류번화 해석에 적용한 결과 금강하구둑의 수문이 열렸을 때와 eke혔을 때는 조석체계가 급격히 변화되어 M$_2$, 분조가 각각 군산내항에서 17 cm 및 6 cm 확폭되고, 군산외항에서는 5 cm 및 3 cm 확폭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연차별 단계별로 진척되는 공사로 인한 조류와 해저 퇴적성향의 변화결과는 도류제 축조로 조류속이 증가되는 것이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금강하구역의 동적평형을 이루는 해저마찰응력은 0.4N/$m^2$로 분석되었다. 일대해역의 퇴적율 R은 최대마찰응력(equation omitted)와 상관이 있으며 R=-0.37-0.40 ln $\tau$의 관계로 설명된다.

  • PDF

금강 경관의 수면폭 변화에 따른 시각적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Visual Preference of Keum River Sceneries at Different Water Level)

  • 유상완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1호
    • /
    • pp.273-282
    • /
    • 2006
  • 본 연구는 수량에 의한 수면폭의 변화로 인한 하천경관의 시각적 선호도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변 환경이 일정할 때 수량에 의한 수면폭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선호되어지는가?'에 대한 연구의문에서 출발하여 금강경관의 수면폭에 미치는 선호요인을 구명하였다. 1)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선호요인 변수는 먼저 갑천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심미성 인자, 개성적 인자 4개의 변수, 무주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2개 변수로서 모두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모든 선호요인의 값이 증가함에 따라 시각적 선호의 값도 증가를 가져오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2) 다중회귀모형에서 다른 조건이 불변일 경우, 갑천, 무주 모두 감정적 인자의 값이 증가할 때 전체적인 시각적 선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물리적 특성 인자가 두 번째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선호요인이 시각적 선호에 기여하는 상대적 중요도는 갑천의 경우 감정적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심미성 인자, 개성적 인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인자는 개성적 인자에 비해 4.3배만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의 경우 감정적 인자, 물리적 특성 인자 순으로 나타났으며 감정적 인자는 물리적 특성 인자 비해 1.1배만큼 중요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두 장소 모두 감정적 인자가 가장 중요한 선호요인으로 판명되었다. 수면폭 변화에 따른 금강경관의 시각적 평가에 의한 요인분석 결과는 하천의 수면 폭 및 수량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 PDF

금강 권역 충적층 지하수의 질산염 오염: 질산성 질소의 기원과 거동 고찰 및 안전한 용수 공급을 위한 제언 (Nitrate Contamination of Alluvial Groundwaters in the Keum River Watershed Area: Source and Behaviors of Nitrate, and Suggestion to Secure Water Supply)

  • 김경호;윤성택;채기탁;최병영;김순오;김강주;김형수;이철우
    • 지질공학
    • /
    • 제12권4호
    • /
    • pp.471-484
    • /
    • 2002
  • 금강 유역의 충적층(면적 $3,029\textrm{km}^2$)에는 총 81억톤에 이르는 지하수가 부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과도한 농업활동에 의해 질소계 비료의 사용량이 증가함(250 N kg/ha 이상)에 따라 질산염 오염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 권역의 대표적인 충적층 분포 지역의 충적층 지하수를 대상으로 질산염의 오염 현황 및 거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광역적인 수리지구화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채취된 지하수 시료(총 186개)는 대체적으로 높은 질산염 농도(평균 42.2 mg/L, 최대 295 mg/L)를 보여주어 심하게 오염되어 있음을 나타내었다. 특히, 채취된 시료의 약 29%는 먹는물 수질 기준(44 mg/L $NO_3$)을 초과하고 있다. 연구지역 내 지하수 중의 질산염의 분포는 충적 대수층의 지구화학적 환경에 따라 크게 좌우되고 있다. 특히, 충적층 지하수의 산화-환원 전위(Eh)의 감소는 질산염의 농도 및 철과 망간의 농도 감소와 뚜렷한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충적 대수층 지질매체 자체의 퇴적 환경의 차이를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산화-환원 상태(redox state)의 변화는 충적층 지하수 내의 질소계 오염물질의 거동을 지배함은 물론 탈질(denitrification)에 의한 자연저감을 조절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탄소가 풍부한 실트질 충적층의 존재는 혐기성 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질산염 오염에 대하여 상당한 정도의 완충 능력을 지니게 하는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