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HyangyakBoncho(鄕藥本草) in Vol. 76-85 of the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deals with the Hyangyak, medicinal stuffs produced in the territory of Chosun from the late times of Corea to the early times of Chosun. It also includes whole knowledges and the way to process(?製) of Oriental medical botany(本草) in that period of Chosun and China. It contains all the knowledges of the Hyangyak and the Boncho(鄕藥本草學) so that it can be helpful for the Chosun to apply to medicines.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s of HyangyakBoncho(鄕藥本草) through analyzing. In future it is supposed that this report is the first approach to the core of the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which describes medicines with prescriptions made up of the Hyangyak main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ine mainly using the Hyangyak(鄕藥) in the early Chosun by analyzing the text in ${\ulcorner}$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lrcorner}$ and comparing it with other medical books. To start out this grand investigation, the research was focused on ${\ulcorner}$Sanghanmun(傷寒門)${\lrcorner}$, Vol.5-8 of ${\ulcorner}Hyangyakjipseongbangs{\lrcorner}$. The conclusion made in this study is as follows: 1. All of the prescriptions in ${\ulcorner}Sanghanmun{\lrcorner}$, was made up of the Hangyak listed in ${\ulcorner}$HyangyakBoncho(鄕藥本草)${\lrcorner}$, Vol.76-85 of ${\ulcorner}Hyangyakjipseongbangs{\lrcorner}$ 2. The main purpose of ${\ulcorner}Sanghanmun{\lrcorner}$ was to make sure it was easy to use for people with no medical backgrounds. To have a more specific understanding on the medicine mainly llsing the Hyangyak,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on how the catergory of the Hangyak changed. This should be done by comparing the books written after the ${\ulcorner}Hyangyakjipseongbangs{\lrcorner}$, and also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age of prescriptions in ${\ulcorner}Hyangyakjipseongbangs{\lrcorner}$.
In researches done previousl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yangyak medicine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 shown in "HyangyakBoncho(鄕藥本草)" in Vol. 76-85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and "Sanghan section(傷寒門)" in Vol. 5-8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was investigated. "Cough section(咳嗽門)" in "Various Diseases volume" of "Dongeuibogam(東醫寶鑑 雜病篇)" Vol. 5 and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Vol 24-25 which is a paragraph related to "Sanghan section(傷寒門)" was compared. The variety of the Hyangyak, processing methods and forms of the Hyangyak were shown by comparing each oriental medical botany(本草) used for treating cough(咳嗽) in "Dongeuibogam(東醫寶鑑)". Subsequently, the difference between each structure and medical theory was speculated. The facts revealed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uses only the Hyangyak, and no foreign medicines were used for treating cough(咳嗽) in "Dongeuibogam(東醫寶鑑)". Second, in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medicines related to diet and medicines taken raw were widely used, and various forms of medicine such as extracts, plasters, and gruels were used. Third, like other medical books in earlier periods,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describes the medical theory with conciseness, and keeps the structure of symptom classification focused on treatment and prescription. Fourth, as [Hyangyakboncho(鄕藥本草)] extensively uses the knowledge of oriental medical botany(本草) from two of Four Masters of GeumWon(金 元); JangWonSo(張元素) and LeeDongWon(李東垣), "Various Coughs section(諸咳門)" of "Hyangyakjipseongbang(鄕藥集成方)" quotes the books of JuDanGae but does not adopt the theory and prescriptions of 'replenishing yin and downbearing fire (滋陰降火)'. To find a more descriptive picture of the Hyangyak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cough(咳嗽)', a comparatitive study between the books written in the same period -"Euibangyuchui(醫方類聚)" and books compilated in China should be done, and there should be more profound researches done on individual medicines and prescriptions.
우리나라의 특산품인 고려인삼은 삼국시대 이래 가장 중요한 수출품 중 하나였다. 그러나 고려 시대까지 우리 역사에서 인삼에 관한 기록은 그리 많지 않다. 본 고에서는 고려 시대의 인삼에 관한 국제 수교 및 교역 기록과 당시 출판된 것으로 알려진 의약서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주변 국가인 발해, 송, 왜, 후진, 원나라와 외교적 예물로 또는 교역품으로 인삼이 활발하게 거래되었다. 주로 고려에서 주변 국가로 인삼이 수출되었지만 발해와 거란으로부터는 인삼을 외교적 예물로 받기도 하였다. 아라비아 상인은 고려의 대표적 국제무역항이었던 벽란항에 와서 인삼을 교역하였다. 몽골 침입 이후 원나라의 인삼 요구량이 지나치게 많아서 큰 사회적 문제가 되기도 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제중입효방』, 『어의촬요방』, 『향약고방』, 『삼화자향약방』, 『향약혜민경험방』, 『향약구급방』, 『비예백요방』 등 여러 의약서가 출판되었다. 『향약구급방』은 조선시대에 중간된 것이 전해지고 있으나 나머지 책들의 원본은 현재 전해지지 않고 있다. 최근 후대의 여러 의약서에 인용된 것들을 연구하여 그 일부가 복원되기도 하였다. 궁중에서 사용되었던 의약서에는 인삼을 포함한 처방의 비중이 높았던 반면 주로 평민을 위한 『향약구급방』에는 인삼 처방이 한 건도 수재(收載) 되지 않았다. 이는 당시 인삼이 매우 귀하고 고가이어서 평민이 접하기는 어려웠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amined the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Hyangyak Jipseongbang that was compiled in the $15^{th}$ century (1433) and continued to publish throughout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Various existing records and the early Joseon printed edition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a domestic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were reviewed from 3 perspectives as follows. First, it is the bibliographical system approach to Hyangyak Jipseongbang for some circumstances related to its compilation and publication. Second, it is the significance in terms of printing history through the analysis of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he status of the remaining Hyangyak Jipseongbang. Particularly, the period of publication is an important factor to determine the value of a book. In this respect, most of the extant early-Joseon editions of Hyangyak Jipseongbang seem to have been published during the ruling years of King Sung Jong. Those editions are expected to have distinctive meaning from other copied editions of the $17^{th}$ century. Last, it is bibliographical orignal analysis of Hyangyak Jipseongbang. This study reviewed the contents and composition of Vol. 49 through 51 of Hyangyak Jipseongbang stored in Sancheong Korean Medicine Museum in an attempt to help understand the textual bibliography and composition system of exhibiting editions.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Hyangyak in "Single-medicine prescription treatment of domestic herbs" of "Kwangjebikeup" and then conducted further studies focusing on ginseng as it is written in "Single-medicine prescription treatment of domestic herbs". Methods : Through a study of classical literature on Hyangyak and ginseng, information regarding the two was gather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both time and region. Results : All of the herbs in "Single-medicine prescription treatment of domestic herbs", the 4th volume of "Kwangjebikeup", are domestic herbs. Ginseng was a part of the flora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long ago and ginseng was cultivated from most of the peninsula. We confirmed cultivation of ginseng in Sungcheon, Pyungan-do and most areas of Hamgyeong-do through geography books such as "Geography Monograph of King Sejong". Because the natural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conducive to growing wild ginseng, it was possible to cultivate ginseng. In the late Chosun period, cultivated ginseng was so prevalent that people would have been able to collect and use ginseng without great difficulty. In "Kwangjebikeup", ginseng shows superior efficacy in terms of first-aid. "Kwangjebikeup" contains practical herbal medicines that were based on obtainable ingredients. Conclusions : The purpose of publication of this book was to make medical knowledge available to general public in an easy-to-understand form. And through added clinical experiences of the author, we know that "Kwangjebikeup" played a role in settlement and spreading of foreign knowledge to civilians.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약초원의 형성 과정을 추적하고 조경사적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본초학 연구가 이루어진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는 시기의 의료체계 속에서 약초원과 관련한 기록을 찾아보았다. 약초원은 여말선초인 13~15세기에 발달하였다. 지역성을 강조하는 성리학적 자연관의 영향으로 토산 약초를 뜻하는 향약(鄕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진 고려 말 문인들이 약포(藥圃)를 가꾼 경향이 발견되며, 향약 조사 발견 재배 탐구 등 관련 정책이 시행된 조선 초 종약전(種藥田)이라는 이름의 약초원이 조성된 사실이 확인된다. 내의원과 혜민서와 같은 중앙의료 기구 부속 시설이었던 종약전은 15세기 중반에 실재했던 것으로 확인되고 조선 건국과 함께 설립되어 조선 후기에 쇠퇴한 것으로 추정된다. 종약전은 약현, 율도, 여우도, 사아리 등 한양 도성 밖 여러 곳에 있었고, 그 규모는 18세기 초 당시 약 16만 제곱미터였다. 형개, 지황, 감초 등을 포함한 수십 종이 종약전에서 재배되었고, 내의원에서 파견된 의관과 관노비 수십 명에 의해 종약전이 운영되었다. 종약전은 새로운 약초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라는 사회적 배경 측면에서 르네상스시대 의과대학의 약초원과 공통점을, 약초의 종류 위치 기능 등의 측면에서 중세 유럽의 성곽과 수도원 내 약초원과 유사점을 지닌다. 본 연구는 약포와 종약전의 구체적 공간 형태를 밝히지 못한 점에서 한계를 가지나, 우리나라에서 약초원이라는 정원 유형이 여말선초 향약을 중심으로 한 의학의 발달과 함께 나타났으며 공동체의 치료제 재배를 위한 실용정원으로 기능했음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medical texts in Joseon Dynasty have changed in time and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Medical texts that reflect the medical standards of the time were enable us to look into how medical bureaucrats were trained and education policies related to the training. Chinese medicine influenced Joseon Dynasty's medicine in different ways at different times. Before the Imjin War, Joseon dynasty's medicine was largely under the influence of the Song dynasty's medicine. After the war, the four noted physicians of Jin-Yuan era had increasingly more significant influence, along with the introduction of Ming dynasty's medicine. The facts found through this study include : 1) the basic courses were composed of Chandomac (纂圖脈), Dongingyeong (銅人經), and Boncho (本草); 2) Josenization of medical division system was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during the reign of King Sejo (世祖), and updated throughout the time of the King Seongjong (成宗) and King Sun Jo (宣祖); 3) Hyangyak (鄕藥) education with medical texts was limited to some periods like King Seongjong (成宗) and King Sejo (世祖); 4) the high proportion of Bangseo (方書) in the early era gradually decreased, and more of specialized and comprehensive medical books came to find their way into the standard curriculum.
This study was examined to reveal the medical Science of Balhae which was not well displayed until now. For this, the category of the medical science of Balhae(渤海) was decided in diachronic and synchronic perspective and the concrete contents of the medical science of Balhae(渤海) was presumed. Balhae(渤海) succeeded to the medical science of Koguryo(高句麗) and its orthodoxy. Through the interchange between Balhae(渤海) and the country as Dang(唐) and Shilla(新羅), Balhae(渤海) accepted new medical knowledge. Balhae(渤海) had a customs to eat a cake made of rice flour and artemisia paste on the Tano Festival(端午) to overcome its constitutional character. And medicines as Gon-po(昆布), Doo-shi were treated valuable. and they used Ondol(溫突). Balhae(渤海) advanced suigeneris abscess medicine(治腫醫學), and they valued much of Hyangyak(鄕藥). And they took the serious view on the scripture in the education and on the simplic in the clinic. It shows Balhae(渤海) had the unique medical tradition of our nation. The medical institution and medical educational system of Balhae(渤海) was fundamental to that of Koguryo(高句麗), and it was established in the reference of the system of Dang(唐) and Shilla(新羅). It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medical system and medical education of Corea(高麗) later on. And the medical doctor of the Balhae(渤海) who was dispatched to Japan imparted the advanced medicine of Balhae(渤海) and it was fundamental to the Japanese medical development. Balhae(渤海) produced superior acupuncture on the basis of superior materials which are represented as metalwork technology and Corea-copper(高麗銅) which are handed down from the Old-Chosun(古朝鮮) and Koguryo(高句麗). And we can suppose the level of Balhae(渤海) through the fact that the acupunctual technique of Koguryo(高句麗) was spread out to the nearby country. By the tradition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the theory of Bi-bo(裨補) that cure a disease on the theory of acupuncture and moxibustion appeared in the north and south branch period(南北國時代). And we can prusure the level of acupuncture of Balhae(渤海) through this fact. Balhae(渤海) educated herbal medicine with priority given to Shin-nong-bon-cho-kyong(神農本草經) stand on the serious view on the scripture. They produced a various herbs on the basis of broad territory and suigeneris herbal medicine. It is famous herb of Balhae(渤海), that To-sa-ja, Gon-po(昆布), Doo-shi, Ginseng(人蔘), Woo-hwang(牛黃), Song-ja(松子), Hwang-myung-kyo (黃明膠), Baek-bu-ja(白附子), Sa-hyang(麝香), Honey(蜜).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공동체 관련 요소 9개 곧 향약, 두레, 품앗이, 동제, 관례, 혼례, 상례, 제례, 새마을운동 등을 역사적으로 고찰하고 웰에이징, 웰다잉의 관련성을 밝혀 더 나은 한국 사회를 조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공동체 항목 9개에 관한 유의미한 접근을 시도한 2016년~2021년에 발행된 논문 45편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5건의 사례 중에서 조선시대와 연결되는 경우가 22건, 현대사회와 관련되는 경우가 15건이었다. 또한 삶과 죽음의 대비적 기준으로 분류하였을 때 9개 항목 중 6개 항목은 삶과 결속되었고 3개 항목은 죽음과 삶을 포괄하였다. 그리고 웰에이징, 웰다잉과의 관련성을 기준으로 A유형~D유형으로 구체화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융복합적 시각을 차용하여 우리 사회가 호혜와 연대의 원리로 사회통합을 이루고 모두의 이익을 나눌 수 있는 진정한 공동체가 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