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9초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한 설계강우의 수문학적 특성 분석 (An Analysis on Hydrologic Characteristics of Design Rainfall for the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

  • 이정식;이재준;박종영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1호
    • /
    • pp.67-80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인 Mononobe 분포법, Yen과 Chow 분포법, Huff 분포법과 heifer와 Chu 분포법을 강우-유출모형인 SCS 방법, Nakayasu 방법과 Clark 방법에 적용하여 최대 유출상황을 발생시키는 설계강우 시간분포모형을 결정하였다. 각 강우-유출모형에 균등강우강도를 적용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첨두유량의 변동성을 검토하였다. 대상유역에 적용한 강우-유출모형의 결과를 분석하여 유역별 및 강우-유출모형별로 최대 유출상황을 발생시키는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을 정리한 결과 전체적으로 Yen과 Chow 분포법의 후방집중형으로 나타났다. 결정된 시간분포모형을 바탕으로 지속기간의 변화에 따른 첨두유량의 변동성을 파악한 결과 확률강우강도식의 형태에 따라 최대유량을 발생시키는 지속기간에 변동성이 보여지고 있으며, 강우-유출모형에 의한 영향보다는 확률강우강도식의 형태와 I-D-F곡선에 따라 첨두유량의 변동성이 크게 나타났다.

  • PDF

감천유역에 대한 강우양상 발생 영향인자의 규명 및 해석 (Identific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Occurrence of Temporal Patterns of Rainfall in Gamcheon Watershed)

  • 안기홍;조완희;한건연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77-85
    • /
    • 2009
  • 우리나라는 기후의 계절적 변화가 뚜렷하며 지역별 시간에 따른 강우발생의 특성이 다양하다. 이러한 계절적, 지역적 강우특성의 반영은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안정성 평가 시 매우 중요하다. 이때 설계 강우량의 선정을 위해 적절한 강우 지속시간, 강우량, 그리고 시간에 따른 강우양상을 결정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신뢰도 평가 시 설계강우에 대한 시간적 강우양상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사상을 분리하여 각 강우사상의 무차원화를 실시하였고 이를 4가지 양상으로 구분하여 감천유역의 시간에 따른 강우발생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분석은 강우관측소의 지리학적 위치, 강우량, 강우 지속시간, 계절, 태풍 및 장마, 건 우기에 관련된 시간에 따른 강우양상의 발생빈도의 상관관계를 통한 분할표에 의한 군집분석을 통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해당 지역에 대한 시간에 따른 강우양상 발생의 영향인자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는 결국 수공구조물의 설계 및 평가뿐 만 아니라 유역의 홍수대책수립 시 매우 중요한 사전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도시유역에서 침투시설의 우수유출저감효과 분석 (An Analysis of Runoff Reduction Effect of Infiltration Facilities in Urban Area)

  • 이재준;김호년;곽창재;이상원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628-631
    • /
    • 2007
  • One of the structural measures for the peak flow reduction is infiltration facilities. There are many types in infiltration facilities - infiltration basin, trench, bed, porous pavement, percolated subdrain, dry well. In this study runoff reduction effect of infiltration trench is analyzed by WinSLAMM. Runoff reduction effect is investigated by each design rainfall and temporal pattern of rainfall particularly. The biggest reduction is shown in Yen and Chow's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and the smallest reduction is shown in Huff's first quartile pattern. Runoff reduction rate is presented about 6 to 14 percentage, and the larger return period, the smaller runoff reduction rate.

  • PDF

Design of Detention Pond and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Seoul

  • Lee, Jong-Tae;Yoon, Sei-Eui;Lee, Jae-Joon
    • Korean Journal of Hydrosciences
    • /
    • 제5권
    • /
    • pp.33-43
    • /
    • 1994
  •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and to utilize it for the design of detention pond with pump sta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duration and temporal distribytion of the design rainfall, Huff's quartile method is used for the 9 cases of durations (ranges from 20 to 240 minutes) with ten years return period, and the ILLUDAS model is used for runoff analysis. The storage ratio, which is the ratio of maximum storage amounts to total runoff volume, is introduced to determine the criticalduration of design rainfall. The duration which maximizes the storage ratio is adopted as the critical duration. This study is applied to 18 urban drainage watercheds with pump station in Seoul, of which the range of watershed area is 0.24~12.70$km^2$. The result of simulation shows that the duration which maximizes storage ratio is 30 and 60 minutes on the whole. It is also shown that the storage ratios of 2nd - and 3rd-quartile pattern are larger than those of 1st- and 4th-quartile pattern of temporal distribution. A simplified empirical formula for Seoul area is suggested by the regression analysis between the maximum storage ratio and the peak ratio. This formula can be utilized for the preliminary design and planning of detention pond with pump station.

  • PDF

댐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에 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Calculation Method for Design Flood Discharge of Dam)

  • 이재홍;이정규;김태웅;강지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2호
    • /
    • pp.941-95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다목적 댐을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에 의한 과거의 홍수량 산정방식과 최근의 홍수량 산정방식을 유역 면적 규모별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홍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인자로 강우량, 강우의 시간분포, 유효우량 산정방법, 강우-유출 모형, 매개변수 추정 및 기저유량 등을 선정하여 각 인자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홍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의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과 과거의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이 유역면적 규모에 따라 다양한 변동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는데, 강우의 시간분포 변경이 홍수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분석되었고, 최근 기상이변에 의한 강우량의 증가와 단위도의 매개변수 추정방법의 변경이 홍수량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Midsize Catchment)

  • 박종영;신창동;이정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9호
    • /
    • pp.695-706
    • /
    • 2004
  • 본 연구는 실측자료가 확보된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최대 첨두유량을 발생시키는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을 밝혀내고, 결정된 시간분포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유역특성과 임계지속기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50-5,000$\textrm{km}^2$의 44개 유역을 통하여 수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S 유효우량 산정방법으로 결정된 유효우량을 사용하여 최대 첨두유량을 발생시키는 시간분포모형은 Huff의 4분위 시간분포모형으로 나타났다. 유역면적 50-600$\textrm{km}^2$인 유역에서는 24시간 강우지속기간의 첨두유량과 임계지속기간의 첨두유량은 유사한 값을 보이며, 유역면적 600-5,000$\textrm{km}^2$인 유역에서는 48시간 강우지속기간의 첨두유량과 임계지속기간의 첨두유량이 유사한 값을 보였다. AMC III 조건의 유효우량에 대하여 높은 상관성을 지니는 유역면적과 임계지속기간의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유역면적 50-5,000$\textrm{km}^2$이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식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위도 특성치를 이용한 무차원 회귀식을 유도하였다.

우수관거 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for the Design of Storm Sewer in Seoul)

  • 이재준;이정식;전병호;이종태
    • 물과 미래
    • /
    • 제26권2호
    • /
    • pp.49-57
    • /
    • 1993
  • 본 연구는 하수관거 설계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속기간내의 시간적 강우분포형은 Huff의 4분위법에 의하였으며, 20분~240분의 9개의 지속기간을 10년 빈도강우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관내의 18개 유수지 배수구역을 대상으로 해석을 시도하였으며, 유출해석을 위하여 ILLUDAS 모형을 이용하였다. 하수관거의 설계수문량 기준이 되는 첨두유출량을 최대로 발생시키는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은 대체로 30,60분으로 판단되었다. 계획강우의 시간적 분포형별로 임계지속기간을 설정할 수 있도록 첨두유량-유역면적-임계지속기간의 관계도를 제시하였다.

  • PDF

소규모 유역에서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의 임계지속기간 분석 (The Analysis of Critical Duration of uncontrolled single detention facility in Small Catchment)

  • 박종영;신창동;이정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17-28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소규모 유역에서 홍수 저류시설물과 홍수 조절시설물 사이의 임계지속기간을 평가하는데 있다. 4개 소규모 유역을 통하여 수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효우량은 NRCS 유효우량 산정방법으로 산정하였다. 홍수 저류시설물과 홍수 조절시설물의 임계지속기간은 허용방류량 고정개념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허용방류량 고정개념을 이용한 경우 최대 저류비를 발생시키는 시간분포는 Huff 2분위 시간분포로 나타났으며, 자연방류형 단일저류지에서 홍수 조절시설물의 임계지속기간은 홍수 저류시설물의 임계지속기간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댐 설계홍수량 산정방법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Calculation Method of Design Flood Discharge of Dam)

  • 이재홍;문영일;백유현;장광진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77-28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다목적 댐 전체를 대상으로 강우-유출 모형에 의한 과거의 홍수량 산정방식과 최근의 홍수량 산정방식을 유역 면적 규모별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홍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기본인자로 강우량, 강우의 시간분포, 유효우량 산정방법(손실분석), 강우-유출 모형, 매개 변수 추정 및 기저유량 등을 선정하여 각 인자별 민감도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홍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최근의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과 과거의 방법으로 산정한 홍수량이 유역면적 규모에 따라 다양한 변동폭으로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는데, 강우의 시간분포 변경이 홍수량을 감소시키는 원인으로 분석되었고, 최근 기상이변에 의한 강우량의 증가와 단위도의 매개변수 추정방법의 변경이 홍수량을 증가시키는 가장 큰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 PDF

유수지 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Design of Edtention Pond and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Seoul)

  • 이종태;윤세의
    • 물과 미래
    • /
    • 제26권1호
    • /
    • pp.115-124
    • /
    • 1993
  • 본 연구는 유수지.배수펌프장설계를 위한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의 결정 및 이에 근거한 계획 유수지.배수펌프장의 적정규모 추정에 관한 것이다. 계획강우의 지속기간과 시간적 분포형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20~240분 범위의 9가지 경우의 지속기간들과 Huff의 4분위법에 의한 4종류의 강우분포들을 검토대상 강우로 선택하였으며, 유출해석모형으로는 ILLUDAS를 사용하였다. 임계지속기간 결정기준으로서 저류비(총유출량에 대한 최대저류량의 비)의 개념을 도입하였으며, 이 값을 최대로 하는 지속기간을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배수구역면적이 $0.24~12.7\textrm{km}^2인$ 서울시의 18개 유수지.배수펌프장을 선정하였으며, 분석 결과 전반적으로 30분과 60분이 임계지속기간으로 나타났다. 도한 Huff의 제 2, 3분위형의 경우가 제 1, 4분위형 보다 큰 저류비를 보여주었다. 또한 임계지속기간을 갖는 강우조건에서의 최대저류비와 첨두입출비간의 회귀식을 제시하였다. 이 관계식은 유수지 배수펌프장 계획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