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re sensory evaluation

검색결과 1,602건 처리시간 0.029초

오디즙을 첨가한 녹말오디다식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Quality Characteristics of Starch Oddi Dasik Added with Mulberry Fruit Juice)

  • 이정희;우경자;최원석;김애정;김미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9-636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starch Oddi Dasik(MSOD) manufactured with various addition levels (0, 5, 10, 18 and 28%) of mulberry fruit (Oddi) juice (MFJ), with various levels(55%, 50%, 45%, 37% and 27%) of sucrose syrup, and with the ratio of rice powder: mungbean starch (1:4)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Korean Dasik (a kinds of cookie) methodology.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Oddi and MSOD were examined, and sensory evaluation and physical tests of MSOD added MFJ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ddi,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fat, crude protein, crude ash, and vitamin C, and the levels of acidity, pH and sugar were 88.45%, 0.245%, 2.23%, 0.88%, 53.20 mg%, 8.00%, 4.41 and 11.0 Brix%, respectively. In MSOD (Oddi 10%),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fat, crude protein, and crude ash, were 22.8%, 0.117%, 9.2% and 0.8%, respectively, and were all increased with increasing MFJ amount. In MSOD (Oddi 10%), the contents of Ca, Mg, K and Fe were 63.2 mg%, 70.9 mg%, 376.0 mg% and 7.7 mg%, respectively. and were increased with increasing MFJ amount.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additional amount of MFJ, sensory evaluation and physical tests were conducted. From the total characteristics of sensory evaluation, the MSOD with 10% MFJ was judged as the best. Color L and b values of MSOD significantly decreased and a value increased with increasing MFJ percentage. Hardness, gumminess, adhesiveness and chewiness among the texture characteristics of MSOD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MFJ amount.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ringiness and cohesiveness of the MSOD. In conclusion, the optimal added amount of MFJ for the manufacture of the MSOD was proposed to be 10% of the total weight.

강황 분말 첨가 증편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Jeung-pyun Added with Turmeric powder)

  • 신승미;정경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427-434
    • /
    • 2018
  • 본 연구는 쌀가루 중량의 0.5%, 1%, 1.5%. 2% 비율로 강황 분말을 첨가한 증편의 품질특성에 관한 것으로 수분, pH, 당도, 색도, 기계적 물성특성, 항산화능, 관능적 특성에 관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로 증편의 수분함량은 51.26~51.99%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p<0.001). 색도 측정 결과 L값은 대조군에서 73.00으로 높았으며, 강황 분말이 첨가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황색도(b값)는 대조군이 4.24로 가장 낮았고 강황 분말을 첨가할수록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물성 측정 결과 경도 및 부착성, 탄력성, 응집성, 씹힘성, 검성은 시료 간에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경도의 경우는 대조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강황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증편의 DPPH 소거능에서 대조군에 비해 강황 첨가군이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p<0.001). 관능평가 결과 강황 분말 1% 첨가군이 색, 맛, 향, 조직감,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p<0.001). 따라서 강황 분말 첨가 증편 제조시 강황 분말 1% 첨가가 바람직하다고 판단되었고, 강황 첨가 증편의 개발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는 더 나아가 증편 제품개발 및 산업화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입도별 홍화씨 분말 첨가가 양갱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Various Mesh Sifted Powders from Safflower Seed on Quality Characteristic of Yangeng)

  • 김준한;박준홍;박소득;김종국;강우원;문광덕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09-314
    • /
    • 2002
  • 홍화씨의 식품재료로서의 이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서 양갱의 주원료인 건조 팥소 분말에 대한 볶은 홍화씨 분말 20, 35, 45 및 60mesh별로 첨가한 제품과 홍화씨 45mesh분말의 첨가량을 0, 5, 10, 15 및 20%로 하여 제조한 제품 및 배합수로 녹차추출물을 이용한 제품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20mesh 체분리 분말 첨가 제품에서 가장 낮은 27.6% 이었고, 동일한 45mesh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양갱제품의 수분함량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활성도는 60mesh 홍화씨 분말 첨가 제품에서 0.93로 가장 높았고, 45mesh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수분활성도는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색도는 분말의 mesh 수가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이 다소 낮아지는 경향이었고 반대로 b값은 다소 증가하였다. 동일한 입자크기를 가진 분말의 첨가량 증가에 따른 L, a 및 b값은 전반적인 증가현상을 보였다. 또한, 조직감 특성 중 견고성과 부숴짐성은 홍화씨 분말의 입도가 미세한 첨가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였고 동일한 입도를 가진 홍화씨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부숴짐성은 증가하였고, 접착성과 탄력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에서도 전반적기호도, 조직감 및 부숴짐성이 홍화씨 분말의 입도가 미세한 첨가구가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고, 증류수를 배합수로 제조한 제품과 증류수와 녹차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제조한 제품에서 거의 같은 수준의 높은 관능점수를 얻었다.

양식 넙치의 육질에 관한 연구 (Muscle Quality of Cultured Oliv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48-452
    • /
    • 1997
  • 양식넙치의 식감을 검토하고자 천연어와 비교하여 일반성분, 관능검사, 물성측정, 정미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양식넙치는 수분, 지질, 단백질 함량에 천연어와 차이가 없었다. 2. 기호검사에서 양식어는 생육, 가열육 모두 Texture, 맛, 종합적 선호도에서 천연어보다 유의적으로 선호되지 않았고, 식별검사에는 생육은 경도, 탄력성, 맛의 강도가 낮았고, 가열육은 천연어보다 매우 단단하고 건조하며 맛의 강도가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투명감, 광택, 비린내는 두어종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3. 물성측정의 결과도 생육은 천연어보다 경도, 탄력성이 낮게, 가열육은 경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 관능검사의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4. 어육의 정미성분으로서 맛과 관련있는 유리아미노산은 Alanine이 양식어 7.0mg%, 천연어 7.4mg%로 가장 많았고, Glutamic acid, Proline, Methionine, Glycine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 아미노산들의 함유량 합계는 차이가 없었다. 핵산관련물질은 ATP가 양식어 3.4 $\mu$mole/g, 천연어 6.2 $\mu$mole/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IMP, ADP, AMP순으로 함유되어 있었으며, 이들의 합계량은 양식어가 6.7 $\mu$mlole/g, 천연어가 9.4 $\mu$mole/g으로 천연어에 비해 낮았다.

  • PDF

까나리 액젓 첨가 깍두기의 이화학적ㆍ관능적 특성 (Physicochem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Kakdugi Prepared with Fermented Northern Sand Lance Sauce during Fermentation)

  • 김미리;오윤미;오수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602-608
    • /
    • 2000
  • 깍두기에 까나리액젓, 멸치액젓, 새우젓을 각각 첨가하여 1$0^{\circ}C$에서 숙성시키면서 이화학적(pH, 총산도, 당도, 염도, 환원당, 색도, Texture, 유산균 수).관능적 특성의 변화를 젓갈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깍두기의 염도는 1.9-2.3%로 모든 처리군이 유사하였으며, 숙성 전기간동안 젓갈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pH와 환원당 함량이 낮았고, 총 산도는 높았다. 특히, 새우젓 첨가군이 숙성 전기간동안 pH 및 환원당 함량이 가장 낮았으며 총산도는 가장 높았다. 까나리액젓 첨가군은 멸치액젓 첨가군과 깍두기 숙성 양상이 매우 유사하였다. 유산균 수는 숙성 8일에 최고치에 달하였다가 그 이후 감소하였으며 새우젓 첨가군이 가장 많았고 대조군이 가장적었으며, 까나리액젓 첨가군은 멸치액젓 첨가군과 유사하였다 색도는 Hunter color의 a 및 b값이 까나리액젓 첨가군과 멸치액젓 첨가군이 유사하였다. Texture analyse체 의한 깍두기 무의 경도는 숙성 기간의 경과에 따라 약간씩 감소하였으나 큰 폭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관능검사 결과, 숙성 적기인 숙성 11일에 '전체적인 수용도' 점수는 새우젓 첨가군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멸치액젓 첨가군 및 까나리액젓 첨가군이었으며 대조군의 점수가 가장 낮았다.

  • PDF

벼품종의 재배지역에 따른 미질특성변이 II. 미질관련형질 상호간의 관계 (Variation of Grain Quality of Rice Varieties Grown at Different Locations II.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Related to Grain Quality)

  • 김광호;주현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37-145
    • /
    • 1990
  •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 6품종을 대상으로 품종별로 8-20 지역에서 1987년과 1988년에 생산된 쌀을 각각 수집하여 그들의 외관, 아밀로스함량 및 알칼리붕괴도, 아밀로그라프에 의한 쌀가루의 호화 및 점성특성과 레오메타를 이용한 밥알의 조직감(Texture)을 조사하고 관능검사법에 의한 식미평가를 실시하여 이들 상호간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1. 동일품종내에서는 재배지역에 따른 심복백미비율의 변이가 백미천립중, 쌀알의 아밀로스 함량과 알칼리붕괴도, 쌀가루의 아밀로그람특성, 밥알의 레오그람특성 및 식미와 각각 독립적으로 나타났다. 2. 재배지역에 따른 변이정도가 컸던 형질들간의 단순상관관계를 보면 아밀로그람특성 중 최고점도와 break down간에 정의 상관, 최고점도와 set back간, 그리고 set back과 break down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고 알칼리붕괴도와 break down간, 알칼리붕괴도와 최고점도간에는 정의 상관, 그리고 알칼리붕괴도와 set back간에는 부의 상관이 인정되었다. 3. 아밀로그람특성 중 최고점도와 break down 값이 낮았고 동시에 set back 값은 높았던 3지역 쌀은 최고점도와 break down 값이 높고 set back 값이 낮았던 3지역 쌀에 비하여 알칼리붕괴도는 높고, 레오그람특성 중 식미지수(TPI)와 점성/경도비율(Vi/H)은 낮았으며 관능검사법에 의한 종합식미에서도 낮은 점수를 받았다. 4. 레오메타로 조사한 점성/경도비율과 관능검사로 평가한 종합식미를 품종별 지역평균치보다 상급, 하급 그리고 평균치정도의 3등급으로만 나누어 두 형질간의 간계를 검토한 결과 점성/경도비율이 상급인 쌀은 종합식미가 평균치정도 또는 상급으로 판정받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레오메타특성 중 식미지수와 종합식미와의 관계도 점성/경도비율에서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 PDF

우 혈장 첨가대체가 증자 어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of Bovine Plasma on the Quality Properties of Steamed Fish Paste)

  • 양철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18-523
    • /
    • 2008
  •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quality properties of steamed fish paste by addition level, along with a fish meat replacement(dried bovine plasma). The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ash contents evidenced parti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ontrols, DBP1, DBP2 and DBP3 groups(p<0.05). The pH values of the steamed sample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non-steamed samples, and when the content of the dried bovine plasma as meat replacement agent was increased, the pH was increased. The water holding capacity of the steamed fish past samples, along with the replacement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in the samples without the meat replacer(p<0.05). The range of cooking loss was $5.19{\sim}5.38%$. Structural weakening of the boiled sampl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bserved in the fried sample. Hardness and chewiness were increased slightly by the addition of bovine plasma, but gel strength evidenced a pattern of decreased in DBP1, DBP2 and DBP3 groups. The result of our sensory evaluation on taste, texture, color and overall acceptance evidenced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controls, DBP1, DBP2 and DBP3 groups, and the sensory score of color was the highest.

장수지역 배추김치와 시판 배추김치의 품질 평가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at Jangsu Area as Compared with Commercial Kimchi)

  • 이영숙;차진아;노정옥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13-42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kimchi from Jangsu area (JSK) and its comparison with commercial kimchi (CMK). We conducted a sensory evaluation for the pH, titratable acidity, salinity, hunter's color values and mechan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The pH of JSK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CMK throughout the fermentation (p<0.001). At 15 days, JSK reached the stage of optimal maturity for pH 4.23~4.55 and CMK showed pH 3.96~4.00 as conditions after the optimal maturity (p<0.001). From the results of acidity analyses, CMK also showed higher acidity values than JSK (p<0.001), indicating that the rate of fermentation progress was faster in CMK. Salinity of JSK was a litter higher than CMK1 and CMK2 (p<0.001) and JSK indicated significantly higher L, a, b values during fermentation (p<0.001). Moreover, the textural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JSK2 and JSK3 retaining hardness of the tissues. In the sensory assessment, the color, flavor, crispness, taste, and overall preferences were higher in JSK3 at 15 days and 30 days than CMK. Therefore, it seems necessary for recipe developments of kimchi with local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ndustrialize kimchi by using alpine crops at Jangsu area.

각종응고제에 따른 두부의 Texture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Textur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Curd Prepared with various Coagulants)

  • 문수재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19
    • /
    • 1979
  • Five kinds of soybean curd were propared with five coagulants, such as, calcium sulfate, calcium chloride, magnesium chloride, glucono delta lactone and acetic acid. The products were evaluated by the sensory and objective examination. Optimal concentrations of each coagulant were determined. Soybean curd preparation was also standardized.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he five soybean curds which were made by the standard recipe were measured by a Texturometer and a Penetrometer.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From the proliminary study, the optimal concentration of coagulants for the soybean curd preparation, as determined by the sensory evaluation was 1.84% of calcium sulfute, 1.05% of calcium chloride. 1.84% of calcium sulfute, 1.05% of calcium chloride. 1.84% of magnesium chloride, 1.97% of glucono delta lactone and 0.48% 11of acetic acid. 2. As the result of the sensory evaluation, the most acceptable soybean curd was determined to be one with acetic acid. Next, in order of accetability , wer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glucono delta lactone, calcium sulfate soybean curds and commerical soybean curd. 3. Through the objective examination of the five soybean curds by a Texturometer and a Penetrometer, it was found out that, calcium sulfate soybean curd was the hardest and the hardness decreased in order of glucono delta lactone, magnesium chloride, calcium chloride, and acetic acid soybean curd. Acetic acid soybean curd, the most acceptable , was 0.47 TU ; and calcium sulfate soybean curd, the least acceptable, was 1.73 TU.

  • PDF

당귀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Powder)

  • 최석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309-321
    • /
    • 2009
  • 연구는 당귀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특성과 관능특성을 평가한 것으로써, 당귀분말 첨가 쿠키 반죽의 pH는 6.13~6.26의 범위였으며, 반죽의 밀도는 0.99~1.15의 범위였다. 당귀분말 첨가의 증가에 따라 쿠키의 퍼짐성은 작아졌으며, 명도와 황색도의 감소, 적색도의 증가로 인해 전반적으로 쿠키가 어두워지고 진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조직감의 특성은 강도와 경도가 당귀분말의 첨가비율에 따라 높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어 쿠키 제조에 있어 당귀분말의 첨가는 쿠키를 단단하게 하는 역할을 하였다. 관능 선호도에서는 색, 냄새, 조직감, 맛, 전반적인 선호도의 항목에서 당귀분말 무첨가 쿠키보다 일정 범위의 당귀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선호도가 높아졌으며, 그 중에서도 쿠키의 전체 재료 배합량 대비 1.5%의 당귀분말을 첨가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평가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