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experiment

검색결과 498건 처리시간 0.025초

The Effect of Gesture during the e-Learning Class on Cross-cultural Learners

  • Shin, Sanggyu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13-316
    • /
    • 2018
  • In this paper, the authors reflect on how a lecturer's cross-cultural gestures affect learners from across cultures online and in the field teaching sessions for improving the service when to build an e-Learning system. The study extends to survey the way learners feel about cultural differences during a presentation from the research based on sociolinguistics research. Before starting a full-scale research, a preliminary study has been conducted to base the initial experiment, and analysis these result for main research.

과학 교사 양성과정에서 과학교육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Courses in Science Education Subject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Program in Korea)

  • 김영민;박종원;박종석;이효녕;김영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85-798
    • /
    • 2010
  • 본 연구는 과학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교사 양성을 위해 필요한 교과목과 내용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파악하고 학교 현장의 경험을 바탕으로 현재 사범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과학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고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자들은 설문지를 개발하였으며, 설문지는 크게 4개의 영역, 즉, 기초적인 응답자의 배경에 관한 것, 대학에서 배우는 과학교육 관련 교과목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의견을 묻는 것, 교과교육학 필수교과목(교육론과 교재연구 및 지도법)이 현장에 실질적인 도움을 주기 위한 개선점에 대해 질문, 교과교육학 필수교과목 이외에 현장에서 필요한 교과목에 대한 의견을 묻는 것 등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 설문에 참여한 교사는 중등과학교사로 총 215명이다. 학교급 별로는 중학교 교사가 100명이고 고등학교 과학교사가 115명, 그리고 성별로는 남자가 92명이고 여자가 118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과학 교사들은 현재 과학교사 양성을 위해 필수 과목으로 되어있는 '과학교육론'과 '과학교재연구 및 지도법' 과목만으로 과학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확보하는 데 충분하다고 응답한 교사는 1/3에 불과하였고, 1/5은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과학교사들은 창의성과 영재교육, STS와 일상생활속 과학 학습지도, 과학탐구지도, 그리고 과학실험/시범장치 개발에 대한 내용이 가장 부족하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과학교사의 6/7의 응답자가 이론중심보다는 실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하였고, 응답자의 1/2과 1/3은 각각 교과교육과목수를 확대하거나 이수학점을 확대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통해 추가로 개설될 과목으로 추천할 과목은 과학실험 및 시범장치의 개발 실습, 과학적 창의성 지도법과 과학영재교육, 과학학습자료 개발 실습, 과학탐구학습과 지도이다.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의 HIV/AIDS 교육프로그램 효과 (The Effect of HIV/AIDS Education Program for Professional Graduate Medical School Students by Teaching-Learning Methods)

  • 서명희;정석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519-532
    • /
    • 2016
  • 본 연구는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의학전문대학원생의 HIV/AIDS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의학전문대학원 학생을 대상으로 개발된 HIV/AIDS 교육 프로그램을 토의식 교수학습방법과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으로 각각 적용 한 후, HIV/AIDS 관련 지식과 태도 그리고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설계는 비동등성 사전 사후 유사 실험연구이며, 연구대상은 일개 대학 의학전문대학원 학생 총 116명으로, 각각 토의군 60명, 강의군 56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5년 8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2$-test, One-tailed independent t-test, One-tailed Mann-Whitney U-test, One-tailed Wilcoxon signed-rank test, One-tailed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HIV/AIDS 지식, 태도 그리고 교육 만족도에 대하여 강의군과 토의군 두 그룹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두 그룹 모두 교육 전 보다 교육 후에 HIV/AIDS 지식과 태도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HIV/AIDS 지식과 태도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기 위하여 교육 대상 및 목적에 적합한 교수학습방법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성인의 제2 언어 습득에 있어서 매개변수 재고정 (Parameter resetting in adult second language acquisition)

  • 김학수
    • 영어어문교육
    • /
    • 제5호
    • /
    • pp.219-247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Korean learners of English reset the "prodrop" parameter of Korean into "non-prodrop" parameter of English in the process of English acquisition.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45 Korean learners of English on the prodrop phenomenon, namely on the null referential or null nonreferential subject, and subject-verb agreement by way of grammatical judgmen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are as follows: First, L2 learners follow the parameter of L1, and then reset the parameter of L2 regardless of the parameter of L1 as their L2 abilities advance. Thus, this study provides further support for the hypothesis that universal grammar is available via L1. Second, the referential subject is, at first, easier to acquire than nonreferential subject, and the triggering fact for the switch from [+prodrop] to [-prodrop] was the use of nonreferential subjects. Third, 3rd person agreement has no connection with the acquisition of the prodrop parameter as a result of subject-verb agreement. Therefo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verb agreement is not a trigger for the recognition of the obligatory subject.

  • PDF

Design of Programming Learning Process using Hybrid Programming Environment for Computing Education

  • Kwon, Dai-Young;Yoon, Il-Kyu;Lee, Won-Gy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5권10호
    • /
    • pp.1799-1813
    • /
    • 2011
  • Many researches indicate that programming learning could help improve problem solving skills through algorithmic thinking. But in general, programming learning has been focused on programming language features and it also gave a heavy cognitive load to learners.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programming activity process to improve novice programming learners' algorithmic thinking efficiently. An experiment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programming activity process. After the experiment, the learners' perception on programming was shown to be changed, to effective activity in improving problem solving.

환경교육 담당자 양성 체제의 개선 (Training System of Environment Education Teacher : Problem and Prospect)

  • 최운식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3권1호
    • /
    • pp.14-22
    • /
    • 2000
  • This attempts to find out training system of environment education teacher in Korea.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have focused on environment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course was designated as a subject, but only 12% of the 2741 middle school chose the environment subject in 1998. The environment education course is not popular among students. The environment education is an interdisciplinary subject, which is composed of natural science, social studies, earth science, and medical science, that is why the subject is so unsystematic and complicated that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and contents for school classes are not able to be developed. Moreover, material and manuals in environment education for students and teachers are limited. While the contents of environment education is composed of field experience learning and experiment learning, but lecture-centered instruction is emphasized in school because of materials, time and experts. Over 300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s are annually produced, but the ratio of employment low. is, Therefore, a retraining program for environment education teacher needs to be developed.

  • PDF

과학사 활용 수업이 과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학교 '물의 순환과 날씨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Effect of Instruction Utilizing History of Science on the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Chapter of 'Water Cycle and Weather Change)

  • 이현선;유정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5권7호
    • /
    • pp.565-575
    • /
    • 2004
  • 이 연구에서는 과학사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과학 학업 성취도와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중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라 조사하였다. 여중생 3학년 4개 학급을 대상으로 실험 집단에서 대하여 과학사 활용 수업, 통제 집단에 대하여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과학사 활용 수업에서는 필수 학습요소와 관련된 과학사를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들에게 소개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STS인식을 유도하였다. 과학사 활용 수업은 전통적인 수업에 비하여 학생들의 과학 학업 성취도와 태도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과학사 활용수업은 과학 학업 성취도에서는 상위권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으며, 과학과 관련된 태도에서는 상, 중위권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와 관련하여 학습자의 수준을 고려한 교수-학습 자료와 수업 모형 개발은 과학사 활용 수업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조작적 분석을 통한 일차방정식 해결 연구 (An Operational Analysis for Solving Linear Equation Problems)

  • 신재홍;이중권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461-47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조작적 수학활동의 관점에서 일차방정식 해결과정에 관한 이론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으로 TEP(Teaching Experiment Methodology)를 사용하였다. 이 분석은 학생들의 자연수학습과 분수학습에 관해 기존에 연구 되어왔던 이차적 모델들과 연구자 자신들의 수학적 지식을 근거로 한 일차적 분석이 조합되어 이루어 졌으며, 학생들의 Explicitly Nested number Sequence (ENS)로부터 시작하여 일차방정식을 풀기 위해 필요한 그 이상의 수학적 지식에 이르기까지 고찰되었다. 연구 결과, 같은 형태의 일차방정식이라 하더라도, 일차방정식을 구성하고 있는 계수와 상수의 종류에 따라 필요한 수학적 지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따라서 교수학적 시사점으로서 교사들은 요구되는 수학적 지식에 따라 다양한 일차방정식 문제들을 구분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구분된 문제들을 상응하는 수준의 학생들에게 적절히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 PDF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로서의 개발연구에 대한 고찰 (Reflections on Developmental Research as a Research Methodology)

  • 정영옥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353-374
    • /
    • 2005
  •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연구 방법론에 대한 많은 변화와 더불어 교과과정 개발의 과학적 접근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는 수학교육 연구 경향에 비추어, RME의 개발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좀더 발전적인 수학 교과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RME 개발연구의 배경과 이론적 틀, 개발연구의 목표, 절차, 자료수집, 자료분석, 정당화 과정을 포함한 개발연구의 방법론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의 수학 교과과정 개발의 개선을 위해 수학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반영한 교육과정 문서의 구성, 교과과정 개발 배경에 대한 충실한 보고, 교과과정 개발 절차 개정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 PDF

기능성 게임을 통한 집중력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through Serious Games)

  • 조승주;윤형섭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27-35
    • /
    • 2011
  • 집중력은 학습능력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이다. 집중력 개선은 학습능력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하다. 디지털 키즈(digital kids)는 어려서부터 게임과 같은 중독적인 미디어에 익숙해져 있어서 기존의 교수학습방법만으로는 그들에게 관심을 끌기는 어려워졌다. 따라서 집중력이 약한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교육방법의 도입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본 실험은 집중력 향상을 위한 특정 기능성 게임을 통한 훈련이 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진행되었고, 초등학생 4명씩 집중력 훈련 훈련집단, 명상음악 훈련집단,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실험하였으며, QEEG-4 장비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 특정 기능성 게임을 통하여 집중력 향상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실험 결과 집중력 훈련 게임과 명상 음악은 피험자들의 집중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정 기능성 게임은 보통 사람은 집중하기 어려운 명상과는 달리 호기심, 도전과제, 경쟁과 보상 등의 재미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 게임은 청소년들에게 더 이상 부정적이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사회에 도움을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