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검색결과 1,311건 처리시간 0.027초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ized SMEs R&D Support and Job Creation

  • Bae, Sang-Jin;Ko, Chang-Ryong
    • 융합경영연구
    • /
    • 제6권1호
    • /
    • pp.17-24
    • /
    • 2018
  • Purpose -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continue to grow up without employment by the economy opening, more investment in foreign countries and technical innovation. Nevertheless, SMEs have job creation continuously. As this result, support for SMEs that is the source of job creation has increased attention. However, previous research between SMEs and job-creating is limited to the job creation effect of comparing with large companies, and R&D investment effect including government support. Also, many research provides the different result of correlation with technology innovation and job creation. Therefore, previous research has insufficient to explain job creation by which i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ge and the job-specific workfor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customized R&D support upon job creation by using questionnaires of SMEs R&D service of K-Institution from 2009 to 2013. In detail,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stage and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Also, we added th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and the job-specific workforce. Results - Research result, Job creation had a significant relation to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in product design stage and mass production stage. Also, R&D worker and production worker correlated with the usefulness of customized R&D support. Thes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hiring R&D workers and production workers at the higher technology readiness. Conclus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government's SMEs support policy and the solve employment problems such as youth unemployment.

국가연구개발 환경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 체계: 지능형국토정보기술혁신사업을 중심으로 (A Business Model Development System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Environment: The Case of Korean Land Spatialization Group)

  • 박승욱;홍진원;배상근;김영수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51-78
    • /
    • 2009
  • 최근의 연구개발 사업의 관리는 시장 및 고객지향적인 기술의 개발과 사업화를 통한성과 중심적인 연구개발의 촉진에 초점이 맞춰져 있으며,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서도 이러한 경향은 강하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개발 성과물의 사업화를 위해서는 시장 수요 중심적인 기술개발 노력, 연구개발 계획 및 추진 과정에서의 기술사업화 방안 수립 노력, 외부 기술 수요자와의 의사소통 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활동들은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국가 연구개발 환경에서의 비즈니스 모델 개발을 위한 체계적인 절차를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 연구개발 환경의 특성과 연구 개발자 및 기술사업화 전문가의 관점을 고루 반영하여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할 수 있는 체계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연구개발 사업 성과물에 대한 비즈니스 모델을 개발에 유용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rformance Evaluation of National R&D Invest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Areas

  • Kim, Heung-Kyu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19-125
    • /
    • 2017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to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national R&D investment in IT(Information Technology) areas in terms of paper, patent and commercialization, and seeking way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national R&D investment. This is because the government has focused the national R&D investment on IT areas for some time. For that purpose, we gather data on investments,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for the government sponsored R&D projects in IT areas through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From which, we summarize the investment and performance in terms of papers, patents, and commercializations for each IT area, evaluate efficiency per R&D investment for each IT area, and compare the efficiencies among IT areas. Finally, we drive implications for efficiency enhancement and strategic R&D budget allocation for each IT area.

The Study on Projec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for the Efficient Project Management of Commercialization-Linked Technology Development

  • Kim, Chang-Su;Jang, Bong-Im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5호
    • /
    • pp.597-601
    • /
    • 2011
  • As researches of on scientific technology are considered as a pivotal factor of a national competitiveness,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have extended assistance for commercialization-linked technology development (CLTD) and accordingly various outputs are coming out now. However, the valuable findings from painstaking researches are not sufficiently distributed to or shared with other governmental and public organizations, and businesses. As a result, it could be possible for them to become unknown and unused. Therefore, it is being sensed that a measure to coordinately and systematically manage the information and outputs derived from the research projects is urgently needed. Hence, this study designs PIMS to manage CLTD efficiently and transparently.

국내 우주기술 기반 벤처창업 사례 및 지원정책 연구 (A Study on Cases and Policy for the Venture Business Based on Space Technology)

  • 김일태;천용식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47-50
    • /
    • 2015
  • MSIP(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aning) established the 'spac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plan' at 2012. According to this plan, MSIP and KARI(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are nuturing space-related venture companies so that those companies are increasing from 2013. In addition, MSIP and KARI held space-related idea festivals last two years, and will run start-up program (STAR-Exploration) this year.

Market, Firm, and Project-level Effects on the Innovation Impact of FP RTD Projects

  • Vonortas, Nicholas S.
    • STI Policy Review
    • /
    • 제1권2호
    • /
    • pp.69-88
    • /
    • 2010
  • This paper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the innovation impact of publicly funded R&D projects along three broad dimensions, namely project, firm and market-related factors. In addition to these factors we examine the attributes of the research result per se and aspects of the commercialization process. The observations from empirical and qualitative analyses are based on R&D projects funded by the Fifth and Sixth Research Framework Programmes of the European Union. Firm size, prior experience, innovation culture, the nature of the project itself, explicit intension to commercialize, consortium management and strategy are the factors with the strongest effect on project success, defined in terms of product/process innovation and/or technical knowledge creation. The paper provide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organization, objectives, and management of public programmes that fund R&D and for project and participant selection.

과학기술정보 Knowledge Ecosystem 구축 (Knowledge Ecosystem for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 박경석;김은선;문영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61-364
    • /
    • 2010
  • Knowledge Ecosystem은 지식이 자연생태계와 유사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는 가정과 관점으로부터 출발한다. 이는 지식과 지식 그리고 이를 생성하고 활용하는 주체와 주체가 생태계의 복잡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다양한 진화와 소멸의 과정을 거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이를 현실세계에 반영하여 긍정적 측면에서 지식을 확대재생산하거나 강화하고 부정적 측면을 약화시키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인위적 개입이나 통제보다는 생태계의 자연스러운 현상에 기반하여 이를 활성화하는데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기술정보를 활용하여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신제품개발 및 사업화를 수행하는 과학기술정보 커뮤니티에 Knowledge Ecosystem을 개발, 적용한 사례를 중심으로 시스템의 개념과 성과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신재생에너지 기술혁신 개발과 R&D성과 사업화 촉진 방안 (Innovation Technology Development & Commercialization Promotion of R&D Performance to Domestic Renewable Energy)

  • 이용석;노도환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788-818
    • /
    • 2009
  • 신 재생 에너지는 석탄, 석유, 원자력, 및 천연가스가 아닌 태양에너지, 바이오매스, 풍력, 소수력, 연료전지, 석탄액화 가스화, 해양에너지, 폐기물 에너지 및 기타로 구분되고 있고, 이 외도 지열, 수소, 석탄에 의한 물질을 혼합한 유동성 연료를 의미한다. 세계 선진국들은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기술개발 및 상용화를 위하여 중장기적인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과감한 정책적 재정적 지원을 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에서 지금까지 추진해 온 신 재생에너지 기술개발사업 유형 및 분야별 성과관리 확산, 사업화 추진이 소기의 목적을 제대로 달성하고 있다는 실증적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신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연구는 대체에너지 및 태양열, 태양광, 바이오매스 등 각각의 기술에 대한 개발 보급 현황과 특수한 지역에 대한 타당성 검토 등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관련연구의 검토 결과는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재생에너지 혹은 전체 에너지 공급과 수급의 문제 나아가 특정 분야의 공급능력 향상을 위한 대책 등에 중점을 두고 있고,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확대에 따른 관련 사업의 능력 증대나 사업화 측면의 심층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라고 판단된다. 미국과 영국의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개발 및 보급 지원정책 등은 우리나라도 유사하게 추진하고 있으며, 일본이 태양광 분야에서 주도적인 입장을 취할 정도로 전진한 배경은 정부주도지원, 기업참여, 사회적 이슈화 등을 들 수 있다.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사업화의 계량적 거시경제적 효과분석은 신재생에너지를 중심으로 하는 '에너지원별 비용/편익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에 의한 관련 산업 생산 증대, 부가가치 향상 효과 등을 예측하는 기법을 적용한다.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투자와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및 발전량의 관계는 각각 정비례하고, R&D총투자에 의한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승수에 비해 에너지 발전량 승수가 상대적으로 약간 높았다. 이는 최종 소비재인 에너지 발전량에 대한 기술개발 영향이 크다는 의미이다.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에 대한 R&D총투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정부지원금은 정(+)의 영향이지만 민간투자액은 역(-)의 영향관계로 나타났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에 대한 연구개발 효과가 민간투자 보다 정부지원금에 의해 주도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반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대한 R&D총투자는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정부지원금과 민간투자 모두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발전량에 대한 연구개발 효과가 정부지원금과 민간투자 모두 영향을 미치고 있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의 시사점으로는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사업화 추진에 있어서 정부 지원정책도 중요하지만 민간의 투자와 적극적인 참여가 사업 성공의 관건이라는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

  • PDF

국내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법률 및 제도 분석과 한계점 도출 및 방향성 제안 (Identification of unfavorable clause and directionality through the analysis of legal system of autonomous driving vehiecle in Korea)

  • 안명구;박용석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38-44
    • /
    • 2019
  • 4차 산업혁명이 등장하면서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관심과 함께 상용화를 위한 연구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미국 등 여러 국가들은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자율주행자동차에 관련된 법제들을 마련하거나 기존 법률을 개정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도 자율주행자동차의 상용화를 준비하고 있으나, 관련 법률과 제도에 대한 규정은 부족하다. 이로 인하여 개인 기본권 보호나, 자율주행자동차 사고 시 민형사상 법률 적용이 어려울 뿐 아니라, 해당 사항으로 혼란과 혼선이 생겨 손해배상과 자율주행자동차 발전의 어려움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부족 사항에 관하여 전체적 법률과 제도를 한 번에 분석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주요 관련법률과 제도를 다섯 가지 분류로 규명하고 이 분류에 해당하는 유관 법률과 제도를 열두 개 항목으로 도출하였다. 또한 각 항목들에 대해서 해외 법률 및 제도를 비교 분석하여 국내 법률 및 제도의 한계점을 기술하고 이에 대한 개선 사항을 각각 제안하였다. 추후 각 항에 대한 법률 조항과 제도 개발에 관한 연구가 있을 수 있다.

아이디어박스를 활용한 기술인문융합형 캡스톤디자인 모형개발 (Model Development of Capstone Design for Technological and Humanities Convergence by Using Idea Box)

  • 경종수;최창하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6호
    • /
    • pp.35-43
    • /
    • 2018
  • In many universities, the Capstone Design course aims to educate creativity, teamwork and leadership, and ultimately aims to cultivate practitioners with practical ability required in the industry. Since the introduction of capstone design as a regular course, it has spread not only to engineering but also to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 typical capstone design is usually carried out within a limited range of schedules and budgets within the scope of a major and a subject. In the case of a special-purpose capstone design, it is necessary to find out excellent items aiming at start-up and commercialization at an early stage, It contributes to the achievement of international convention participation, start-up and commercialization. The teaching styles of capstone design such as multidisciplinary capstone design, fusion capstone design, and global capstone design are developed and opera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each type, objectives, curriculum, scope of participation, operation method, performance and so on. In the case of capstone design, it is contributing to increase the achievements such as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conventions, establishment of business and commercialization by early detection of excellent items aiming at start-up and commercialization, development and establishment of support process. Technological and Humanities Convergence Capstone Design Moel is named as the process of designing a four-level idea called "Idea Factory-based Technology-Humannities Fusion Capstone Design Process", and it is used to generate ideas, elaborate ideas, advanced ideas, and commerci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