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xture quality

검색결과 2,774건 처리시간 0.027초

자색 고구마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Prepared with Amount of Purple Sweet-Potato Powder)

  • 안기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27-136
    • /
    • 2010
  • 자색 고구마 분말 첨가 설기떡의 관능적 특성과 기계적 특성, 수분 함량과 색도를 측정하였다. 자색 고구마 분말 첨가량은 0%인 대조군을 PP0로 하였으며, 1% 첨가군을 PP1, 2% 첨가군을 PP2, 3% 첨가군을 PP3, 4% 첨가군을 PP4로 표기하였다. Textureanalyzer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설기떡에 자색 고구마 분말 첨가량을 증가하면 할수록 경도, 부착성과 탄력성, 응집성, 점착성, 씹힘성이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그러나 자색 고구마 분말을 첨가한 처리구에서 경도는 다른 처리구와 다르게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었다. 수분 함량은 자색 고구마 분말 첨가 설기떡의 경우 37~39%를 유지하였으며, 색도는 자색 고구마 분말의 첨가 수준이 증가될수록 L값은 감소되며 a, b값은 증가되는 경향이었다. 관능평가 결과는 색과 맛에서 PP3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PP3의 첨가구가 가장 바람직한 첨가 비율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맛과 기능적인 면에 대한 것도 기대를 걸어보며, 앞으로 후속 연구가 더 많이 나오기를 기대한다.

  • PDF

채소 분말이 첨가된 약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gwa Added with Vegetable Powder)

  • 김재열;신다은;장경희;강우원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18-225
    • /
    • 2011
  • 약과의 주재료인 밀가루에 비빔밥에 첨가되고, 비타민, 무기질, 섬유질을 풍부히 함유하는 채소 분말의 첨가함량을 0, 3, 6, 9 그리고 12%로 하여 약과를 제조한 후 흡유량, 일반성분, 산가, TBA, 조직감, 관능평가를 실험하여 약과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산가는 대조구에서 0.33으로 9%와 12% 첨가구에서 1.46으로 증가 폭이 가장 컸다. TBA변화는 3% 첨가구에서 0.140 가장 낮게 증가 하였으며, 12% 첨가구에서 0.328 가장 증가 폭이 컸다. 조직감은 채소 분말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응집성, 검성, 씹힘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탄성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약과의 관능평가 결과는 외관은 대조구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맛에서는 9%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그러나 향, 조직감, 종합도에서는 3% 첨가구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 PDF

모시잎 첨가량에 따른 절편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Quality in Jeolpyun with Different Amounts of Ramie)

  • 장명숙;윤숙자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5호통권95호
    • /
    • pp.636-641
    • /
    • 2006
  • 모시잎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절편의 색도 중 L 값은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한 반면 적색도는 높은 음의 값을 나타내어 저장별로는 2일부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한편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황색도가 낮아져 절편의 색이 녹색을 강하게 나타냄을 알 수 있었으며 40${\sim}$60%를 첨가한 모시잎 절편은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견고성, 점착성과 씸힘성은 저장기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응집성은 절편의 저장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탄력성은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부착성은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모시잎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총 미생물수의 증가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나 모시잎이 떡의 저장기간을 연장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능적 품질의 경우 색과 향은 60%첨가 시료와 80%첨가 시료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고 다른 첨가군의 경우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색은 저장에 의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드러운 정도는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모시잎의 첨가량이 각기 다른 절편을 제조할 경우 경도와 탄력성은 모시잎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총 미생물수의 증가폭도 낮아 모시잎이 첨가된 절편은 무첨가군에 비해 저장성이 연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가루녹차 첨가가 식빵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Addition on the Quality of White Bread)

  • 임정교;김영희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95-400
    • /
    • 1999
  • 가루녹차의 식빵 적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가루녹차를 0, 2.5, 5.0, 그리고 10%를 첨가한 식빵을 제조하여 품질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아밀로그램의 특성을 보면 가루녹차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최고점도와 최종점도는 감소하였으나 호화개시온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식빵 외부의 L값, a값 및 b값은 가루녹차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내부의 색도도 L값과 a값은 가루녹차 첨가량이 많을수록 감소되었고 b값 증가하였다. 식빵의 부피는 가루녹차 5.0%이상 첨가시에 감소하였다. 식빵의 물리적 특성을 보면 견고성 (hardnesss)은 대조군과 2.5% 첨가군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10% 첨가군에서는 유의적으로 높았고, 탄력성(springiness)과 응집성(cohesiveness)은 가루녹차 첨가에 의한 영향이 거의 없었고 전체적으로는 가루녹차 10% 첨가 군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관능검사 결과, 외관, 색, 풍미, 맛, 조직감,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가루녹차 2.5% 첨가한 식빵이 좋다고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가루녹차 식빵은 기호도와 전반적인 특성을 볼 때 가루녹차 2.5% 첨가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부피 등의 감소에 대하여는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과제라고 생각한다.

  • PDF

장떡의 저장성에 관한 연구 -제2보: 저장기간에 따른 장떡의 조직특성과 기호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Storage Time of Jangduck - The Second Report, A Study on the Textur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Jangduck during Storage -)

  • 이숙미;염초애;조정순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6-22
    • /
    • 1997
  •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studying the quality and sensoryptability of Jangduck during storage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glutinous rice flour. Composition of experiment Jangduck made with different components and contents. A standard samples of Jangduck were soybean paste : glutinous rice flour : ground beef : green onion : garlic : toasted white sesame=100 : 10 or 20 or 30 : 30 : 10 : 5 : 2 (%) and measured acceptability by 15 days. Jangduck estimated for texture characteristics through acceptability. The acceptability of Jangduck was by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methods. Objective measures were made utilizing the Rheometer and Hunter colorimeter. Sensory evaluated was done by a panel of 10 judges. The data analysis revealed following as for estimate of texture changes during storage by Rheometer, the hardness tended to increase as the addition level of glutinous rice flour and beef till 30 days. Hardness decreased slightly after 30 days of storage. Elasticity and cohesiveness tended to increase as the addition level of glutinous rice flour till 15 days and decreased slightly from 16 days to 60 days later By color value of Jangduck, Lightness tended to increase as the addition level of beef during storage periods. Redness tended to increased as addition level of beef before storage and decreased 15 days later. Yellowness increasde than others from days later to 15 days later as the addition level of glutinous rice flour. The result of sensory evaluation revealed that Cl [soybean paste : glutinous rice flour : ground beef : green onion : garlic : toasted white sesame=100 : 30 : 30 : 10 : 5 : 2(%)] produced the best quality in most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storage.

  • PDF

Effects of marbling on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beye steaks from four different cattle breeds

  • Shahrai, Nurul Nuraliya;Babji, Abdul Salam;Maskat, Mohamad Yusof;Razali, Ahmad Faisal;Yusop, Salma Mohamad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5호
    • /
    • pp.904-913
    • /
    • 2021
  • Objective: Marbling or intramuscular fat (IMF) has been widely reported to directly impact the sensory acceptance of mea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beye, Longissimus dorsi steaks obtained from four different cattle breeds namely Wagyu, Angus, Brahman, and Malaysian local beef, the Kedah-Kelantan (KK). Methods: The degree of marbling was determined by using an established combined camera-image analysis technique while instrumental texture determination was carried out by using Warner-Bratzler shear force analysis. Sensory evaluation of the beef steaks was performed following a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incorporating 10 trained consumer panelists. Results: Wagyu was found to possess the highest (p<0.05) percentage of IMF at 33.90% and the lowest shear force (raw = 5.61 N/㎟; cooked = 14.72 N/㎟) followed by Angus (20.87%), Brahman (12.17%), and KK (p<0.05, 6.86%). The difference in sensory properties of the four steaks was evident, with Wagyu appearing to be highly correlated with most sensory attributes measured namely sustained buttery, tooth-packing, chewiness, juiciness, tenderness, mouthfeel, oili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The Malaysian local beef, KK was found to be less acceptable (p<0.05), although most of its sensory attributes were found similar (p>0.05) in appearance, aroma, texture, juiciness, and flavour to the cooked steak from Angus and Brahman. Conclusion: This present study demonstrated the role of IMF in determining the quality and sensory acceptance of beef from different cattle breeds. These data have provided new information and further understanding on the physical and sensory quality of Malaysian local beef.

도포 숙성 치즈와 곰팡이 숙성 치즈의 관능적 특성 비교 분석에 관한 총설 (The Investigation and Comparison of Sensory Attributes of Smear-Ripened and Mold-Ripened Cheeses; a Review)

  • 이미령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675-681
    • /
    • 2019
  • 이 총설의 목적은 도포 숙성 치즈와 곰팡이 숙성 치즈의 제조 공정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들의 관능적 특성 차이에 관하여 비교 분석 하는 것이다. 도포 숙성 치즈와 곰팡이 숙성 치즈의 관능적 특성은 치즈의 품질 평가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도포 숙성 치즈는 부드럽고 잘 부스러지는 질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블루 치즈와 비교하여 짠맛과 신맛이 강한 편이다. 반면에 블루 치즈 (곰팡이 숙성 치즈)는 산양유로 만들었을 때 더 부드럽고 크림과 같은 질감이 나며 냄새가 좀 더 강한 편이다. 블루 치즈는 좀더 산도와 짠맛, 쓴맛이 도포 숙성 치즈에 배하여 강한 편이며 좀 더 신선한 맛이 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도포 숙성 치즈와 곰팡이 숙성 치즈의 관능적 특성, 예를 들면 냄새, 맛, 질감 등은 치즈의 품질 평가에 아주 중요한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초미세 다시마 분말을 활용한 즉석 어묵 면 제조기술연구 (Study on Instant Fish Cake Noodle Manufacturing Techniques Using Ultra-fine Powdered Kelp)

  • 박유진;김세종;한명륜;장문정;김명환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3호
    • /
    • pp.217-222
    • /
    • 2019
  • 다시마를 첨가한 건어묵 면의 수분함량의 평균값은 3.71±0.12%이었으며 수분활성도는 0.185-0.332로 다시마 분말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활성도가 낮아졌다. 재수화도는 다시마 분말함유량이 3%와 5%일 때, 각각 1.49, 1.77 g water/g solid로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색도 측정결과 녹색계열의 다시마 분말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값이 낮아지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TPA를 이용한 조직감분석에서는 다시마 분말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탄력성은 증가하였고 경도와 씹힘성이 낮아졌다. 관능검사 결과로 5% 다시마 분말을 첨가한 어묵 면이 조직감, 맛, 전체적인 기호도 평가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면발의 단단함에 대한 강도에서는 다시마 분말의 함량이 많아질수록 낮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3D 볼류메트릭 모델의 동적 복원 알고리즘 (Dynamic Reconstruction Algorithm of 3D Volumetric Models)

  • 박병서;김동욱;서영호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2호
    • /
    • pp.207-215
    • /
    • 2022
  • 최신 볼류메트릭 기술이 제공하는 높은 기하학적 정확도와 사실성은 실제 객체와 캡춰된 3D 모델 간 높은 일치도를 보장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획득된 3D 모델은 프레임 간 완전히 독립적인 3D모델로 시퀀스를 구성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매 프레임 모델 표면 구조(Geometry)의 일관성이 보장 되지 않으며, 정점(Vertex)의 밀도가 매우 높고 정점 간 연결 노드(Edge)가 매우 복잡해지는 특징을 확인 할 수 있다. 이 기술을 통해 생성된 3D 모델은 영화나 비디오 게임 제작 파이프라인에서 제작된 모델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며, 실시간 렌더링, 애니메이션 및 시뮬레이션, 압축과 같은 응용 분야에서 직접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우리의 방법은 프레임 간 3D 모델 표면 구조의 높은 일관성을 확보하는 리메싱(Remeshing)과 비강체 표면(Non-rigid Shape)의 대응(Correspondences) 및 매칭(Matching)을 통한 점진적 변형(Deformation) 과정 및 텍스쳐 전달(Texture Transfer) 과정을 연결함으로서 볼류메트릭 3D 모델 시퀀스 품질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후 처리 과정의 자동화를 제공한다.

토끼고기의 영양성분 및 품질특성 평가 (Evaluation of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Quality Traits of Rabbit Meat)

  • 이정아;정숙한;설국환;김현욱;조수현;강선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1-177
    • /
    • 2022
  • This study evalu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and quality traits of rabbit meat as compared to chicken meat. Samples of loin (M. longissimus dorsi) and breast meats were collected from rabbit and chicken carcasses, respectively. The meats were then analyzed for the proximate composition, collagen and energy contents, fatty acid composition, myoglobin and heme iron contents, pH value, water-holding capacity (WHC), cooking loss, meat color,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F) value, and texture profile. Compared to chicken breast meat, lower (p<0.05) protein content and higher (p<0.05) ash and collagen contents were obtained in rabbit loin meat. Rabbit meat remarkably had higher (p<0.05) tot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and linolenic acid contents and lower (p<0.05) n-6/n-3 PUFA ratio as compared to chicken meat. The pH value and WHC were lower (p<0.05) in rabbit meat than in chicken meat (p<0.05). Rabbit meat exhibited lower (p<0.05) L* value and higher (p<0.05) a* and b* values compared to chicken meat (p<0.05). The WBSF value, hardness, and gumminess were higher (p<0.05) in rabbit meat than in chicken meat (p<0.05). These findings suggest that rabbit meat has higher essential n-3 PUFA, darker color, and firmer texture as compared to chicken me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