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competency

검색결과 381건 처리시간 0.021초

제 4차 산업혁명시대의 공과대 여학생 역량분석을 반영한 교수법 모델 (A Pedagogical Model Reflecting on Competency Analysis of of the Female Engineering Student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백란
    • 공학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57-62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el based on the capacity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In order to measure the learning ability of female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we used various tools to derive core competencies. The competency element of human resources implementation, the element of learning achievement area in the undergraduate education actual condition survey, and the analysis of the learning achievement elements of the engineering certification program were analyzed and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was searched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competence of female students. In addition, we developed a model that can apply the development of pedagogy in the curriculum to the liberal arts, majors, and comparative courses, and presented the internship in field experience area, the improvement of on the spot learning, and teaching method and guidance to enhance the female students' competence. Also, as a case study of the proposed teaching method, new curriculum of 'Understanding of Big Data' which is the basi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6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educ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very positive, and we can expect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education model to enhance the learning ability and capacity of female students.

전기·전자·통신 계열 공업교사의 교수능력과 교육요구 (The Teaching Competency and Educational Needs of Electricity·Electronic·Communication Technical Teachers)

  • 이명훈;나승일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7-202
    • /
    • 2006
  • 이 연구의 목적은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의 교수능력 수준과 교육요구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250개 전기 전자 통신 관련 학과에 근무하는 750명의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에 사용된 조사 도구는 3개 영역, 총 30개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성 인식 수준과 현재의 교수능력 수준을 5점 리커트 척도로 응답하도록 구성하였다. 최종분석에 443부가 사용되었으며, 각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는 보리치(Borich)의 교육요구도 계산공식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주요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은 30가지 교수능력에 대하여 평균적으로 모두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특히, 교수능력 가운데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를 파악하는 능력에 대하여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둘째,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은 30가지의 교수능력에 대한 중요성 인식 수준보다 낮은 수준의 교수능력을 가지고 있다. 특히, 교수능력 중 '실습시 시범보이기'에 대한 능력수준이 가장 높으나, '모의학습법 적용'에 대한 능력수준이 가장 낮다. 셋째, 교수능력 중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의 교육요구가 높은 항목은 '학생들의 수준과 흥미 파악', '문제해결법 적용', '학습내용 재구성', '성취할 수업목표 설정' 등이고, 반면에 교육요구가 가장 낮은 항목은 '컴퓨터 매체 활용'이다. 넷째, 전기 전자 통신 계열 공업교사들의 교수능력에 대한 교육요구 순위는 성별, 학력, 교직경력, 산업체 근무경험, 근무지, 학교 설립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다.

KAIE 컴퓨팅시스템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 인식 분석 (Th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Cognition on KAIE Computing System Curriculum)

  • 성영훈;박남제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131-140
    • /
    • 2018
  • KAIE 컴퓨팅시스템 교육과정은 정보기기, 운영체제, 정보통신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컴퓨터과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원리를 다루고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따라서 KAIE 컴퓨팅시스템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교사의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교사의 정보통신기술 소양을 매개로 한 교사의 교수방법이 컴퓨팅시스템 교육과정의 교수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남성교사의 경우 여성교사보다 전체 요인별로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5년 미만과 5~10년 미만 교사 그룹에서 교수역량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저경력 교사와 여성 교사의 ICT와 SW교수역량을 강화하고 참여를 활성화 할 수 있는 협력적인 SW 교수전략 및 멘토 중심의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Proposal of Electronic Engineering Exploration Learning Operation Using Computing Thinking Ability

  • LEE, Seung-Woo;LEE, Sa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4호
    • /
    • pp.110-117
    • /
    • 202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velop effective teaching methods to strengthen the major learning capabilities of electronic engineering learners through inquiry learning using computing thinking ability. To this end, first, in the electronic engineering curriculum, we performed teaching-learning through an inquiry and learning model related to mathematics, probability, and statistics under the theme of various majors in electronic engineering, focusing on understanding computing thinking skills. Second, an efficient electronic engineering subject inquiry class operation using computing thinking ability was conducted, and electronic engineering-linked education contents based on the components of computer thinking were presented. Third, by conducting a case study on inquiry-style teaching using computing thinking skills in the electronic engineering curriculum, we identified the validity of the teaching method to strengthen major competency. In order to prepare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implementing mathematics, probability, statistics-related linkage, and convergence education to foster convergent talent, we tried to present effective electronic engineering major competency enhancement measures and cope with innovative technological changes.

캡스톤 디자인 지역사회치위생학 수업이 치과위생사 역량 및 자기 주도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 (Increase in dental hygienists' competency and self-directed capacity after capstone design course on community dental hygiene)

  • Seon-Ju Sim;Sun-Mi Lee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9-108
    • /
    • 2024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캡스톤 디자인 설계 지역사회 치위생학 수업 후 학생들의 역량과 자기주도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 참여자는 C시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서 지역사회 치위생학 수업을 이수한는 치위생 전공 34명이었다. 설문도구는 치과위생사 역량 52문항과 자기주도력 20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캡스톤 디자인 수업 후 전반적인 치과위생사의 역량이 증가하였고(p<0.05), 임상치위생 및 지역사회 건강증진 역량도 높은 증가를 보였다(p<0.001). 자기주도력에 따른 치과위생사의 역량 증가를 분석한 결과, 자기주도력이 낮은 집단일수록 임상 치위생 역량과 지역사회 건강증진 역량이 높은 향상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캡스톤 디자인 설계지역사회 치위생학 수업이 학생들의 치과위생사 역량과 자기주도력을 향상시켰음을 확인하였고, 캡스톤 디자인 수업법은 미래사회에서 요구되는 역량을 배양하는데 탁월한 교수법임을 시사하였다.

일반항공 비행교관 역량별 행동지표 및 비행교관 교육요구 분석 (Identifying Behavior Indicators for Flight Instructor Competencies and Training Needs Analysis for General Aviation Flight Instructor)

  • 강금석;박형준;김경태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8-78
    • /
    • 2023
  • This study aims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developing a "Competency-Based Training and Evaluation Plan" for general aviation flight instructors in Korea. General aviation training experts designed a survey by selecting "Behavior Indicators" from the ICAO Flight Instructor Competency Model. This study analyses the importance of Behavioral Indicators, the level of instructor performance, and the training needs for flight instructors.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ICAO "Flight Instructor Competency Model" is found as a valid tool to measure general aviation flight instructor competencies. According to the training needs analysis, flight instructors training program needs to be improved on "Training Environment Management", "Teaching Method", and "Interaction" competencies. When compared with trainee group, flight instructors & examiners have a higher training demand for "Teaching & Learning Environment Management". This study suggests the flight instructor training program requires to be reorganized based on the competencies related to the flight instructor duties in the training environments.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Teaching-Learning Portfolio for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강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567-584
    • /
    • 2014
  • 최근 교사의 전문성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수업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2012년 수학교육선진화 방안 발표 후 수학 교사의 수업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수학 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비수학교사 시기에서부터 교육 경험이 필요하다. 예비수학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 및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적 실행과 관련하여 자신의 실천을 체계적으로 반성하고 개선해 나아가는 경험이 필요하다. 즉,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위한 수업 실습에 관한 이론과 실천 양면의 체계적인 실행과 지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 실행 가능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및 적용절차를 개발하였다. 또한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작성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수학교사 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entoring Experience in STEAM Classes on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Competency for STEAM Education)

  • 한혜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2권1호
    • /
    • pp.1-22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 교수 역량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사범대학과 연계된 중학교 자유학기제 수학탐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23명의 예비수학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학기 동안 수행되었다.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수 역량의 변화 및 멘토교사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 사후 STEAM 교수 역량 검사와 수업 일기 및 간담회 자료 분석 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STEAM 수업에서의 멘토교사 경험은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지식, 교과내용지식, 교수학습방법, 수업상황 및 환경 역량 함양에 매우 효과적이었다. 특히,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STEAM 수업에서의 현장 경험이 예비수학교사들의 STEAM 교육에 대한 이해 향상과 더불어 실천적 지식을 형성하는데 실질적으로 도움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계고 교원의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운영 역량 연구 (A Study on Competencies of Teacher for Organizing and Operating of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ase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NCS based curriculum) in Vocational High Schools)

  • 안재영;이찬주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2호
    • /
    • pp.101-127
    • /
    • 2018
  • 이 연구는 NCS 기반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는데 교원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구명하고 이 역량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분석하여 직업계고에서의 NCS 기반 교육과정 운영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은 4개의 대영역, 11개의 중영역, 35개의 요소로 구명되었다. 요구 및 환경 분석(대영역 1)은 2개의 중영역인 요구 분석, 학습 환경 분석으로, 교육과정 편성(대영역 2)은 4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 유형 설정,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 선정,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으로, 교육과정 운영(대영역 3)은 3개의 중영역인 교수 학습 준비, 교수 학습 실행, 교수 학습 평가로, 교육과정 평가 및 피드백(대영역 4)은 2개의 중영역인 교육과정 평가, 교육과정 피드백으로 구성된다. 둘째, NCS 기반 교육과정 편성 운영 역량의 상대적 중요도는 교수 학습 실행(19.6%), 교수 학습 평가(14.2%), 교육과정 평가(12.5%), 교육과정 피드백(11.2%), 교수 학습 준비(9.2%), 교과목 편성 및 교육내용 결정(8.6%), NCS 능력단위 및 학습모듈의 분석 선정(7.5%), 교육목표 및 인력양성유형 설정(6.6%), 학습 환경 분석(5.4%), 요구 분석(3.9%), 교육과정 협의회 조직 및 운영(1.5%) 순으로 나타났다.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에 관한 탐색적 연구 (A Exploratory Study on Competency-Based Social Welfare Education)

  • 은선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359-369
    • /
    • 2020
  • 본 연구는 역량기반 사회복지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본 연구는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에서 발간하는 사회복지학 교과목지침서를 중심으로 하는 문헌조사가 수행되었다. 대학교육에서의 역량중심교육은 4차산업혁명시대의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핵심역량과 각 학문별 전공역량을 포함한다. 역량중심 사회복지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사회복지전공역량을 무엇이고, 전공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일련의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목표는 어떻게 설정되어 있으며, 전공역량과 핵심역량을 달성하기 위한 교수방법과 참여적 학습을 위한 환경이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의 사례와는 달리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는 사회복지전공역량을 제시하지 않고 각 대학에서 자체적으로 전공역량을 연구,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전공역량을 개발하여 제시하고 있는 대학은 자체적으로 전공역량과 교과목의 목표를 매칭하여 제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둘째, 사회복지교과목지침서에 제시된 교과목의 목표는 지식, 기능, 태도의 요소들을 모두 포함하려는 경향이 있으며, 이들 목표는 대학별로 설정한 전공역량과 매칭되고 있었다. 셋째, 교과목지침서에 교과목 목표달성을 위한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고 있으며 토론 등을 활용한 참여적 학습환경 제공하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다양한 교수방법이 핵심역량과 전공역량 달성에 효과적인지는 교수방법의 구체성과 개념화 부족으로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이후에 한국사회복지협의회가 표준화된 교육과정을 제시할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사회복지교육의 전공역량을 설정하고, 그 역량에 따른 교육과정 및 교과목의 교육목표 제시, 효과적이고 구체화된 강의방법에 대한 연구 및 개발을 통해 모델을 제시하고, 더 나아가 교육성과의 평가방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