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trodotoxi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35초

The Mechanism of Contraction Response to EFS in Cat Esophageal Circular Muscle

  • Park, Joon-Hong;Lee, Tai-Sang;Park, Sun-Young;Cho, Young-Rae;Park, Hee-Jung;Sohn, Uy-Dong
    • 대한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약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the Convention of the Pharmaceutical Society of Korea Vol.2-2
    • /
    • pp.75.1-75.1
    • /
    • 2003
  • Low-frequency electrical field stimulation of transmural nerves of cat esophageal circular smooth muscle produces an “off contraction”, which occurs after electirical field stimulation (EFS) of transmural nerves is stopped. We previously examined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mediating ACh-induced contraction of circular smooth muscle of esophagus. The extracellular Ca$\^$2+/ is needed for the contraction, results in the activation PKC. EFS-induced contraction was abolished by the pretreatments of tetrodotoxin(1 ${\mu}$M) and atropine (1 ${\mu}$M). (omitted)

  • PDF

적출한 고양이 위(胃) 평활근 절편의 전기적 및 기계적 활동에 미치는 Bombesin의 영향과 그 작용기전 (Effects of Bombesin on Electrical and Mechanical Activities of Gastric Smooth Muscle Strips of Cats)

  • 박형진;권혁일;서상원;김정미;이태형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4권1호
    • /
    • pp.39-49
    • /
    • 1990
  • bombesin의 생물학적 활성중 하나는 위장관의 평활근을 수축시키는 작용이다. 그러므로, 본 실험에서는 bombesin이 위장관의 운동성과 관계가 깊은 평활근의 전기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과 신경기전을 밝히고자 하였다. 고양이 60마리로부터 urethane마취하에 위를 적출한 다음 대만 쪽에서 체부와 유문부가 포함된 평활근 절편을 얻었으며 또한 체부에서 윤상근 절편을 얻었다. 평활근 절편을 Krebs-Ringer 용액으로 채워진 기록용기에 넣고 Ag-AgCl전극을 사용하여 체부와 유문부에서 서파를 기록하는 한편 윤상근 절편의 자발적 수축을 기록하였다. 기록용기 속의 용액에는 5% $Co_{2}$를 내포한 $O_{2}$를 계속 공급하였으며, 용액의 온도는 $36^{\circ}C$가 유지되도록 하였다. 기록용기 속에서 1시간 동안 안정시킨 다음 서파빈도와 수축빈도가 일정하여지면 bombesin과 그 유도체, substance P와 그 유도체 그리고 몇가지 종류의 신경차단제를 각각 투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bombesin은 $10^{-9}\;M$에서부터 $3\;{\times}\;10^{-8}\;M$ 사이의 농도에서 서파빈도와 수축빈도를 농도-의존적으로 증가시켰다. 2) bombesin 유도체인 $D-leu^{13}-{\psi}\;(CH_{2}NH)-D-leu^{14}-bombesin$은 서파빈도를 증가시키는 bombesin의 작용을 억제하였다. 3) 서파빈도를 증가시키는 bombesin의 작용에 대하여 tetrodotoxin과 hexamethonium은 억제적으로 작용하였으나 atropine, phentolamine 그리고 propranolol은 이렇다할 영향을 비치지 않았다. 4) 서파빈도를 증가시키는 bombesin의 작용에 대하여 substance P 유도체인 $D-pro^{2}-D-trp^{7,9}-substance\;P$는 억제적으로 작용하였다. 5) sunstance P 자체는 서파빈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1) bombesin은 적출한 고양이 위 평활근의 서파빈도와 체부 윤상근의 수축빈도를 증가시키며, (2) bombesin은 신경-근 연접에서 acetylcholine이나 noradrenalin을 신경전달물질로 사용하지 않는 내원성 신경을 거쳐 서파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3) 그러나, bombesin이 서파의 발생빈도를 증가시키는 과정에 substance P를 신경전달물질로 사용하는 신경이 개재하는 것 같지는 않았다.

  • PDF

Mouse 갑상선에서 α1-adrenoceptor 자극에 의한 thyroxine 유리 억제기전 (Inhibitory mechanism of α1-adrenergic stimulation on the release of thyroxine in mouse thyroids)

  • 강형섭;김송규;강창원;김진상;이호일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712-719
    • /
    • 1998
  • Thyroid function is mainly regulated through cAMP and phophatidylinositol, and it is well known that TSH-stimulated thyroxine ($T_4$) release is inhibited by catecholamine from mouse thyroids via the ${\alpha}_1$-adrenoceptor stimulation. Previous study has established that the inhibition of $T_4$ release by ${\alpha}_1$-adrenoceptor stimulation results in activated protein kinase C (PK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if ion transport systems are involved in the inhibition of $T_4$ release elicited by ${\alpha}_1$-adrenergic agonist in mouse thyroids. TSH-, IBMX- and cAMP analogue-stimulated $T_4$ release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by methoxamine, R59022 (diacylglycerol kinase inhibitor), and MDL (adenylate cyclase inhibitor). TSH-stimulated $T_4$ release could be inhibited by Bay K 8644 and cyclopiazoic acid, but not by verapamil and tetrodotoxin. The addition of nifedipine ($Ca^{2+}$ channel blocker), tetrodotoxin and lidocaine ($Na^+$ channel blockers), but not amiloride (EIPA) and ryanodine, completely blocked the inhibitory effects of methoxamine on $T_4$ release. TSH-stimulated $T_4$ release was also inhibited by benzamil ($Na^+-Ca^{2+}$ exchange inhibitor). TSH-, IBMX- and cAMP-stimulated $T_4$ release were inhibited by methoxamine or R59022, these effects were reversed by nifedipine. but not by verapamil. Furthermore, nifedipine reversed the inhibitory effects of benzamil and R59022 on TSH-stimulated $T_4$ release. These data suggest that the observed ${\alpha}_1$-adrenoceptor-mediated inhibition of $T_4$ release in mouse thyroids is the result of an increase in intracellular $Na^+$ or $Ca^{2+}$ effected via activation of fast $Na^+$ or nifedipine-sensitive $Ca^{2+}$ channels, and that $Na^+-Ca^{2+}$ exchange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yroid hormone by increasing intracellular $Ca^{2+}$.

  • PDF

까치복(Fugu xanthopterus)의 독성 (Tetrodotoxin in a Pufferfish, Fugu xanthopterus (Korean Name, Ggachibog))

  • Hyun-Dae Kim;Yeung-Ho Park;Dong-Soo Kim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02-508
    • /
    • 1994
  • 부산 공동어시장에서 구입된 까치복어, Fugu xanthopterus의 조직부위별 독력을 mouse bioassay법에 의하여 비교 검사하였다. 또한 bio gel P-2 column chromatography으로 복어독을 부분 정제하여, 박층 chromatography, 전기영동, GC-MS 및 HPLC에 의하여 독의 조성을 분석하였다. 즉, 까치복의 개체당 전체 독력은 1,099~167,694 M로서 개체에 따라 뚜렷한 독력 차이가 있었다. 간, 난소 그리고 내장의 평균독력은 각각 $231.0{\pm}51.0,\;175.0{\pm}38.0\;및\;78.8{\pm}16.8MU/g(평균값{\pm}표준오차)$으로 나타난 반면에 근육과 껍질조직의 평균독력은 각각 $3.3{\pm}1.4와\;19.3{\pm}4.3MU/g$으로 개체에 따라 약독 내지 무독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부위별 최고독력의 순서는 간(917MU/g), 난소(459MU/g), 내장(312MU/g), 담즙(101MU/g), 껍질(79MU/g), 정소(72MU/g), 그리고 근육조직 (27MU/g)의 순이었다. 한편, TLC, 전기영동, HPLC로 분석한 결과 복어 개체에 따라 독의 조성이 다름을 알 수 있었고, TTX를 알칼리분해 시켜 생성된 ${C_9}-base$를 TMS화 시켜 GC-MS에 주입시킨 결과 ${C_9}-base$ TMS 유도체의 특성인 406(molecular ion peak), 392(base), 380 및 376 m/z에서 fragment ions에 의해 TTX의 peak는 동일한 mass spectra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의 독성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자료는 최근들어 수입 복어류의 증가, 양식어업의 발달, 식생활의 다양화 등에 따른 수산 식품의 위생적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절실히 필요한 것이라 생각된다.

  • PDF

사람 중성호성 백혈구의 기능에 있어서 Arachidonic Acid의 활성화 기전 (Activation Mechanism of Arachidonic Acid in Human Neutrophil Function)

  • 심재건;이정수;신용규;이광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102
    • /
    • 1992
  • 칼슘을 함유하는 반응액에서 arachidonic acid는 뚜렷하게 superoxide와 $H_2O_2$의 생성을 자극하였고 NADPH oxidase를 활성화하였다. 칼슘이 없는 반응액에서 NADPH oxidase에 대한 arachidonic acid의 자극 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Arachidonic acid에 의하여 자극된 respiratory burst는 EGTA, TMB-8, verapamil, diltiazem, nifedipine, dibucaine, lidocaine, CCCP, 2,4-dinitrophenol, sodium arsenate, chlorpromazine, theophylline, $HgCl_2$, PCMB와 PCMBSA에 의하여 억제되었으나, tetrodotoxin, tetraethyl ammonium chloride와 procaine의 영향은 받지 않았다. EGTA는 거의 완전히 arachidonic acid에 의한 ${\beta}-glucuronidase$의 유리를 억제하였으며, verapamil, CCCP와 theophylline은 약간 억제하였으나, 이에 반하여 dibucaine은 유의한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Arachidonic acid는 중성호성 백혈구로 부터 칼슘을 유리시켰으며, 이는 TMB-8에 의하여 감소되었다. Arachidonic acid에 의한 세포내 유리 칼슘 농도의 상승은 EGTA와 CCCP에 의하여 억제되었고 TMB-8에 의하여 약간 억제되었다. Arachidonic acid와 verapamil 또는 arachidonic acid와 dibucaine의 동시 첨가에 의하여 상승된 세포내 유리 칼슘 농도의 양은 arachidonic acid 단독에 의한 것보다 현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다양한 생화학적 변화가 arachidonic acid에 의하여 활성화된 중성호성 백혈구의 기능 표현에 관여할 것으로 시사된다. Arachidonic acid는 세포내 칼슘 저장고로부터 칼슘유리를 자극하여 세포내 유리 칼슘 농도를 상승시킬 것으로 추정된다. 중성호성 백혈구의 활성화증에 칼슘 유입과 유출은 동시에 이루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흰쥐 정관의 수축성에 미치는 Octreotide의 영향 (Effects of Octreotide on the Contractility of Isolated Rat Vas Deferens)

  • 장선애;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144-156
    • /
    • 1993
  • Octreotide는 somatostatin 동족체로서 8개의 aminoacid로 구성된 합성 polypeptide이다. 이는 외분비선과 내분비선, 특히 위의 분비기능과 췌장분비 기능을 억제하는 작용이 강하며 somatostatin에 비하여 체내 반감기가 길고 장기에 대한 선택성이 높기 때문에 소화성 궤양에 의해 유발되는 출혈, 급성췌장염, 그리고 소화기관의 분비선에 나타나는 종양의 치료에 대한 적용이 시도되고 있다. 저자등은 somatostatin이 말초 교감신경에 존재하며, 신경전달인자 또는 신경조정인자로서 작용할것이라는 보고와 임상적용시 혈압과 심박동수를 감소시킨다는 보고에 흥미를 가지고 그 유도체인 octreotide가 말초 교감신경에 미치는 작용을 관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흰쥐 (Sprague-Dawley)의 전립선 부위 정관 절편을 적출 근편 실험조에 현수하여 등척성 장력을 측정하였다. 흰쥐 적출정관은 전기장 자극(duration : 1 mSec, voltage: 50 V, frequency: 5 Hz or 30 Hz, train: 10 Sec)에 대하여 first phasic component (FPC)와 second tonic component (STC)로 구성된 수축 반응을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수축반응은 tetrodotoxin($10^{-6}M$) 전처치로 소실되었다. Octreotide는 전기장 자극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 반응을 FPC, STC 모두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리고 24 시간 전에 reserpine(1 mg/kg, IP)을 전처치하여 norepinephrine을 고갈시킨 흰쥐에서 적출한 정관 절편과 beta-gamma-methylene ATP를 전처치하여 퓨린성 수용체를 탈감작시킴으로써 ATP의 작용을 배재한 정관절편의 전기장 유발 수축을 공히 억제하였다. 이러한 octreotide의 모든 수축 억제 작용들은 5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30 Hz의 전기장 자극을 가하였을 때 보다 더 강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octreotide는 정관 절편의 기본장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외부에서 첨가한 norepinephrine과 ATP에 의해 유발되는 수축반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octreotide는 흰쥐적출 정관의 교감신경성 신경원으로부터 ATP와 norepinephrine의 유리를 억제함으로써 그 수축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흰쥐 적출 소장의 수축성에 미치는 GABA의 영향 (Effect of GABA on the Contractility of Small Intestine Isolated from Rat)

  • 허준영;권오철;하정희;이광윤;김원준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8권2호
    • /
    • pp.95-105
    • /
    • 1991
  • 흰쥐 적출소장의 수축성에 미치는 GABA의 영향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GABA는 소장을 이완시켰으며 그 이완 작용은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회장의 순이었다. GABA A수용체 효현제인 muscimol 역시 소장을 이완시켰으며, 그 효능의 강도는 십이지장, 공장 그리고 회장의 순이었다. 그러나 GABA B수용체 효현제인 baclofen은 소장의 운동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2. 상경적 GABA A수용체 길항제인 bicuculline과 비 상경적 GABA A수용체 길항제인 picrotoxin은 십이지장에 대한 GABA와 muscimol의 이완 작용을 현저히 억제시켰다. 그리고 bicuculline의 억제 작용이 picrotoxin 보다 강하였다. 3. Sodium channel blocker인 tetrodotoxin은 GABA의 이완 작용을 봉쇄하였다. 4. 신경절 봉쇄적인 hexamethonium은 십이지장에 대한 GABA의 이완작용을 길항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흰쥐 소장의 자발 수축운동에 대한 GABA의 이완작용은 소장이 부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그 작용은 postganglionic presynaptic neuron에 존재하는 GABA A 수용체에 작용함으로써 나타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인도네시아산 흰 밀복 및 중국산 황복의 조직별 독성 (Anatomical Toxicity of Pufferfishes, Chinese Fugu obscurus and Indonesian Lagocepalus wheeleri)

  • 김동수;이화정;이명자;이문조;김현대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61-365
    • /
    • 1996
  • 인도네시아산 흰밀복 10마리와 중국산 황복 9마리의 근육, 껍질, 간장, 내장 및 난소 등의 조직별 독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간장 독소성분을 Bio-gel P-2 컬럼 크로마토크래피로 분리하여 TLC, 전기영동, HPLC로 분석하였다. 흰 밀복의 간장은 무독하였고 내장은 무독 내지 약독으로 나타났고, 평균 독력은 각각 5.5$\pm$0.9와 11.8$\pm$4.2 MU/g이었다. 그리고 근육과 껍질부위의 평균독력은 각각 3.0$\pm$0.8과 2.2$\pm$0.1 MU/g이었다. 황복의 부위별 독성은 담즙, 난소, 정소 및 간장이 각각 9~200, 40~133, 13~186 및 6~210 MU/g으로 나타났다. 껍질 및 근육부위는 3~34 MU/g와 2~44 MU/g으로 비식용부위 보다는 낮았다. 각 부위의 유독개체 출현율은 난소(100%), 내장(100%), 담즙(89%), 간장(78%), 껍질(67%), 정소(33%) 및 근육(11%)의 순서로 나타났다. 흰 밀복과 황복의 간장으로부터 분리한 독소는 TLC로 분석한 결과 TTX 및 anhydro-TTX로 동정되는 2개의 TTX spot을 검출하였고, 전기영동에서도 마찬가지 결과를 얻었다. 또한, HPLC의 분석결과와 TTX와 anhydro-TTX와 같은 위치의 피크를 나타냈다. 황복은 표준물질 TTX, 4-epi-TTX 및 anh-TTX의 세 피크를 나타냈다.

  • PDF

복어 섭취 후 발생한 급성 테트로도톡신 중독 환자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 인자 분석 (Th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in Adults with Acute Etrodotoxin Poisoning Caused by Ingesting Puffer Fish)

  • 조용수;전병조;문정미;류현호;정용훈;이성민;송경환;류진호
    • 대한임상독성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46-53
    • /
    • 2014
  • Purpose: We conducted this study in order to determine clinical features and prognostic factors in adults with acute tetrodotoxin (TTX) poisoning caused by ingestion of puffer fish.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study, 107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TTX poisoning.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duration of treatment; Group I, patients were discharged within 48 hours (n=76, 71.0%), Group II patients were discharged after more than 48 hours (n=31, 29.0%). Group II was subsequently divided into two subgroups [IIa (n=12, 11.2%), IIb (n=19, 17.8%)] according to the need for mechanical ventilation support. Results: I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predictors of the need for treatment over 48 hours were dizziness (odds ratio [OR], 4.72; 95% confidence intervals [CI], 1.59-12.83), time interval between onset of symptom and ingestion (OR, 0.56; 95% CI, 0.16-0.97), $PaCO_2$<35 mmHg (OR, 8.37; 95% CI, 2.37-23.59). In addition, predictors of the need for mechanical ventilation were a time interval between onset of symptoms and ingestion (OR, 0.54; 95% CI, 0.11-0.96) and $PaCO_2$<35 mmHg (OR, 5.65; 95% CI, 1.96-18.66). Conclusion: Overall, dizziness, time interval between onset of symptoms and ingestion, ${\Delta}DBP$ and $PaCO_2$<35 mmHg predict the need for treatment over 48 hours, time interval between onset of symptoms and ingestion and $PaCO_2$<35 mmHg predict the need for mechanical ventilation support after acute TTX poisoning.

  • PDF

Phorbol Ester-Induced Periodic Contraction in Isolated Rabbit Jugular Vein

  • Ryu, Jae-Cheol;Jung, Dong-Keun;Lee, Sang-H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9권2호
    • /
    • pp.225-232
    • /
    • 1995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phorbol 12,13-dibutyrate (PDBu) on the contraction of rabbit jugular vein in vitro. PDBu concentrations of greater than 10 nM induced a periodic contraction which was composed of rapid contraction, plateau and slow relaxation. The frequency of periodic contraction increased as PDBu concentration increased. The PDBu-induced contraction was inhibited by staurosporine (100 nM), it was not changed by tetrodotoxin $(1\;{\mu}M).$ In $Ca^{2+}$-free medium, PDBu induced a sustaining contraction, but not periodic contraction. Addition of $Ca^{2+}$ to medium evoked periodic contraction which was inhibited by nifedipine, PDBu concentrations of greater than $0.1\;{\mu}M$ increased ^{45}Ca^{2+}$ uptake without changing $^{45}Ca^{2+}$ efflux. Charybdotoxin and apamin, $Ca^{2+}$-activated K^{+}$ channel blockers, did not affect the PDBu-induced periodic contraction, whereas tetraethylammonium (TEA) abolished the periodicity. Pinacidil $(10\;{\mu}M).$, a potassium channel activator, blocked PDBu induced periodic contraction, which was recovered by glybenclamide $(10\;{\mu}M).$. In high potassium solution, PDBu did not produce the periodic cont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DBu-induced periodicity of contraction is modulated by voltage dependent $Ca^{2+}$ channel and ATP-sensitive $K^{+}$ chann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