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ical change

검색결과 631건 처리시간 0.019초

빅데이터 활용 의학·바이오 부문 사업화 가능 기술 연구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demand for medical and bio technology using big data)

  • 이봉문;남가영;강병철;김치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45-352
    • /
    • 2022
  • Conducting AI-based fusion business due to the increment of ICT fusion medical device has been expanded. In addition, AI-based medical devices help change existing medical system on treatment into the paradigm of customized treatment such as preliminary diagnosis and prevention. It will be generally promoted to the change of medical device industry. Although the current demand forecasting of medical biotechnology commercialization is based on the method of Delphi and AHP,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have a generalization due to fluctuation results according to a pool of participa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predict demand forecasting for identifying promising technology based on building up big data in medical biotechnology. The development method is to employ candidate technologies of keywords extracted from SCOPUS and to use word2vec for drawing analysis indicator, technological distance similarity, and recommended technological similarity of top-level items in order to achieve a reasonable result. In addition, the method builds up academic big data for 5 years (2016-2020) in order to commercialize technology excavation on demand perspective. Lastly, the paper employs global data studies in order to develop domestic and international demand for technology excavation in the medical biotechnology field.

Towards Instant Availability and Full Life Cycle Resilience in Vertical Cities: Automated Deployment and Transformation of High-Rise Buildings to Mitigate Social Challenges

  • Thomas Bock;Rongbo Hu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11권2호
    • /
    • pp.75-86
    • /
    • 2022
  • High-rise buildings often can accommodate the population of small horizontal cities. The investment in high-rise buildings is considerable and therefore a rapid return on investment is necessary. The immediate availability of high-rise buildings can be achieved by automated prefabrication of highly finished modules and their instant on-site assembly by robotic and automated construction sites. A high-rise building as a vertical city can be considered as a sophisticated organism that can constantly change throughout its lifecycle in response to economic growth, demographic change, and environmental pressures. To date, many new urban high-rise developments claim to be "vertical cities", yet few represent this important characteristic. This article analyzed the technological readiness and innovations in the field of construction automation and robotics including single-task construction robots, automated on-site construction factories, and ambient assisted living. These technological advances enable the realization of future vertical cities that are able to continuously grow and transform in terms of form and function. Finally, the article proposes a visionary archetype of vertical city in the name of "dynamic vertical urbanism" that is easy to expan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in order to achieve instant availability and full life cycle resilience thanks to advanced building technologies.

The Aging Society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Infrastructure and Community Environment: Searching for Polic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

  • Kim, Dohyung;Park, Jiyoung;Bae, Chang-Hee Christine;Wen, Frank
    • Asian Journal of Innovation and Policy
    • /
    • 제9권1호
    • /
    • pp.79-94
    • /
    • 2020
  • This study reviews how an aging society can be connected to the urban-built environment, transportation system, infrastructure, and climate change topics from the perspective of policy and innovation in science and technology. Each topic was described with the aging society that we will encounter in the near future. Based on the expected discussions, we suggested how polic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may interact with the new emerging society. Especially, digital transformation is expected to hyper-connect the aging society beyond physical barriers where numerous policies and innovations in science and technology shed light on the elderly population. We observe, however, that this cannot be achieved only by the government sector; rather, municipal governments and local communities, as well as private sectors, all together need to prepare for the new society of the aging population. Furthermore, an ideal approach is to accommodate multidisciplinary studies that can address the policy and technological innovations simultaneously and collectively. By doing so, we can minimize the negative impacts when an aging society approaches.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기기 관리 및 사용자 인증을 위한 안전한 통신 프레임워크 설계 (A Design of Secure Communication Framework for Device Management and User Authentication in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 박중오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43-52
    • /
    • 2019
  • The recent technological developments of smart devices, multiple services are provided to enhance the users' quality of life including smart city, smart energy, smart car, smart healthcare, smart home, and so on. Academia and industries try to provide the users with convenient services upon seamless technological research and developments. Also, whenever and wherever a variety of services can be used without any limitation on the place and time upon connecting with different types of devices. However, security weaknesses due to integrations of multiple technological elements have been detected resulting in the leakage of user information, account hacking, and privacy leakage, threats to people's lives by device operation have been raised. In this paper, safer communication framework is suggested by device control and user authentication in the mobile network environment. After implementations of registration and authentication processes by users and devices, safe communication protocol is designed based on this. Also, renewal process is designed according to the safe control of the device. In the performance evaluation, safety was analyzed on the attack of protocol change weakness occurred in the existing system, service halt, data leakage, illegal operation control of message, and so on, which confirmed the enhanced speed approximately by 8% and 23% in the communication and verification parts,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existing system.

The Distribu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 Environmental Policy against COVID-19: Perspectives and Challenges

  • CHOI, Choongik
    • 유통과학연구
    • /
    • 제20권8호
    • /
    • pp.115-121
    • /
    • 2022
  • Purpose: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distribu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environmental policy challenges to respond to COVID-19. The study also attempts to tackle a paradigm shift i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ies against the pandemic and a desirable direction for environmental policies. The COVID-19 pandemic has been the one that rapidly changed global people's lifestyle. For the spread of a terrible infectious disease could not be avoided, regardless of a highly industrialized socie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is study basically employs a qualitative approach as a methodology. This study is based on the fact that environmental pollution, various natural disasters continuously occur, and there are many unforeseeable parts, despite remarkable development of scientific technology, and that the circumstances are becoming more complex. Results: This study noted that scientific technology civilization formed due to industrial revolutions can deteriorate environment and increase environmental threat factors. As an alternative to this, this study investigates alternative discussions on how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an help scientific technology and human environment to harmoniously coexist and develop. Conclusions: It implies that this study focuses on the possibility of overcoming this crisis through science and technology innovation, although mankind is in crisis of COVID-19 due to excessive human development.

공동 출원 특허정보와 정형적 개념분석을 활용한 기술협력 성과 분석 연구 (Exploring Technology Cooperation Performance Using co-patent Information and Formal Concept Analysis)

  • 박찬호;이희정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6권spc호
    • /
    • pp.39-53
    • /
    • 2023
  • Recently, the market competition has been fiercer due to the acceleration of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launch of intelligent products. In this situation, technology cooperation activities through networks rather than independent technological innovation activities of a single company or institution are recognized as a crucial strategy to gain competitiveness. Technology cooperation can take various forms depending on the target technology, and researchers have conducted performance analyses of technology cooperation types. However, there have not been data-based quantitative studies on the types and trends of technology cooperation for the target technology. In this paper, we explor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echnology cooperation types by technology and time using the formal concept analysis method and co-patent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proposed methodology has been verified through the case study of electric vehicles, and it is inten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echnological cooperation according to specific technologies and cooperation targets in the future

혁신성장 측정에 관한 연구: 성장회계모형 vs 슘페테리안 기술변화 모형 (A New way of the Measuring of Innovative Growth: Growth Accounting Model vs Schumpeterian Technological Change Model)

  • 권명중;조상혁;윤미경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1호
    • /
    • pp.105-148
    • /
    • 2023
  • 본 논문은 Schumpeter의 기술변화 3단계 개념에 기초해서 기술진보가 실질경제성장에 기여하는 정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시한다. 통계청 광업제조업조사 마이크로데이터를 이용해서 2003-2018년 기간 동안 기술진보의 실질 성장기여 정도를 총요소 생산성 성장률(성장회계방법), R&D투자 기여율, 슘페테리안 혁신성장률로 각각 측정하고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회계의 총요소생산성 성장률과 슘페테리안 혁신 성장률에 의한 기술진보의 실질 성장기여에 대한 측정에서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다. 둘째, 생산성장률이 감소추세에 있으면 증가추세에 있을 때와 비교해서 생산성장률과 총요소생산성성장률 차이가 커지고, 반대로 증가추세에 있으면 감소추세에 있을 때와 비교에서 생산성장률과 총요소생산성성장률의 차이가 작아진다. 셋째, 혁신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기회, 즉, 어느 한 분야의 연구개발과 그 인접분야까지의 연구개발 유인이 혁신성장에 미치는 기여도는 3.3%에 불과하다. 이 결과가 기존의 기술진보의 성장기여에 대한 인식과 다른 이유는 기술진보라는 동일한 용어를 측정하면서 서로 다른 실체를 측정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 따라서 총요소생산성 성장률은 거시적 경제효율성, R&D투자는 신기술공급의 효과성, 슘페테리안 혁신성장률은 기술진보의 경제적 영향을 측정하는 데 사용해야 한다. 본 논문 연구 결과의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① 기술공급일변도의 정책에서 기술공급과 신기술수요지원의 융합정책으로 전환, ② 임무지향형 R&D 정책과 국가 R&D와 민간 R&D가 연계되는 R&D 정책, ③ 신지식체화 정도를 반영한 자본재의 재분류.

외부환경요인과 표준화에 관한 연구 (External Environments and Standardization)

  • 이건봉
    • 통상정보연구
    • /
    • 제16권2호
    • /
    • pp.69-88
    • /
    • 2014
  • 본 연구는 표준화에 대한 기술변화 및 경쟁강도와 같은 외부환경요인들의 영향을 검증하였다. 연구프레임워크의 타당성에 대해 한국기업의 샘플을 통해 실증적으로 테스트하였다. 검증결과는 외부환경요인들이 마케팅표준화와 기술표준화의 가능성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증하였다. 연구결과는 기술변화와 글로벌표준화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즉, 데이터는 빠른 기술변화에 직면한 기업들이 마케팅과 기술의 표준화를 강조하고 있음을 지지하고 있다. 또한 실증적결과는 경쟁강도가 마케팅표준화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여 주었다.

  • PDF

제4차 산업혁명과 장애인 일자리 추이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Job Transition of the People with Disabilities)

  • 나운환
    • 재활복지
    • /
    • 제22권3호
    • /
    • pp.23-39
    • /
    • 2018
  •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은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일자리 요인을 복잡하고 어렵게 만들 것이기 때문에 이 연구는 일자리 구조에 영향을 주는 기술요인을 분석하고 나아가 노동시장의 변화와 산업별 취업자의 추세변화를 통해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하는 장애인 일자리 개발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FGI를 실시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4차 산업혁명의 일자리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적 요인은 인공지능, 사물인터넷과 네트워킹, 3D프린팅, 빅데이터 구축이며, 둘째, 산업혁명으로 인한 기술혁신은 일자리 구조에 큰 영향요인이었으며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이 진전되면서 1, 2차 산업에서 3차 산업으로 일자리가 급격히 이동하였으나 장애인의 경우는 이러한 추세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특히, 2, 3차 산업에서 의미 있는 변화추세가 없으며 이 같은 원인은 장애인 구직자에 대한 기술혁신과 산업변화에 따른 역량개발 기회가 제한된 결과로 분석되며, 셋째, 제4차 산업혁명과 일자리 구조변화에 대한 장애인의 대응방안으로서는 (1)기술혁신에 대응하는 역량개발을 위한 선제적 투자가 필요하며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방식은 분리교육이나 특수교육 보다는 통합적 교육과정 내에서 역량개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방법 등의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2)기술적 측면으로 기술혁신과 변화의 원칙으로 보편적 설계와 보편적 서비스가 지켜질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이미 개발된 기술과 서비스에 대하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식정보격차 해소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며, (3)정책적으로는 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에 대응하기 위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위한 장기적인 전략개발이 필요하며, 고임금-고학력 장애인 구직자와 저임금-저학력 구직 장애인을 위한 차별화된 일자리 정책개발이 필요하며, (4)제4차 산업혁명과 기술혁신으로 새롭게 일자리가 창출되는 뉴칼라 직종의 인력양성을 위한 개발 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마지막으로 제4차 산업혁명과 급격하게 변화하는 기술혁신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기초적인 자료들이 빅데이터화 될 수 있어야 한다.

데이터 기반 접근법을 활용한 중소기업 기술혁신자원의 네트워크 분석 (A Data-Driven Approach and Network Analysi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Resources in SMEs)

  • 안경민;이영찬
    • 지식경영연구
    • /
    • 제24권4호
    • /
    • pp.103-129
    • /
    • 2023
  • 본 연구는 중소기업, 특히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술혁신자원의 네트워크 구조를 분석하고 혁신기업과 비혁신기업 간의 차이점을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우선 전체 기업을 대상으로 연결 중심성, 유동 매개 중심성, 위세 중심성을 분석하고, 다음으로 CONCOR 분석을 통해 구조적 등위성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혁신성과 창출 유무에 따라 구분된 혁신기업과 비혁신기업의 네트워크 형태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 기업의 기술혁신자원 분석에서 기업가정신과 기업혁신전략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CONCOR 분석결과 중소기업의 혁신자원은 7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되었으며, 이는 본원적 제품혁신 자원, 경쟁우위 추진 자원, 협력활동 자원, 정보시스템 자원, 혁신 보호 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혁신기업과 비혁신기업의 네트워크 분석에서는 혁신기업이 경쟁력 강화와 품질 향상에 집중하는 반면, 비혁신기업은 기존 제품과 고객에 더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혁신기업은 8개의 클러스터로 구성되어 있었고, 비혁신기업은 6개의 클러스터로 나타났다. 이는 혁신기업이 자원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여 구조적 변화와 새로운 가치 창출을 추구하는 반면, 비혁신기업은 보다 안정적인 형태로 기술혁신자원을 운영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에 있어서 기업가정신과 기업혁신전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혁신성을 높이기 위해 내부적 차원에서의 강력한 노력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이러한 발견은 중소기업의 기술혁신을 위한 전략 수립과 정책 개발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