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ndon healing

검색결과 70건 처리시간 0.03초

농촌지역 주민의 근골격계의 통증에 대한 조사 (Survey Of the Musculoskeletal Pain Among Farmers in the Rural Community)

  • 선명훈;박인선;조근열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1호
    • /
    • pp.40-47
    • /
    • 1991
  • Musculoskeletal disorders are a major cause of occupational disabilities. Approximately thirty percent state that the major reason for an inability to work is a musculoskeletal problem. A farm work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stress and trauma to joints. Chronic overuse injuries are a result of stresses that exceed the body's adaptive or healing capabilities. They can occur in bone, tendons and muscle-tendon-bone junctions. The aim of the investigation was to the study the frequency of pain, ache, and discomfort in the musculoskeletal system among farmers, to find possible correlations between these symptoms and various working positions and different working actions. A questionnaire was answered by 138 farmers. Of those who answered the questionnaire 82% had pain and discomfort from back, shoulders, arms in orders, The result showed that musculoskeletal pain predominate in the farming seasons, and of those who had pain and discomfort 89% thought that farm works had a correlation with the pain and discomfort of musculoskeletal system. But only 17% of quationnaire were put to periodic medical examinations, and 50% of those who had pain and discomfort consulted a doctor. Education in effective pain treatment should therefore be intensifide to ascertain that farmers in rural areas have satisfactory knowledge of the musculoskeletal pain as a chronic overuse syndrome.

  • PDF

족지 주위의 작은 크기의 당뇨 족부 궤양에 대한 외측 상완 유리 피판술 (Lateral Arm Free Flap for Small Sized Diabetic Foot Ulcer around Toes)

  • 정현균;소광영;국우종;김희동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7권1호
    • /
    • pp.28-35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the clinical analysis of the results of lateral arm free flap for small sized and infected diabetic foot ulcer around toes. From May 2006 to December 2007, Seven patients were included in our study. Average age was 52.8 years, six were males and one was female. All had infected diabetic foot ulcer and had exposures of bone or tendon structures. Ulcers were located around great toe in four patients, 4th toe in one and 5th toe in two. Three patients had osteomyelitis of metatarsal or phalanx. After appropriate control of infection by serial wound debridement and intravenous antibiotics, lateral arm flap was applied to cover remained soft tissue defects. Posterior radial collateral artery of lateral arm flap was reanastomosed to dorsalis pedis artery of recipient foot by end to side technique in all cases in order to preserve already compromised artery of diabetic foot. All flaps were designed over lateral epicondyle to get longer pedicle and averaged pedicle length was 8 cm. Two cases were used as a sensate flap to achieve protective sensation of foot. All flaps survived and provided satisfactory coverage of soft tissue defects on diabetc foot ulcers. All patients could achieve full weight-bearing ambulation. No patients has had recurrence of infection, ulceration and further toe amputations. There were three complications, a delayed wound healing of flap with surrounding tissue, a partial peripheral loss of flap and a numbness of forearm below donor site. All pati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clinical results, especially preserving their toes and could return to the previous activity levels. Lateral arm free flap could be recommend for infected diabetic foot ulcers around toes, to preserve toes, coverage of soft tissue defect and control of infection with low donor site morbidity.

  • PDF

Treatment of Large and Massive Rotator Cuff Tears: Does Infraspinatus Muscle Tear Affect Repair Integrity?

  • Choi, Sungwook;Yang, Hyunchul;Kang, Hyunseong;Kim, Gyeong Mi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2권4호
    • /
    • pp.203-209
    • /
    • 2019
  • Background: Clinical outcomes and prognosis of large and massive rotator cuff tears are known to be unpredictable not only in degeneration of the rotator cuff, but also due to a high rate of retear. Methods: Totally, 81 patients who had undergone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from May 2008 to February 2016 were evaluated in our study. Clinical and functional evaluations were performed with the Constant score and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es (UCLA) score, as well as full physical examination of the shoulder. All patients were confirmed to ha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endon healing at least 1 year postoperatively. Results: The average age at the time of surgery was 65 years (range, 47-78 years). The average duration of postoperative time in which a follow-up MRI was performed was 36.1 months (range, 12-110 months). Large tears were present in 48 cases (59.3%) and massive tears in 33 cases (40.7%). Overall, there were 33 retear cases (40.7%). All the average clinical outcome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the last follow-up (p<0.001), although repair integrity was not maintained. Compared to type A, types C, and D of the Collin's classification showed significantly higher retear rates (p=0.036). Conclusions: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yields improved clinical outcomes and a relatively high degree of patient satisfaction, despite the repair integrity not being maintained. Involvement of the subscapularis muscle or infraspinatus muscle had no effect on the retear rate.

Effects of steroid injection during rehabilitation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 Ha, Joong-Won;Kim, Hyunkyo;Kim, Seong Hu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4권3호
    • /
    • pp.166-171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steroid injections during the rehabilitation period after arthroscopic rotator cuff repair (ACRC). Methods: Among patients who underwent ARCR, 117 patients who met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re enrolled. Pain and range of motion (ROM) recovery at the 3-, 6-, and 24-month follow-up visits and functional outcome at the 24-month follow-up were compared between 45 patients who received ultrasound-guided subacromial steroid injection at postoperative week 4 or 6 and 72 patients who did not. Functional outcome was assessed using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score and Constant score. Healing of the repaired tendon and retear were observed at the 6-month follow-up via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r computed tomography (CT) arthrography. Results: At the 3-month follow-up, the steroid injection group showed lower visual analog scale scores than the control group (p<0.05) and showed faster recovery of forward flexion and internal rotation (p<0.05). From the 6-month follow-up, the two groups did not show differences in pain and ROM, and the ASES score and Constant score also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at the 24-month follow-up. The two groups did not differ in retear rate as determined by MRI or CT arthrography at the 6-month follow-up. Conclusion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ultrasound-guided subacromial steroid injection at 4 or 6 weeks after ARCR leads to quick pain reduction and ROM recovery until 3 months after surgery. Therefore, subacromial steroid injection is speculated to be an effective and relatively safe method to assist rehabilitation.

회전근 개 판분리 파열에 따른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술의 결과 (The results of arthroscopic repair according to the delamination of rotator cuff)

  • 구정회;조형래;박만준;김정철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61-68
    • /
    • 2011
  • 목적: 전층 회전근 개 파열의 관절경하 봉합술 시 관찰되는 회전근 개 판분리 현상의 유무에 따른 술 후 임상적 결과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3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회전근 개 전층 파열로 관절경하 이열 봉합술을 시행한 48예(남자 31, 여자 17, 평균나이 57.6세, 범위 45~68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파열 크기는 2.8 cm(범위: 1.2~3.6 cm) 이었고 판분리 유무에 따라 봉합법을 달리하여 판분리가 있는 경우 점액낭 층과 관절면 층을 각각 구분하여 봉합하였다. 술 후 평균 추시 기간은 26개월(범위: 18~33)이었으며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ASES), University of California at Los Angeles (UCLA) 점수와 등속성 근력 평가를 이용하여 기능적 결과를 판정하였고 술 후 평균 8개월(범위: 6~13)에 촬영한 자기 공명 영상을 이용하여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을 판정하였다. 관절경하에서 관찰된 판분리 현상의 양상과 나이, 성별, 이환 기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 재 파열 빈도와의 상관 관계를 판정하였다. 결과: 술 후 44예(91.7%)에서 견관절의 기능적 호전을 보였다. 관절경 소견 상 48예 중 15예에서 회전근 개의 판분리(31%)가 관찰되었으며 대부분 내측과 후내방으로 퇴축되어 있었고 분리된 두 층 중 관절면 층이 더 두꺼운 경우가 8예(53%), 점액낭층보다 근위부 및 후내방으로 전위된 경우가 9예(60%)이었다. 최종 추시 상의 기능적 점수는 판분리 현상의 유무와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성별, 이환 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술 후 만족도는 판분리 현상과 상관 관계가 없었으나 고령일수록 판분리 현상이 더 많이 관찰되었다(p=0.041). 술 후 촬영한 29예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 상 완전치유가 14예(48%), 부분치유가 9예(31%)이였으며 6예(21%)에서 봉합부의 완전 재파열이 발생하였으나 이 중 50%는 임상적 결과가 양호로 판정되었다. 추시 자기 공명 영상 상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에서는 79%(15/19),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는 80%(8/10)에서 봉합부가 치유된 것으로 판정되어 판분리 현상이 있는 경우의 복층 이열봉합술은 판분리 현상이 없는 경우의 단층 이열봉합술과 유사한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이 관찰되었다(p=0.165). 결론: 관절경하 회전근 개 봉합 시 판분리 현상은 본 연구에서 약 31%이였으며 이는 고령에서 더 흔히 관찰되었다. 성별, 이환기간, 술 전 파열의 크기, 기능적 결과 및 술 후 만족도에 있어 판분리 파열의 영향은 없었으며 봉합부의 해부학적 연속성도 판분리 현상이 없는 회전근 개 파열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 PDF

관절경적 2열 고정 회전근개 복원술 후의 임상 결과 및 CT 관절조영술을 이용한 건의 치유 평가 (Clinical Outcomes After Arthroscopic Double-Row Rotator Cuff Repair and Evaluation of Cuff Integrity by CT Arthrography)

  • 조현철;김제균;윤강섭;이지호;강승백;이재협;한혁수;이승환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2호
    • /
    • pp.199-206
    • /
    • 2009
  •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의 임상 결과는 관혈적 복원술의 결과에 비견될 만큼 우수하다는 많은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복원된 건의 치유 상태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관절경적 2열 고정술 후의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 상태를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임상 결과와 건의 치유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관절경적 2열 고정술을 이용하여 회전근개 복원술을 시행받고 최소 1년 이상의 추시 관찰을 받은 환자 중 건의 치유 상태 확인을 위해 전산화 단층 촬영 조영술을 시행한 27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57세였으며 남자 11명, 여자 16명이었다. 술 전 및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거상력, 이환 기간, 그리고 여러 종류의 임상 점수를 측정하였으며, 수술 중 파열의 시상면 및 관상면의 크기, 이환 건의 범위를 측정하였다. 술 전 자기공명 영상 관절 조영술, 술 후에는 전산화 단층 촬영 관절 조영술에서 극상근 및 극하근의 위축정도를 분석하였으며 건의 연속성을 통한 건 치유 상태를 분석하였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 재파열, 그리고 건의 연속성은 있으나 부분적인 조영제 침투가 보이는 불완전 치유의 3단계로 구분하였다. 또한 환자군을 전향적으로 추시하여 중, 장기적인 결과를 추시할 예정이다. 결과: 파열의 관상면 및 시상면 상 크기 중, 더 큰 것을 기준으로 파열의 크기를 분류하였고, 대상 환자 중 소파열이 1례, 중파열이 15례, 대파열 5례, 광범위 파열이 6례이었으며, 시상면에서의 평균 파열의 크기는 29.22 mm 이었다. 관상면에서의 크기는 평균 22.72 mm 이었으며, 술전 극상근 위축이 12례에서, 극하근 위축은 2례에서 관찰되었다. 술 후 1년에 동통 점수, 관절 운동 범위, 전방 거상력, 그리고 임상 점수는 모두 의미있게 호전되었으며 술 후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는 80.38점이었다. 건의 치유 상태는 치유가 48.2%, 불완전 치유가 11.1%, 재파열이 40.7%이었으며, 근위축은 극상근이 8례, 극하근이 1례로 술 전에 비하여 약간의 호전을 보였다. 결론: 2열 고정술을 이용한 관절경적 회전근개 복원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환자 만족도 또한 높았다. 그러나 건이 완전 치유된 경우가 48.2%로 비교적 낮아 이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의 다발성 황색종 - 1례 보고 - (Multiple Xanthomatosis in Familiar Hypercholesterolemia Patient - A case report -)

  • 이승구;이화성;문찬웅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41-46
    • /
    • 2000
  • 다발성 황색종을 보이는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 1례를 경험하고 수술 및 내과적 치료를 병행하였으며, 계속 추적관찰 중이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에 보고하고자 한다. 전신 22 곳에 다발성 황색종을 보이는 26세 남자의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 환자에서 17군데의 황색종을 수술적으로 절제하고,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대하여는 내과적 약물치료를 병행하였으며, 술 후 13개월 이상 추적 관찰하였다. 환자는 정상적인 수술창의 치유과정을 보였고, 술 후 Simvastatin 약물치료를 병행하고 있으며, 1년 후 최종추시시 종괴의 재발은 없었으나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치료는 미세한 변화만을 보여 계속 내과적 추적관찰 중이다.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은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증가, 건 황색종 및 관상동맥 질환을 특징으로 하며, 상염색체 우성으로 유전되는 지질대사의 장애를 보이는 질환이다. 황색종은 보통 10대에 처음 발견되고 조기 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으며, 특히 종골건 황색종은 가족성 고콜레스테롤혈증의 첫 번째 임상징후로 나타날 수 있다. 고콜레스테롤혈증은 관상동맥경화증의 위험이 높아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며, 이에 정형외과 의사도 황색종의 수술적 제거외에 이러한 숨어 있는 질환을 진단할 수 있어야 하겠다.

  • PDF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봉합술 (Massive Rotator Cuff Tear Repair)

  • 신상진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3권1호
    • /
    • pp.167-174
    • /
    • 2010
  • 목적: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파열단의 내측 퇴축, 근위축 및 지방 변성과 함께 주변 조직과의 유착 등으로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본 종설에서는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여러 가지 치료 방법 중 봉합술에 대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임상 결과 향상과 재파열율을 감소시키고 치유력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 봉합술의 선택은 환자의 나이, 동반 질환, 통증, 운동 범위 감소, 근력 약화 등의 임상 증상 및 재활 의지 등 환자와 관련된 요인과, 회전근 개 파열 기간, 크기, 퇴축 및 지방 변성 정도 등은 회전근 개와 관련된 요인을 고려하여 선택해야 한다. 결과: 조직의 가동성이 떨어져 해부학적 봉합이 어려운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주변 조직 유리술과 간격 활주 방법으로 가동성을 증가시켜 봉합할 수 있다. 주변 조직 유리술을 시행하고 회전근 개의 가동성을 증가시켜도 해부학적 봉합이 불가능한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은 부분 봉합, 변연 수렴 술식 및 상완 이두건 절제 및 고정술 등의 대체 술식을 고려할 수 있다. 광범위 회전근개 파열 환자에서 견봉하 감압술 및 회전근 개 봉합술에 관한 여러 보고는 통증 감소, 견관절 기능 및 근력 회복 등 만족할만한 임상 결과를 보고하고 있으나 장기 추시 결과 높은 재파열율이 관찰되고 있다. 결론: 광범위 회전근 개 파열의 치료는 아직까지 높은 재파열 발생율로 해결해야 할 과제가 많으나 광범위 파열의 병인, 진행 과정 및 임상 양상에 대한 이해와 재파열 예후 인자 분석 등을 통해 향상된 치료 성적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견관절 충돌 증후군 및 회전근 개 파열의 병인 (Impingement Syndrome & Rotator Cuff Tear: Etiology)

  • 조남수;이상훈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72-78
    • /
    • 2012
  • 회전근 개는 비교적 좁은 견봉하 공간에 위치하며 신체의 다른 관절에서와 마찬가지로 노화에 따른 구조적인 변화를 겪게 된다. 일단 회전근 개 파열이 발생하면 파열된 건의 자연 치유는 기대하기 힘들며 다양한 요인들이 이 질환의 경과에 관여한다. 파열된 건 섬유는 지속적인 긴장 하에 놓여 파열의 크기는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하는 것이 보통이고 전형적으로 파열부의 퇴축이 진행된다. 영상 검사상의 소견과 증상의 발현과는 서로 상관 관계가 크지 않고, 견봉하 점액낭염 또는 관절와 상완 관절의 정상적인 역학에 변화가 초래되어 증상이 발생한다. 회전근 개 질환의 병인과 관련하여 많은 의견들이 있다. 회전근 개 질환이 실제 동일 경과를 밟는 일관된 양상을 보이기 보다는 각기 다른 경과를 보이는 이 질환의 다양성 때문에 그 병인과 관련된 다양한 관점이 있음을 부분적으로 설명하게 해 준다. 회전근 개 질환의 발병 원인은 노화에 따른 퇴행성 변성으로 대표되는 내인성 요인과 역학적 요인, 즉 외인성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이들은 서로 상호 작용을 하면서 질환을 진행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회전근 개 질환의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회전근 개의 구조, 기능, 병태 생리, 그리고 이 질환의 자연 경과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 PDF

골안정성 결손을 가진 Bankart 병변에 대한 경 골-유사 교량형 봉합술식 - 술기 보고 - (A Suture Bridge Transosseous-Equivalent Technique for Bankart Lesions with Deficient Bony Stability - Technical Note -)

  • 최창혁;김신근;장일웅;채승범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79-182
    • /
    • 2009
  • 목적: Bankart병변에서 봉합나사못을 이용한 관절경적 치료는 관절와 가장자리에 점고정(point fixation)을 하여, 관절와 골 결손시에 적절한 부착부 족문(foot print)치유를 이루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저자들은 골성 Bankart병변에서 나사못 고정으로 인한 점접촉의 단점을 피하고 관절순의 교차압박을 통해 기계적 안정성을 개선시킬수 있는 경골-유사 교량형 봉합술식을 소개하고자 한다. 수술 술기: 본 술식은 교량형 봉합술식을 통한 경 골-유사 회전근개 봉합술에서 응용되었으며, 이는 부착부 족문과 건 사이 평균압력과 압력이 가해지는 접촉면적을 개선시킨다. 골성 Bankart 병변의 경우 관절와 부착부의 돌출된 골병변은 제거하거나 다듬어주며, 골편이 가동성이 있는 경우 관절순과 함께 분리시킨다. 이후 2개의 나사못(3.0 mm Biofastak, $Arthrex^{(R)}$, Naples, FL)을 골성 Bankart병변 위, 아래 부위의 내측 연에 삽입한다. 관절와를 적당한 두께로 덮을수 있도록 하 상완관절와인대 부근 관절낭순의 내측에 봉합갈고리를 이용하여 봉합사를 각각 통과시켜 mattress봉합을 시행한다. 교량형 봉합을 위해서, 전방 관절와연의 관절측 가장자리에 3.5 mm pushloc 나사못 ($Arthrex^{(R)}$, Naples, FL) 구멍을 만든 후 먼저 원위 교량형 봉합을 시행하고, 이어 근위 교량형 봉합을 시행함으로써 근위방향으로 관절순을 가동시킬 수 있다. 본 술식은 나사못 고정으로 인한 점 접촉의 기술적 단점을 피하고 관절순 교차압박을 통해 간격형성을 감소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