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evision drama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4초

드라마 <송곳>의 기호학적 분석 : 이데올로기적 의미를 중심으로 (A Semiotic Analysis of JTBC : Focusing on Significance of Ideology)

  • 태보라;최믿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54-62
    • /
    • 2016
  • 이 연구는 사회적 갑을관계, 비정규직, 노동조합, 파업, 임금 등 시의성 있는 사회 이슈를 다룬 웹툰 <송곳>을 원작으로 제작된 드라마 <송곳>의 스토리텔링을 기호학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소쉬르가 제시한 계열체, 통합체 개념을 바탕으로 드라마의 서사적 구조와 인물 및 소재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나아가 드라마가 사회적 이슈를 어떠한 방식으로 재현하는지, 어떠한 담론 요소를 구성하는지 알아보고자 작품 속에 투영된 이데올로기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비판적 다원주의(Critical Pluralism) 접근방식으로서 기존의 지배 이데올로기를 비판하는 저항 이데올로기가 강하게 드러났다. 둘째, 성역할, 영웅, 가족 이데올로기와 같은 고전적 이데올로기를 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자기이해와 상호이해, 이기적 편향 등의 인간 성찰적 이데올로기가 확인되었다.

아메리칸 메소드를 통한 디지털영상연기 연구 - 리 스트라스버그의 감정의 기억을 중심으로 (Investigation of american method in digital film acting - Focus on lee strasberg's affective memory)

  • 유동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1007-1012
    • /
    • 2014
  • 본 연구자는 디지털 영상 연기 중 TV드라마와 영화 연기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론 중 하나로 아메리칸 메소드(american method)를 제안하고자 한다. 아메리칸 메소드 훈련 방법 중 리 스트라스버그(Lee Strasberg, 1901-1982)의 정서적 기억은 디지털카메라 매체 연기를 하는데 있어서 제작 환경에서 오는 어려움들을 극복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론이다. TV드라마와 영화의 제작 환경에서 발생하는 특성과 쇼트의 크기, 편집에서 오는 디지털카메라 매체의 독립적 의미 생성은 배우가 연기를 하는데 있어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이다. 배우는 감정의 기억 훈련을 통해 디지털카메라의 매체적 특성에서 오는 어려움을 극복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연기를 도와줄 수 있다.

단막극 형태로 서사가 종결되는 청춘 웹 드라마의 내러티브 연구 (A Study on the Narrative Closure and Continuing Serial form of Korean Youth Web Series)

  • 목윙섬;변혁
    • 트랜스-
    • /
    • 제13권
    • /
    • pp.91-116
    • /
    • 2022
  • 웹 드라마는 인터넷 시대의 산물이라고 한다. 웹 드라마는 전통 텔레비전 드라마와는 다른 10대와 20대 젊은이들이 선호하는 일상적인 내용을 통해 인기를 끌고 주목을 받았다. 스낵 컬처로 인하여 많은 온라인 영상 플랫폼이 웹 드라마를 제작하기 시작했다. 웹 드라마는 스낵 컬처의 영향으로 서사가 종결되는 단막극 형태를 사용하고, 전통 텔레비전 드라마의 선형구조와 다른, 줄거리와 서사가 종결되는 단막극 형태의 영향을 받아 전통 텔레비전 드라마와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가장 큰 청춘 웹 드라마 제작회사 《플레이리스트 오리지널》의 청춘 웹 드라마를 통하여 서사가 종결되는 단막극 형태로 구성되는 청춘 웹 드라마의 특성을 살펴보고 청춘 웹 드라마의 서사가 종결되는 단막극 형태와 비선형 내러티브로 인해 나타나는 서사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TV 드라마 주인공 직업의 변화가 스토리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V Drama Main Character Job on Story)

  • 노동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226-235
    • /
    • 2017
  • 방송 드라마의 발전 과정에서 나타나는 남녀주인공의 직업은 다양해지고 있으며, 점차 전문직이나 전문경영인, 그리고 경찰 등의 특수 직업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이성 간의 사랑 중심 스토리에서 남자주인공의 직업 중심 스토리가 핵심이 되는 경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과거 드라마에서 직업이 드라마 스토리의 단순 배경으로 기능한 반면, 최근에는 세세하게 묘사되는 직업의 세계에서 자연스럽게 갈등이 구축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멜로 장르의 드라마가 주류를 이루던 방송드라마 환경이 점차로 전문직업을 소재로 한 장르적 특성이 부각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향후 드라마의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특정 직업 세계에 대한 작가의 전문성과 이를 토대로 한 논리적 내러티브 구성과 치밀한 영상처리가 수반되어야 한다. 이는 시청자들에게 현실감을 제공하는 필요하고도 충분한 조건이기 때문이다.

대장금(大長今)' 관련 기록의 현대적 수용 - 문화콘텐츠로의 생성과 전개 양상 분석 - (The related record about 'Daejanggeum' and its modern acceptance)

  • 남은경
    • 동양고전연구
    • /
    • 제43호
    • /
    • pp.33-64
    • /
    • 2011
  • 2003년 텔레비전 사극(史劇)으로 방영된 드라마 <대장금(大長今)>은 원래 조선조 "중종실록(中宗實錄)"에 등장하는 궁중 여의(女醫)에 관한 단편적 역사기록을 토대로 만들어낸 이야기이다. 허구와 역사적 사실을 결합해 만들어낸 사극 <대장금>은 엄청난 인기를 끌면서 방송 드라마로만 끝나지 않고, 소설과 뮤지컬, 그리고 어린이용 애니메이션으로 재탄생하였다. 또한 드라마 촬영 장소는 테마파크로 만들어져 관광객을 유치하였고, '대장금'이란 이름은 각종 상품명으로 쓰이며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해내었다. 무엇보다 이 드라마는 해외에도 수출되어 한류(韓流) 드라마의 대표작이 되었다. 이렇듯 <대장금>은 과거의 고전 자료가 다양한 현대적 문화콘텐츠로 활용되어 성공할 수 있음을 증명한 대표적인 작품이라 할 수 있다. <대장금>의 성공 원인을 분석해보면 현대적인 새로운 여성인물을 창조해내었고, 웰빙을 추구하는 시대 흐름에 맞는 소재의 선택, 기존 사극과는 스토리 전개로 드라마 시나리오가 매우 탄탄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또한 드라마 방영 전부터 '원소스멀티뉴즈(one source multi use)'의 방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화콘텐츠들을 제작해낼 준비를 함께 했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러한 대장금의 성공은 우리 고전 연구자에게 '고전의 현대적 수용'이라는 측면에서 시사하는 바 크다.

일본 시청자의 한국 드라마 시청에 관한 연구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 성과를 중심으로- (Analysis of Korean Drama Viewing in Japanese Viewers -Effects of Historical Recognition with Korea and Japan-)

  • 김미선;유세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44-54
    • /
    • 2014
  • 본 연구는 한류 확산의 진원지이자 한국 드라마 수출의 주요국인 일본을 대상으로 일본 시청자들의 한국 드라마 시청과 한국에 대한 태도 형성 관계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한국과 일본은 과거 지배-피지배라는 역사적 특수성을 가지고 있는바, 일본 시청자들의 한일 역사 인식에 따른 한국 드라마 시청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 드라마 주시청자층인 일본 여성 10~60대 250명을 대상으로 현지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긍정적인 한일 역사 인식은 한국 드라마 시청의 높은 몰입행위를 나타냈고, 높은 몰입행위는 전체적인 한국 드라마 평가와 한국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역사 인식이 한국 드라마 수용의 주요 영향 요인임을 밝힌 연구결과는 발전적인 한국 드라마 유통을 위해 일본 시청자의 왜곡 없는 한일 역사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상호 문화외교적 정책방안이 재고되어야 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김수현 홈드라마의 장르문법과 젠더 이데올로기 <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Category Grammar and Gender Ideology of the Su-Hyeon Kim's Home-drama Focused on <Mom's dead upset>)

  • 유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102-112
    • /
    • 2010
  • 본 연구는 학문적 연구 대상에서 소외돼온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에 관한 후속 연구로, 한국 텔레비전 드라마에 홈드라마와 멜로드라마라는 장르 개념을 구축한 김수현 작가 홈드라마의 장르 차별성과 이데올로기 경향성을 논하고 있다. 김수현 작가의 멜로드라마에 관한 선행 연구에 이어 홈드라마 장르 연구를 시도한 첫 번째 목적은 기능주의적 사회규범 잣대의 편협한 단편적 평가를 재고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페미니즘 시각에 매몰된 평가에 의해서 김수현 홈드라마가 가부장 이데올로기를 옹호한다는 평가를 재고하기 위해서이다. 이 같은 평가야말로, 텔레비전 드라마 작가 연구의 부재라는 현실의 반증이기도 하다. 2008년 화제작 <엄마가 뿔났다>를 중심으로 한 연구 분석 결과, 김수현 작가의 홈드라마 장르문법은 안정적, 변동적 서사 전략을 적절히 융합, 구사함으로써 대중적 소구력을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가족과 중층적 인물 구성, 일상성을 기초로 한 사실주의와 해피엔딩으로 끝나는 가족애의 주제 의식의 안정적 장르 관습에 시대상을 반영한 1대 가부장의 변화, 2대 전업주부의 역할 변화, 3대 결혼 풍속도의 변화라는 변동적 서사전략을 융합 구사함으로써 장르문법의 차별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연구 대상 드라마의 갈등 유형과 갈등 관련 젠더 역할 분석 결과, 김수현 작가는 홈드라마 장르를 통해 그간의 남성 지배 가부장 젠더 이데올로기에 관한 진보적, 보수적 경향성 논의 보다는 그 저변에 자리한 작가의식, 즉 자본주의 이데올로기에 붕괴돼 가는 인간성의 회복과 사랑과 이해,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가족애를 지향하는 인본주의적 경향성을 보인다.

지상파 TV 방송프로그램에 나타난 식품영양정보의 질적 분석(2002-2003년) - 뉴스, 건강정보 프로그램, 드라마 (Qualitative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ffered in Television Programs(year 2002-2003) -Newscastings, Health Information Programs and Dramas)

  • 문현경;장영주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11권1호
    • /
    • pp.67-85
    • /
    • 2005
  • The study aimed to perform the qualitative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offered in TV program by monitoring newscastings, health-related programs giving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dramas for family, educa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information programs for elderly in major TV broadcasting station(KBS, MBC, SBS, EBS). In this study, statistical analysis were done for numbers of information items related to health 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Duration of program the main, subject, sources, evaluation criteria of the contents. Results of qualitative monitoring for TV program are as follows. For health-related informations major propotions of subjects for the newscastings were about diseases. Those for health information programs were about foods. Those for children-education programs were about groceries. Those for seniors’ information programs were about eating habits. The analysis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sources for most of programs were interviews with specialist and normal person, and on-the-spot-investingations. For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s those were evaluated as inappropriate, the propotion of news was increased to 72.2% in 2003 from 49.3% in 2002. For health information programs, it was increased to 67.7% in 2003 from 54.0% in 2002. But, in drama the propotion of inappropriate scenes were decreased to 16.2% in 2003 from 63.2% in 2002. In children-education programs, it was 40.0%. In seniors’ information programs, it was 17.9% in 2002. The propotion of cases that the quantity of foods is inappropriate in the food scene of serial drama, decreased to 15.8% in 2003 from 28.6% in 2002. The rate of drinking scenes increased to 11.5% from 10.7%. The rate of smoking scenes decreased to 0.2% from 1.6% due to the broadcasting self-regulation of smoking scenes in dramas. In the newscatings and information programs, reasons of being evaluated as inappropriate was that they didn’t have any practical suggestions and proper intakes. There were also insufficient explanation for technical terminology, different comparison standard of nutritive value, and exaggeration for physiological effect of food. The drama contained a lot of unnecessary scenes of alcohol drinking, coffee drinking, midnight meal, and had more quantity of foods than the quantity needed for persons to the scen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rate of food and nutrition information were high, but the rate of information which was evaluate as appropriate was not sufficient. There are need to improve contents of information and to moniter the contents for consumer.

  • PDF

The Correlation between Online Comments before Broadcasting and Television Content Viewers' Behavior Pattern: The Anchoring Effect Perspective

  • Ma, Alice Kyoungran;Ahn, Jongcha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6호
    • /
    • pp.3023-3036
    • /
    • 2019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elevision (TV) content viewers' behavior influenced by online communication at the choice of new TV series on a terrestrial streaming platform. For exploring the impact of the anchoring effect on the TV content consumption,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irst episode's TV ratings and the data of online comments or reactions. These data were potential audiences' communication, which were generated on the online article three weeks before the first broadcasting began. To avoid the crucial influence by external factors, such as season and social issue, the test was done with eight (8) TV series which have same genre (drama), similar core audience targeting (20-49's women), similar broadcasting period (Jun-Oct 2016), same scheduling (10.00 to 11.00 pm, weekdays) and aired on terrestrial TV platforms. This research found that not only the amount of comments and reactions, but also the attitude about the comments created before broadcasting, positively influence the audiences' decision-making behavior for new TV content choices. This investigation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media economics and management by exploring the media content users' consuming behavior with behavioral economics perspectives (anchoring effect) and making a first step for finding a new effect on the media content consumption.

TV 드라마의 젠더(Gender) 문제에 대한 성별 수용태도 연구 (Gender Differences in the Viewers' Attitude towards the Gender Issues in the Television Drama)

  • 이자혜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1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9-90
    • /
    • 2011
  • 최근 텔레비전 드라마의 소재와 내용이 다양해지면서 드라마 속의 젠더(gender)의 표현 역시 다양화 되고 있다. 기존의 성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다양한 젠더 문제가 제시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사회적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재생산하는 데 있어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는 방송 드라마의 이러한 변화에 대하여 시청자는 어떠한 수용 태도를 보이고 있는지, 특히 젠더 문제의 중심에 있는 남, 녀 성별 수용 태도는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방송 드라마의 수용에 대한 젠더 역학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