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is toxicity

검색결과 89건 처리시간 0.03초

다이옥신-유도 독성에 대한 녹용 추출물의 방어효과 (Protective Effect of Cornu Cervi Parvum Extract on Toxicity Induced by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in Rat)

  • 황석연;양진배;장철수;이영찬;이형철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74-679
    • /
    • 2002
  • The toxicity and bioaccumulation of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and polychlorinated biphenyls (PCBs) continues to be a focus of research in human and various species. The main human exposure is via the dietary rou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protective effect of Cornu Cervi Parvum extract on clinical parameters and hepatotoxicity in Sprague-Dawley rat (SD rat) accutely exposured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 (TCDD). Male SD rats received single intraperitoneal (ip) injection of TCDD (40 ㎍/kg), and administered 10 or 20 mg/kg/day of the ethanol extract oral injection for 4 weeks from 1 week before TCDD treatment. The gain in body weight was less in group treated with TCDD than in CON group, while that of C/H+ TCDD group (Cornu Cervi Parvum extract 20 mg/kg/day) increased. The decrease in spleen and testis weight caused by TCDD was prevented by Cornu Cervi Parvum extract 20 mg/kg/day. The fluctuation in BUN content, WBC and platelet count by TCDD intoxication were significantly attenuated by the ethanol extract treatment (20 mg/kg/day for 4 weeks). Treatments of rats with the extract (10 or 20 mg/kg/day) were significantly reduced AST and ALT levels compared with TCDD-treated group. Moderate swelling of hepatocytes, hyperchromatism, acidophilic cytoplasm and cytoplasmic vacuolation were observed in TCDD-treated animals (TCDD group). The administration of EtOH extract 10 or 20 mg/kg along with TCDD significantly alleviated the liver histopathological alteration induced by TCDD.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rnu Cervi Parvum extract can be useful as a protective agent against TCDD, an endocrine disruptor.

2-Bromopropane의 수컷 랫트를 이용한 고환 독성시험 (Testicular Toxicity of 2-Bromopropane in Male Sprague-Dawley Rats)

  • Cha, Sang-Eun;Park, Sang-Rae;Kim, Kgu-Hwan;Choi, Jeung-Suk;Kim, Sung-Kuk;Jeon, Tae-Won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5권4호
    • /
    • pp.123-130
    • /
    • 2000
  • 택트 스위치 제조공정 침지액의 주성분인 2-bromopropane독성에 대한 연구로 최단기의 폭로로 농도를 달리하여 3주간 반복 투여 시험을 시행하여, 흰쥐의 혈액 및 세정관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투여기간 동안의 체중의 변화, 고환, 간, 신장 등의 장기무게, 혈액화학과 혈액학적 분석 및 고환의 병리조직의 변화 등을 관찰하여 2-bromopropane의 급성투여 조건에서의 중독현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농도를 달리하여 투여에 따른 체중변동은 통계적으로 유의한(P<0.05)체중의 감소를 나타내었다. 1.000 mg/kg 투여군에서 백혈구수, 적혈구수, 혈구용적과 혈색소 농도에서 유의한 변화(p<0.05)를 보였다. 조직병리학적 소견으로 정 소에서는 세정관의 정조세포와 정모세포의 괴사를 볼 수 있었고, 기저막의 비후, 세정관의 Sertoli세포는 광범위하게 세포질성 공포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간질조직에서는 Leydig 세포의 증식을 볼 수 있었다. 2-bromopropane의 손상부위는 조혈과 생식계가 표적으로 생각되며, 고농도 투여가 저농도 투여에 비해 독성이 심하며 독성물질의 양-반응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 PDF

B16/F10세포를 이식한 C57BL/6 생쥐에서 산삼약침의 항암효과 및 Doxorubicin에 의한 생식독성 완화효과 (Anti-cancer Effects of Cultivated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in C57BL/6 Mice Injected with B16/F10 Cells and Reproductive Toxicity by Doxorubicin)

  • 윤휘철;김호현;권기록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3권1호
    • /
    • pp.105-120
    • /
    • 2006
  • To investigate anti-cancer effects of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and mitigation of anti-cancer drug when taken concurrently, cancer cells from B16/F10 melanoma were injected intraperitoneally in C57BL/6. After inducing cancer, anti-cancer effects and mitigation of reproductive toxicity of Doxorubicin were evaluated. 1. For changes in weight, Doxorubicin 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and administration of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didn't cause any weight change. 2. Volume of tumor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Doxorubicin teated group.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groups showed slight decrease but insignifican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For hematological evaluation, Doxorubicin only group's reticulocyt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Platelet Cou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Neutrophils and significant decrease of Lymphocyt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 For histological evaluation of the tumor, necrosis occurred in a wide range in the Doxorubicin treated group.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didn't cause much histological changes. 5. For histological evaluation of the testis, seminiferous tubules of the control group suffered severe damage on epithelial cells. When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was administered concurrently, damage on the seminiferous tubul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compared to the Doxorubicin only group. 6. Diameter of seminiferous tubules and spermatogonia count were insignificant between the experiment groups. 7. For BrdU positive reaction of testicle tissue, Doxorubicin only group failed to show any reaction of spermatogonia, but spermatocytes and spermatids showed slight positive reaction. When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was treated concurrently, much greater positive reaction was made but similar to that of the control and normal groups. 8. For observation of changes in BrdU spermatogonia count of the testicle tissue, Doxorubicin only group didn't show any positive reaction, and relative increase was shown in the group with concurrent administration of wild ginseng herbal acupuncture. 9. For observation of TUNEL positive reaction cells of the testicle tissue, no significant changes were witnessed in all the experiment groups.

  • PDF

랫드에 있어서 2-bromopropane에 의해 유발된 정소독성의 평가 (Evaluation of the testicular toxicity caused by 2-bromopropane in rats)

  • 김종춘;이현숙;윤효인;정문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61-371
    • /
    • 2000
  • 최근 2-bromopropane(2-BP)이 사람과 실험동물에서 정소독성을 유발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그러나 수컷 생식기계에 있어서 2-BP의 지연효과에 대해서는 세부적으로 조사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Sprague-Dawley 랫드에서 2-BP의 정소독성과 정자발생의 회복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5주령의 수컷 랫드에게 2-BP를 1,000mg/kg 용량으로 4주간 반복투여하였고, 투여시작후 1, 2, 3, 4 및 12주째에 부검하였다. 정소독성의 평가는 병리조직학적인 질적평가와 생식기관 중량, 정자두부수 및 재생지수 등의 양적평가로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2-BP를 투여한 랫드에서는 체중과 정소 및 정소상체 중량이 대조군에 비해 시간의존적인 방식으로 억제 또는 감소하였다. 병리조직검사에서는 투여 1주째에 stage I~IV에서 정조세포와 stage VII~IX에서 세사전기 및 세사기의 정모세포가 현저하게 소실되었다. 정조세포는 투여 2주째에 모든 stage에서 광범위하게 소실되었으며, 정자발생주기가 진행됨에 따라 2, 3 및 4주째에는 접합기 정모세포, 비후기 정모세포 및 원형 정자세포가 전구세포의 결손에 의해 점진적으로 소실되었다. 지지세포의 기능적 이상을 암시하는 지지세포의 공포화와 정자세포 저류는 상기한 모든 시기에서 관찰되었다. 8주 회복후인 12주째에는 대부분의 곡세정관이 심하게 위축되어 지지세포만 관찰되었으며, 간질조직에서는 간질세포의 과형성이 인정되었다. 또한 2-BP에 의해 유발된 정소의 손상이 비가역적임을 암시해주는 정자두부와 재생지수의 현저한 감소가 관찰되었다. 상기결과는 랫드의 2-BP를 1,000mg/kg의 용량으로 4주간 반복투여하면 정조세포의 결손에 의해 점진적으로 생식세포가 감소하고 이로 인하여 장기적인 정소위축이 유발된다는 것을 암시해준다.

  • PDF

흰쥐에서 녹차의 섭취가 14C-Benzo[a]pyrene의 조직 분배 및 잔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on Tissue Distribution and Deposition of 14C-Benzo[a]pyrene in Rats)

  • 김주연;노상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18-823
    • /
    • 2011
  • 잔류성이 강하고 높은 지용성질을 가지는 식품오염물질인 benzo[a]pyrene(BaP)은 녹차 섭취에 의해서 소장에서 흡수가 억제되고 총담관으로의 배출이 증가되는 것으로 최근에 보고하였다. 이번 연구는 흰쥐를 이용해서 $^{14}C$-BaP를 복강주사한 후, 사람과 비교해서 1잔에 해당하는 녹차추출물을 4주간 매일 지속적으로 공급하였을 때, $^{14}C$-BaP의 조직분배 및 잔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7.4 kBq $^{14}C$-BaP를 복강주사한 후 표준식이와 증류수만 공급된 동물군을 대조군, 표준식이와 녹차추출물(4.7 mg catechins/day)을 공급받은 동물군을 녹차군으로 하여 4주간 사육하였다. 그리고 4주째에 심장, 간장, 뇌, 비장, 신장, 후복막지방, 고환, 부고환지방 조직을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고 각 조직에 잔류하는 $^{14}C$-BaP의 방사선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대조군과 녹차군 모두 연구 시작부터 종료 시까지 지속적으로 체중이 증가하였으나 동물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장기의 무게 또한 각 조직 모두 동물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조직 g당 $^{14}C$-BaP의 잔류량은 심장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뇌, 부고환지방, 비장, 신장, 간장, 후복막지방, 고환 순으로 높았으며, 조직 전체의 $^{14}C$-BaP의 잔류량은 부고환지방에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간장, 후복막지방, 심장, 뇌, 신장, 고환, 비장 순으로 나타났다. 녹차 섭취에 의해서 조직 g당 $^{14}C$-BaP의 방사선 활성도와 조직 전체 당 $^{14}C$-BaP 방사선 활성도 모두 심장, 간장, 뇌, 비장, 부고환지방에서 급격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4주 동안 하루 1잔에 해당하는 녹차추출물 섭취가 BaP의 조직 분배를 유의적으로 감소시켜 조직 잔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이 실험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었다.

Disturbing Effects of Chronic Low-dose 4-Nonylphenol exposing on Gonadal Weight and Reproductive Outcome over One-generation

  • Cha, Sunyeong;Baek, Jeong Won;Ji, Hye Jin;Choi, Jun Hee;Kim, Chaelim;Lee, Min Young;Hwang, Yeon Jeong;Yang, Eunhyeok;Lee, Sung-Ho;Jung, Hyo-il;Cheon, Yong-Pil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1권2호
    • /
    • pp.121-130
    • /
    • 2017
  • 4-Nonylphenol (NP) is a surfactant that is a well-known and widespread estrogenic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 (EDC). Although it has been known that the affinity of NP to ERs is low, it has been suggested that low-dose NP has toxicity. In the present study, the endocrine disrupting effects on reproduction, and the weight of gonads, epididymis, and uterus were evaluated with the chronic lower-dose NP exposing. This study was designed by following the OECD test guideline 443 and subjected to a complete necropsy. In male, NP had an effect on the weight of the testis and epididymis in both $F_0$ and $F_1$. In females, NP decreased the weight of ovary and uterus in $F_0$ but not in pre-pubertal $F_1$ pubs. Fertility of male and female in $F_0$ or $F_1$ was no related with NP administration. The number of caudal-epididymal sperm by body weight (BW) was not different between groups in both $F_0$ and $F_1$. Besides, the difference of the sperm number between generations was not detected. The number of ovulated oocytes was similar between groups in $F_0$, but significantly decreased in NP 50 group of $F_1$. The litter size and sex ratios of offspring in $F_1$ and $F_2$ were not different. The accumulated mating rate and gestation period were not affected by the NP administration. Those results shows that chronic lower-dose NP administration has an effect of endocrine disruptor on the weight of gonads and epididymis of $F_0$ and $F_1$ but not in reproduction. Based on the results, it is suggested that chronic lower-dose NP exposing causes endocrine disruption in the weight of gonad and epididymis but not in the reproductive ability of next generations.

알코올성 간독성 흰쥐의 혈청 지질 및 조직 과산화지질 농도에 미치는 발효당귀의 영향 (Effects of Monascus-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on the Contents of Serum Lipid and Tissue Lipid Peroxidation in Alcohol Feeding Rats)

  • 안희영;박규림;김유라;윤경훈;김정욱;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371-1380
    • /
    • 2013
  • Monascus purpureus 균주에 의해 발효된 당귀분말을 식이 중에 5% 수준으로 첨가하여 30% 알코올과 함께 4주간 흰쥐에 급여한 후 혈중 지질 농도 및 조직 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혈중 중성지질 농도 및 유리 지방산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Alc)에서의 증가가 알코올 실험군에서 모두 감소하였고, 특히 발효당귀군(AFAG)에서 낮은 감소수치를 보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전반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HDL-cholesterol 농도에서 발효당귀군(AFAG)이 증가수치를 나타내었다. 간장, 심장, 비장,신장, 고환 및 혈청에서 생체막 과산화지질 생성 정도는 정상군(N)에 비해 알코올 대조군(Alc)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발효당귀군(AFAG)과 양성 대조군(ASM)에서 정상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간 조직 내 내인성 항산화 물질인 glutathione 농도는 알코올 대조군(Alc)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발효당귀군(AFAG)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과산화 지질 생성정도와 glutathione 농도는 유의적인 차이가 인정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발효당귀는 알코올 투여 동물실험에서 혈중 지질 개선효과는 물론 조직 내 항산화 활성증가로 산화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간 독성 개선에 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판단되어진다.

아데노바이러스 유전자치료벡터의 생식독성 연구 (Potential Reproductive Toxicity Study of p53 Expressing Adenoviral Vector in Mice)

  • 이규식;곽승준;김순선;이이다;석지현;채수영;정수연;김승희;이승훈;박귀례
    • 미생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151-158
    • /
    • 2007
  • 유전자치료W터의 주입시 생식세포를 통한 다음 세대로의 전달 가능성은 안전성 측면에서 관심을 중대시키고 있다. 특히 전립선암이나 난소암의 치료시 바이러스를 생식기관에 인접한 부위에 주입하여야 하므로 그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전자치료에 많이 이용되는 아데노바이러스를 매개로하여 tumor suppressor 유전자인 p53을 발현하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를 제조하여 이를 투여시 생식장기를 포함한 주요장기조직에의 분포와 germ cell을 통한 차세대로의 전달 가능성 등의 생식독성을 조사하였다. In vivo biodistribution study를 위하여 $Ad-CMV-{\beta}-gal$흑은 Ad-CMV-p53를 마우스 암 수의 복강에 주사한 후 생식장기를 포함한 주요 장기에서 아데노바이러스 유래 DNA검출 및 RNA발현 여부를PCR과 RT-PCR로 각각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간 및 비장과 같은 일반 장기에서도 주입한 외부유전자의 DNA가 검출되거나RNA가 발현되었을 뿐만 아니라, 정낭, 전립선, 부고환, 난소 및 자궁 등의 생식장기에서도 주입한 외부유전자가 검출되거나 발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Real-time PCR을 이용하여 각 장기에서의 투여된 아데노바이러스 벡터는 시간 의존적으로 감소되는 것을 정량하였다. Ad-CMV-p53를 암 수 마우스의 난소와 고환에 각각 직접 주사하여 교배시킨 후 그 후세대의 DNA를 분리하여 주입한 아데노바이러스 유래의 DNA를 검색한 결과, 어떠한 차세대에서도 주입한 아데노바이러스 유래의 DNA가 검출되지 않았다. 한편 생식장기에서의 PCR및 RT-PCR signal유래 vector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매우 감도가 높은 in-situ PCR로 조사한 결과 고환의 경우 간질조직으로의 전달은 일어나나 정세관 내에는 아데노바이러스 벡터가 전달되지 않으며, 난소에서도 아데노바이러스벡터는 난포내의 난자에 전달되지 않고 기질조직에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적으로 복제 능력 이 결여된 아데노바이러스를 매개로 한 유전자치료제는 생식 장기에서 검출되더라도 다음 세대로 전달될 가능성은 대단히 낮음을 제시한다.

생약재제가 Dioxin의 연속투여 후 생식독성의 완화에 미치는 영향 관한 연구 (Effects of a Herb Drug Extracts on Mitigation of Reproductive Toxicity after a Continuous Dose of Dioxin in Mice)

  • 김상근;김민수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1-248
    • /
    • 2000
  • 본 연구는 생약제재가 dioxin의 연속투여시 생식독성 완화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저 30 $\mu\textrm{g}$/kg의 dioxin을 5일간 연속투여 후 생약제재를 3주간격일로 경구투여 했을 때 정자수, 정자활력, 정소중량 및 정소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1. Dioxin 10~20 $\mu\textrm{g}$/kg을 5일간 연속투여한 군의 정자수는 90.7$\pm$3.6~l18.5$\pm$3.6$\times$$10^{6}$$m\ell$, 30~40 $\mu\textrm{g}$/kg투여군의 정자수는 67.3$\pm$4.1~88.2$\pm$3.3$\times$$10^{6}$$m\ell$로서 대조군의 119.3$\pm$3.4~120.2$\pm$4.7$\times$$10^{6}$$m\ell$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정자수를 나타냈다(p<0.05). 2. dioxin 10~20 $\mu\textrm{g}$/kg 투여군의 정자활력은 77.0$\pm$4.7~89.5$\pm$3.6%, 30~40$\mu\textrm{g}$/kg 투여군은 66.5$\pm$3.3~79.9$\pm$3.8%로서 대조군의 93.6$\pm$3.8~94.9$\pm$3.4%에 비해 현저히 감소된 정자활력을 나타냈다(p<0.05). 3. Dioxin 30 $\mu\textrm{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 추출물을 격일로 3주간 투여했을 때 정자수는 각각 77.4$\pm$3.2~90.9$\pm$3.4$\times$$10^{6}$$m\ell$, 78.0$\pm$3.3~105.0$\pm$4.2$\times$$10^{6}$$m\ell$, 76.2$\pm$2.8 ~84.4$\pm$3.5$\times$$10^{6}$$m\ell$, 75.4$\pm$3.3~80.2$\pm$3.3$\times$$10^{6}$$m\ell$이었다. 4. Dioxin 30 $\mu\textrm{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 추출물을 격일로 3주간 투여했을 때 정자활력은 대조군의 119.3$\pm$3.4~120.2$\pm$4.7$\times$$10^{6}$$m\ell$와 93.0$\pm$3.5~96.1$\pm$3.5%에 비해 홍삼추출물 투여군에서는 회복이 현저하였고(p<0.05), 녹차는 다음이었으며, 구기자, 오메는 회복이 미미하였다. 5. Dioxin 30 $\mu\textrm{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 추출물을 각각 격일로 3주간 투석했을 때 정소중량은 대조군의 0.15$\pm$0.01~0.16$\pm$0.01g에 비해 낮은 치를 나타냈으며 홍삼추출물 투여군에서는 회복효과가 현저하였다. 6. Dioxin 30 $\mu\textrm{g}$/kg을 5일간 연속투여 후 녹차, 홍삼, 구기자, 오메를 각각 3주간 격일로 경구 투여했을 때 간, 비장 및 정소조직은 대조군에 비해 심한 손상이 관찰되었으며, 정소는 홍삼 투여군에서 많은 회복이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