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rritorialization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제2기계시대 건축디자인에서의 운동의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pression of Movement in Architectural Design in the Second Machine Age)

  • 김원갑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101-110
    • /
    • 2006
  • Many architects in the second machine age experiment on the movement in architectural design. They consider a movement as a flow of information and vector as well as the real motion. They express the movement in architectural design as nomad architecture, network city, rhizome, mutual transformation among building, environment and visitors, and form generation as the actualization of the virtual. It is partly the result of the philosophy of Deleuze and Bergson that a movement is just a duration as a difference of quality. It is because Deleuze explains that the realization of the virtual as a becoming is also the kind of movement. This study analyzes the method of expression of movement in architectural design in the second machine age. As a result, the movement in architectural design in the second machine age was expressed in two ways. One method is a territorialized movement that moves in the fixed trajectory and the other is a deterritorialized movement that moves in the random indeterminate trajectory.

경합(競合) 장소(場所)로서의 계룡산(鷄龍山) (Kyeryong Mountain as a Contested Place)

  • 류제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553-570
    • /
    • 2005
  • 계룡산에는 상이한 종교(또는 이념) 집단들이 다양한 의미와 가치를 부여하며 이용해 온 공간과 장소들이 있다. 불교와 유교 그리고 무속을 포함하는 민간 신앙들은 자기 고유의 영역과 정체성을 생산하고 관리하기 위하여 제각기 다른 이념(또는 세력)을 구현하여 왔다. 무속을 중심으로 하는 저항의 지리는 계룡산 전역에 걸쳐 불연속적인 영역을 기반으로 진행되어 왔다. 이러한 저항의 지리가 가장 뚜렷하게 확인되는 지점은 삼불봉, 암용추, 숫용추 등이다. 지금까지 무속과 불교의 공간적이고 시간적인 뒤엉킴을 통하여 피지배 세력인 무속이 생존하여 왔던 것이다.

SANAA의 뮤지엄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위계성'의 표현 특성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on 'The new hierarchy' that Appear in the SANAA's Space Configuration of Museum)

  • 신소명;윤상영;윤재은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4호
    • /
    • pp.149-157
    • /
    • 2013
  • As a period of pluralism, today's museum architecture has been expanding social and cultural meaning. So, Various expressions are appearing in museum architecture. Accordingly, the museum must be very reproducible and comply with aesthetic requirements. At the same time, museum construction in urban design and features must satisfy professional requirements. SANAA is one of contemporary architects has been decisively deleted existing fixed and functional layout type of program through 'The new hierarchy'. Thus, the experience of the space will vary. Now, museum space is urgently needed than ever before crustal movements. Thus,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an alternative to the museum spac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rough 'The new hierarchy' of SANAA. This paper is limited to the cases of the SANAA's museum architecture. We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on 'The new hierarchy' appear in the museum space configuration and then, examine the value of the spatial. SANAA's 'New Hierarchy' is going to set the cognitive boundary by expression targeting plane and the surface. It is completely different than the previous boundaries.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represents non-centrality, decentrally, non-oriented, uncertainty, non-territorialization, uniformity. It is steady that identity of Space, Human, Environment in Museum. They have a relationship each concept of Independence, autonomy, equality.

Beyond Factual Knowledge and Symbolic Competence: Interculturality as Transcultural Intersubjectivity

  • Omengele, Theophile Ambadiang
    • 비교문화연구
    • /
    • 제20권
    • /
    • pp.295-321
    • /
    • 2010
  • The trend of globalization has sharpened the debate on interculturality, which scholars examine from different and often conflicting points of view ('content' vs. 'practice', 'culture-specific' vs. 'universal', 'communication (meta)theory' vs. 'communication practice', 'individual' vs. 'collective', etc.). Whereas all these approaches are necessary to describe the multiple dimensions of interculturality, their dichotomous nature does not help to account for its internal complexity, which cannot be dissociated from the connections that exist among all these dimensions. The difficulty posed by the essentialist interpretations that tend to result from these dichotomies is compounded by the fact that in postmodern debates priority has been given to approaches that emphasize individual or collective agency over structural constraints which have to do with political economy or with cultural and linguistic codes and traditions. This paper aims mainly at suggesting that the dissolution of the boundaries that exist between these approaches should be pursued in order to get a fuller and richer approach to their common object of study. After discussing, by way of illustration, content-based and practice-based perspectives, we suggest that one way of getting beyond these dichotomies consists in focusing on the 'interactional' dimension of interculturality, which means laying emphasis on intersubjectivity and, particularly, on the individual subjects considered as members of different cultural communities who strive to transcend their sociocultural boundaries in order to reach harmonious interactions in a world in which inequality and the de-territorialization of people and cultures are central features.

지역학습에 있어서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 - 제주 지역교과서 분석은 사례로 - (The Relation between Regional Identity and National Identity in Regional Learning - A Case Study of Regional Textbook in Jeju Province -)

  • 남호엽;김일기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83-494
    • /
    • 2001
  • 본 연구는 지역교과서에 나타난 민족정체성과 지역정체성의 관계를 분의하고 있다. 지역교과서는 지역학습의 자원이며, 다른 지역과의 영역적 차이를 기본 전제로 하면서 지역정체성을 재현한다. 교육과정 수준에서 지역학습의 교육인간상은 지역정체성의 함양을 추구하지만, 민족국가로서의 정치적 단일성을 고려하고 있다. 이른바 민족적 단일성은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이 융합된 양상으로 보고 있다 그런데, 다른 지역에 비해 고유성이 상대적으로 강한 사례 지역의 교과서에서는 민족과 지역 간의 상보성이 왜곡되어 있다. 예컨대, 지역의 통상적인 담론세계에서 유교문화경관은 타자이지만, 학교 교과서에서는 동일자이다. 또한 지역교과서에서 대외적인 영역화의 경계는 주로 지역이라기 보다는 민족이고. 민족의 변방으로 지역에 대한 장소감을 낳고 있다. 즉, 제주 지역교과서에서 지역정체성은 민족정체성을 고려하여 제한적으로 재현되고 있다. 다시 말해서, 지역학습에서 온당하게 다루어져 할 지역정체성의 추구가 주변화되고 있다

  • PDF

Remembering Disasters: the Resilience Approach

  • le Blanc, Antoine
    • 미술이론과 현장
    • /
    • 제14호
    • /
    • pp.217-245
    • /
    • 2012
  •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how how the paradigm of disaster resilience may help reorienting urban planning policies in order to mitigate various types of risks, thanks to carefully thought action on heritage and conservation practices. Resilience is defined as the "capacity of a social system to proactively adapt to and recover from disturbances that are perceived within the system to fall outside the range of normal and expected disturbances." It relies greatly on risk perception and the memory of catastrophes. States, regions, municipalities, have been giving territorial materiality to collective memory for centuries, but this trend has considerably increased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This is particularly true regarding the memory of disasters: for example, important traces of catastrophes such as urban ruins have been preserved, because they were supposed to maintain some awareness and hence foster urban resilience - Berlin's Gedachtniskirche is a well-known example of this policy. Yet, in spite of preserved traces of catastrophes and various warnings and heritage policies, there are countless examples of risk mismanagement and urban tragedies. Using resilience as a guiding concept might change the results of these failed risk mitigation policies and irrelevant disaster memory processes. Indeed, the concept of resilience deals with the complexity of temporal and spatial scales, and with partly emotional and qualitative processes, so that this approach fits the issues of urban memory management. Resilience might help underlining the complexity and the subtlety of remembrance messages, and lead to alternative paths better adapted to the diversity of risks, places and actors. However, when it is given territorial materiality, memory is almost always symbolically and politically framed and interpreted; Vale and Campanella had already outlined this political aspect of remembrance and resilience as a discourse. Resilience and the territorialization of memory are not ideologically neutral, but urban risk mitigation may come at that price.

  • PDF

중국의 민족식별과 민족자치구역 설정 :공간적 전략과 그 효과 (The Identification of Nationali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Minority Nationality Autonomous Regions in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The Spatial Strategy and Its Effects)

  • 이강원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75-92
    • /
    • 2002
  • 이 논문은 중국 민족정책의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민족식별과 민족자치구역 설정에 내재된 공간적 전략과 그 효과에 대해 검토한다. 중국의 민족식별과 자치구역의 설정은, 전통적인 정체성의 기초를 약화시키고 민족을 지역화시킴으로써, 소수민족들을 중국 내의 확고한 인민으로 전환시키는 국가통합과정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민족 식별에 있어서 기준의 자의성, 국가에 의한 인구의 재배치 그리고 민족자치구역의 설정 및 영역 조정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보다 상위의 개념으로서 '중국민족' 혹은 '중화민족'이라는 정체성을 구성하려는 국가의 의도와 맞물려 있었지만, 그렇게 식별된 민족과 구획된 영역을 따라서 새로운 개별 민족적 정체성을 창출하게 되는 과정이기도 하였다.

독락당 원림 경관조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naging the Landscape in Dok-Rak-Dang Garden)

  • 정윤영;성종상;배정한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6-105
    • /
    • 2011
  • 이 연구는 문헌고찰과 현지관찰을 통해, 회재 이언적이 조영한 독락당 원림 내 장소들의 위치를 추정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원림의 경관조영특성을 분석하였다. 회재가 은거를 위해 독락당과 함께 조영했던 원림 즉 자계주변공간은, 회재 이전에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이었지만, 회재가 그곳을 거닐고 관찰하면서 산과 물과 바위를 선택하고, 거기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사산오대'라는 특별한 장소가 되었다. 사산오대의 사산은 독락당 일곽을 위요하고 있는 북에 도덕, 남에 무학, 동에 화개, 서에 자옥산을 말하고, 오대는 자계계곡 경치 좋은 곳에 위치한 바위에 이름 붙인 세심, 관어, 영귀, 징심, 탁영대를 말한다. 독락당 원림의 경관조영 특성은 자연과 합일하는 미적 체험의 태도인 '인공과 자연의 공간적 연결', 자연 내의 공간을 체험적 관점에서 '유기적으로 영역화', 자연을 관찰하고 경관을 취하여 이름을 붙이는 일련의 과정을 통한 '사유화된 자연의 장소화'에 있다. 원림 내에서 사산오대는 자연을 미적으로 체험하기 위한 경관 거점이자 요소로 기능한다. 그 특성은 자연을 인위적으로 변형하는 구축적 조형 태도와는 구별되는, '있는 그대로의 자연을 즐기는'전통적인 자연관에서 비롯되었고, 조영자의 사상적, 미학적 관점이 취경과 명명의 방법으로 의도된 공간 질서를 만들고, 미적 체험을 통해 '장소화'가 이루어짐으로써, 구축 중심의 정원조영과는 구별되는 실천적인 한국적 정원조영의 태도를 보여 준다. 연구의 결과는 전통정원의 미학적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 연구를 위한 이론의 구성 (A Theoretical Construction for the Cultural-Political Study on the Place Names in Korea)

  • 김순배;류제헌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599-619
    • /
    • 2008
  • 인간 거주의 오랜 역사와 완충적인 지정학적 위치에 따른 한국 문화의 통시적 역동성과 공시적 다양성은 한국 지명의 이중성과 중층적 다양성에 중요한 배경과 원인이 되어 왔다. 이러한 한국 지명의 변동 과정은 상이한 사회적 주체들이 문화의 의미를 둘러싸고 벌이는 갈등과 경합의 권력 관계를 연구하는 문화정치학 분야에 비교적 적절한 연구 대상으로 주목된다. 한국 지명에 대한 문화정치적 연구의 당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장소 아이덴티티, 영역 경합, 스케일 정치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한국 지명의 문화정치적 연구를 위한 이론의 구성을 시도하였다. 지명은 자연과 사회적 주체를 지칭하며 이들의 아이덴티티를 재현하는 과정을 분석하는데 유용한 이론으로서 안게른과 카스텔스의 아이덴티티 이론, 페쇠의 동일시 이론, 홀의 디코딩 이론, 볼로쉬노프(바흐찐)의 이데올로기적 기호 이론이 사례를 통하여 실험되었다. 사회적 주체의 아이덴티티와 이데올로기를 재현하는 지명을 매개로 장소 아이덴티티 내지는 영역적 아이덴티티가 구축되는 과정에는 필연적으로 포함과 배제의 권력 관계가 개입되어 있다. 이러한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아이덴티티, 이데올로기, 권력 관계라는 요소들을 반드시 고려해야하므로, 경계, 영역, 영역성, 영역화, 영역적 아이덴티티 등과 같은 개념을 포용하는 스케일 정치라는 관점을 약간의 사례에 실험적으로 적용해 보았다. 끝으로,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정치이론을 토대로 일정한 범위의 지역을 단위로 하는 기초적이고 학제적인 지명 연구를 통해 지명의 문화정치적 사례가 연구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