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pal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4초

The taxonomic consideration of floral morphology in the Persicaria sect. Cephalophilon (Polygonaceae)

  • KONG, Min-Jung;HONG, Suk-Py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85-194
    • /
    • 2018
  • A comparative floral morphological study of 19 taxa in Persicaria sect. Cephalophilon with four taxa related to Koenigia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taxonomic implications. The flowers of P. sect. Cephalophilon have (four-)five-lobed tepals; five, six, or eight stamens, and one pistil with two or three styles. The size range of each floral characteristic varies according to the taxa; generally P. humilis, P. glacialis var. glacialis and Koenigia taxa have rather small floral sizes. The connate degrees of the tepal lobes and styles also vary. The tepal epidermis consists of elongated rectangular cells with variation of the anticlinal cell walls (ACWs). Two types of glandular trichomes are found. The peltate glandular trichome (PT) was observed in nearly all of the studied taxa. The PT was consistently distributed on the outer tepal of P. sect. Cephalophilon, while Koenigia taxa and P. glacialis var. glacialis had this type of trichome on both sides of the tepal. P. criopolitana had only long-stalked pilate-glandular trichomes (LT) on the outer tepal. The nectary is distributed on the basal part of the inner tepal, with three possible shapes: dome-like, elongated, and disc-like nectary. The nectaries are always accompanied by elongated or spheroidal papillae. Various combinations of floral characters (e.g., the numbers of stamens and styles, the stigma shape, the nectary shape, ACWs, cuticular striation and the trichome type and distribution) of P. sect. Cephalophilon are useful when attempting to recognize the infrasectional levels of P. sect. Cephalophilon recently proposed. Here, we describe the floral characteristics in detail and discuss the taxonomic significance of the floral characters.

Taxonomic identity of Dioscorea coreana (Prain & Burkill) R. Kunth

  • JEONG, Dae-Hui;KIM, Jae-Young;JO, Hyeong-Jun;PARK, Hong-Woo;LEE, Kang-Hyup;JI, Seong-Jin;CHUNG, Gyu-Young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0권2호
    • /
    • pp.232-238
    • /
    • 2020
  • The identity of Dioscorea coreana (Prain & Burkill) R. Kunth is recognized during the re-identification process of Korean Dioscorea specimens. Given the relatively few pieces of information, including few descriptions and research papers, this species has been misidentified as D. tokoro, which has a similar leaf shape, but D. coreana is distinguished from D. tokoro by the absence of a pedicel in the male flower, the green color of the tepal, and the shapes of the fruit and seed. Thus, detailed descriptions,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D. coreana and a key to the Korean Dioscorea, including this species, are presented.

Ethylene Production and Expression of Two Ethylene Biosynthetic Genes in Senescing Flowers of Hosta ventricosa

  • Zhu, Xiaoxian;Hu, Haitao;Guo, Weidong;Chen, Jianhua;Wang, Changchun;Yang, Ling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2권2호
    • /
    • pp.261-268
    • /
    • 2014
  • Senescence of Hosta ventricosa flowers was firstly characterized as ethylene-sensitive since the deterioration of the tepal was accompanied by increased endogenous ethylene biosynthesis. The full-length cDNAs and DNAs of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ACC) synthase (ACS) and ACC oxidase (ACO) involved in ethylene biosynthesis were cloned from H. ventricosa flowers. The HvACS ORF with 1347 bp and two introns, encoded a polypeptide of 448 amino acids showing 79% homology with that in Musa acuminata. The HvACO ORF contained 957 bp and three introns, encoding a 318-residue polypeptide showing 83% homology with that in Narcissus tazetta. The timing of the induction of HvACS expression was in correspond to the timing of the increase in ethylene production, and that the up-regulation of HvACO transcript was closely correlated with an elevated ethylene production, but underwent a down-regulation in wounded leaves with elevated ethylene emission. The results, together with expression analysis in vegetative tissues, suggested that both HvACS and HvACO were specifically regulated by flower senescence.

한국 미기록 귀화식물: 긴털비름(Amaranthus hybridus)과 나도민들레 (Crepis tectorum) (Two new naturalized species from Korea, Amaranthus hybridus and Crepis tectorum)

  • 이유미;박수현;정재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01-209
    • /
    • 2005
  • 서울 난지도와 강원도 평창군 진부면 동산리 등에서 우리나라 미기록 귀화식물 2종을 발견하였다. 긴털비름(비름과)으로 이름 붙인 Amaranthus hybridus는 서울 난지도 월드컵공원에서 처음 확인되었으며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유사종인 털비름 및 가는털비름과 비교하여 개화기가 9-10월로 늦고, 잎에 털이 성기게 나고 화피편과 열매의 길이가 거의 같으며, 꽃차례가 분지하지 않고 길게 발달하는 특징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나도민들레로 이름 붙인 Crepis tectorum (국화과)는 속 자체가 우리나라에 처음 확인된 종류로 강원도 평창군 진부와 월정사 입구에서 집단적으로 발견되었으며 분포가 확산 추세에 있다.

AFLP에 의한 한국산 새우난초속 식물과 그의 수종 돌연변이에 대한 분류학적 연구 (Taxonomy of Korean Calanthe species and few of its mutants based on AFLP data)

  • 스리칸스;구자춘;구자정;최경;박광우;소순구;최용국;황성수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15-221
    • /
    • 2012
  • 5개의 한국산 새우난초류 즉 새우난초, 한라새우난초, 금새우난초, 여름새우난초, 신한새우난초의 분류학적 및 유전적 유연관계가 증폭길이다형성(AFLP) 자료를 근거로 조사되었다. 위의 5개 분류군 및 노란색에 흰 설엽을 갖는 몇몇 돌엽변이체 등 16 개체가 연구에 사용되었다. AFLP를 통해서 50개의 분자마커가 동정되었다. 다변량분석의 결과는 유전적 다양성이 종내에서 보다 종간에 크게 나타났다. 유전적 비유사성은 다른 분류군에 비해서 YW 돌연변이체들 간에 가장 낮았고, 여름새우난초 개체들 간에 가장 높았다. 돌연변이체들은 주된 유집군의 밖에 유집되었다. 한라새우난초는 새우난초와 먼저 유집되어 유전적 구성이 다른 종보다 새우난초에 더 가까운 것으로 판단된다. 비록 한라새우난초가 새우난초와 금새우난초의 자연잡종에 의해 기원되었다고 하여도 분자 마커, 유집분석 그리고 비유사도 자료를 통해서 유전자이입이 새우난초 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한국산 새우난초류는 유전적 다양성이 있고, 한라새우난초는 새우난초 쪽으로 유전자이입이 있으며, YW 돌연변이체들은 유전적으로 금새우난초에 보다 가깝다.

절화용 신나팔나리 F1품종 '어라연 2호' 육성 (Breeding of Lilium × formolonga F1 hybrid 'Eorayeon 2ho' for Cut Flower)

  • 현영호;김종화
    • 화훼연구
    • /
    • 제17권4호
    • /
    • pp.328-331
    • /
    • 2009
  • '어라연 2호'는 강원대학교에서 2003년에 육성된 절화용 신나팔나리 품종이다. 2000년에 육종목표에 따라 나팔나리 'Lorina' 자식계통을 모본으로 신나팔나리 'Augusta' 자식 계통을 부본으로 교잡을 실시하였다. 2001년에는 개화기에 초세가 강건하고 꽃이 크며 엽형이 좋은 'LA-77'계통을 모본으로 선발하고 조생종이며 꽃 모양이 좋고 개화방향이 상향인 'Raizan No.1' 자식 계통을 2회 연속 교잡을 실시하였다. 2003년에 각종 형질이 우수한 'MF-No.2'계통을 선발하고 이 계통을 대상으로 2003년부터 2년간 농촌진흥청 농사시험연구조사기준에 따라 특성검정 및 계통 평가회의 기호성 조사를 통해 최종적으로 절화용 신나팔나리 신품종으로 선발하여 '어라연 2호'라 명명하였다. '어라연 2호' 품종의 발아율은 95.3 %이고, 개화소요일수는 194.2일이며, 포장과 수송이 편리한 상향개화성이다. 만개시 화경은 13.4 cm이고, 외화피장은 16.0cm이고, 외화피폭은 4.3 cm이다. 개화수는 3.1개이며, 초장은 132.6 cm이다. 잎마름병에 대한 저항성이 강하고, 절화율이 100%에 달한다. '어라연 2호'는 '어라연 1호'보다 초장이 20cm 이상 길어 수출용으로 적합한 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