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검색결과 1,281건 처리시간 0.029초

수학교육 개혁 운동과 우리나라 수학 교육과정 (Mathematics Education Reform Movements and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 한태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15-2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various mathematics education improvement or reform movements of Western Europe countries (United Kingdom, Germany, etc.)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o see the effects of those movements on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circle, and to find a direction of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design. The third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was most affected by the new mathematics move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This movement was emphasizing abstract structure, logical rigorousness and discovery learning of mathematics, which was fired from late fifties. Korean mathematics education circle imported the new mathematics early seventies from USA, but serious problems had been found at that time in USA. This study has pointed out that new math oriented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was not proper and the new mathematics itself was disastrous for most Korean students' learning. The study also points out that they hurried too much introducing the new mathematics and publishing new mathematics oriented textbooks but they had not sufficient teacher training programs. In our future mathematics curriculum reform, we have to remember such a historical lesson.

  • PDF

2009·2015 개정 교육과정 화학 I 및 화학 II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산·염기 모델 내용에 대한 '이그노런스' 분석 (Analysis of 'Ignorance' in Acid-base Models Contents of Chemistry I and Chemistry II Textbooks & Teacher's Guides in 2009 & 2015 Revised Curriculum)

  • 류은주;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4권3호
    • /
    • pp.175-188
    • /
    • 2020
  • 이 연구에서는 모델의 중요한 특징 중 하나인 '이그노런스'의 관점으로 화학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모델링 역량을 기르는 것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화학 교육과정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내용인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에 관련된 모델로 Arrhenius 모델과 Brønsted-Lowry 모델을 선정하고, 이에 관련된 '이그노런스'를 다룬 선행 연구와 대학 일반화학 교재 4종을 분석하여 연구의 분석 기준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분석 기준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9종과 화학 II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6종을 분석하였다. 또한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내용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화학 I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4종 그리고 화학 II 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3종도 분석하였다. '중화 반응' 개념, '중성' 개념, '중화 반응의 양적 관계', '이온화도', '이온화 상수'에 관련된 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모델의 '이그노런스'를 화학 교사들이 이해하고 학생들의 모델링 역량을 길러줄 수 있도록 교사용 지도서에 이와 관련된 내용을 제시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광주.전남 지역 학교급식 영양사.영양교사의 학교유형에 따른 직무분석 및 만족도 연구 (Job analysis and satisfaction of dietitians.nutrition teacher in school foodservice by school type in Gwangju and Jeonnam area)

  • 김혜경;길진모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5권3호
    • /
    • pp.274-282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job performance and importance, and job satisfaction of school foodservice dietitians nutrition teacher in Jeonnam and Gwangju area according to the school types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high school). A total of 646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244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using SPSS 12.0 for a descriptive analysis, t-test and ANOVA.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chool dietitians' nutrition teachers' job performance and importance in all areas of the job analysis for all school types. In the foodservice management/evaluation and nutrition education area,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foodservice dietitian nutrition teacher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performance, compared to that of high school dietitian nutrition teacher. Nutrition education was recognized by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dietitian nutrition teacher to be more significantly important than that of high school dietitian nutrition teacher.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dietitian nutrition teacher was most satisfied with their job condition. Dietitian working in middle school was least satisfied with the salary and compens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ppropriate curriculum should be structured according to foodservice dietitian nutrition teacher of the school type for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In order to increase the job satisfaction, the employment status of school dietitian should be guaranteed by the government and school officials, especially in the middle and high schools.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사용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 분석 (An analysis of the educative features of mathematics teacher guidebooks for grades 3 and 4)

  • 방정숙;오민영;박예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2권4호
    • /
    • pp.531-549
    • /
    • 2023
  • 수학 지도서는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중요한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초등학교 수학 지도서가 교사 학습을 지원하는 양상을 탐색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10종의 수학 지도서에 대해 수, 연산, 도형, 측정, 자료와 가능성, 규칙성 영역에 부합하는 6개 단원을 선정하여 '우리나라 수학 교육과정 자원의 교사 학습 기회(Teacher Learning Opportunities in Korean Mathematics Curriculum Materials)'의 7가지 차원별로 수학 지도서의 교육적 특징(educative features)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지도서에는 교수를 위한 수학 내용 지식이 풍부히 제공되지만 학생의 오류나 오개념 정보는 충분하지 않았다. 매 차시 수업 담화의 전반적인 흐름과 요점을 제공했지만, 근거나 구체적인 전략은 부족했다. 수학 내용 측면의 과정중심평가방안, 보충 및 심화 활동이 다수 있었지만 맞춤형 수업에 대한 설명은 부족했다. 교구 및 공학 도구 활용에 관한 교사 지식은 특정 단원이나 내용에 대해서만 제시되었고, 수학 공동체에 관한 교사 지식은 수학 교과 역량, 수학 교실 문화, 동기 유발에 관한 것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사 학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도록 수학 지도서를 개선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보육교사 양성학과 평가·인증 방안 및 실무추진체계 연구 (A Study on the Accreditation Method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Childcare Teacher Education Department)

  • 권기남;김유미;조용남;민미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1-24
    • /
    • 2021
  • Objective: In this study, a department accreditation system was introduced as a specific way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childcare teachers,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department accreditation and the implementation system were derived to find a practical direction. Method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related laws and websites were reviewed. In addition, in order to investigate opinions on the composition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qualification indicators, a meeting was conducted with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childcare teacher education and other qualification experts. Results: In order to introduce a department accreditation system for childcare teacher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elevant laws, and that the operation of an organization affiliated with a public institution is appropriate for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he system. In addition, an evaluation index plan composed of three indicators of educational conditions, curriculum, and performance areas was derived.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a practical preparation plan, such as evaluation indicators and an implementation system, was presented for the introduction of a department accreditation childcare teacher education system.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of the accreditation system of childcare teacher education.

다중지능을 활용한 100대 교육과정의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 유형 분석 (An Analysis of Program Types for School Reading Education Included in the 100 Excellent Curriculum by Multiple Intelligences)

  • 이경화;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85-1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한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성을 분석하고,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가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처음 적용된 2016학년도 100대 우수 교육과정 보고서에 포함된 학교 급별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유형을 다중지능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인간친화지능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는 지역사회 연계 독서를 가장 많이 운영하고, 중 고등학교는 학생 독서 동아리 활동을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언어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초등학교에서는 책읽어주기, 중학교는 문학작품으로 쓰기, 고등학교는 감상문 쓰기를 가장 많이 운영하였다. 공간 지능 관련 독서교육 프로그램의 경우 모든 학교급에서 매체제작 유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다만, 자연친화 지능과 관련된 독서 프로그램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2015 개정 교육과정하에서 학교도서관이 독서교육 프로그램 활성화를 위하여 이바지할 방안을 교육 공동체 중심지로서 교사 학생 학부모 연계 프로그램 개발, 창작 공간설치 운영, 사서교사의 프로그램 관리 및 탐구기반학습 역량 신장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서울지역 중·고등학교 교사들의 환경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A Study on the Consciousnes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of Junior-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 강희숙;최명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74-83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in developing environmental education curriculum by searching the consciousness junior-high school teachers in Seoul. 28 junior-high schools in Seoul were randomly selected and again selected 547 teachers to answer this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eachers recognized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national level(about 54%) and Seoul level(about 90%) 2.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of environmental education at junior and high school(85%). 3. Only 17.5% of respondents marked to be selected Environmental Education at the 6th curriculum revision in their school. 4. If Environmental Education was selected at the 6th curriculum revision, about 58% of respondents recogniz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Teacher should be responsible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5. If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was not selected at the 6th curriculum revision in their school, about 45% of respondents recogniz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should be done the whole subjects. 6. About 57% of respondents recognized that effective method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used audio-visual material. 7. About 25% of respondents recogniz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prevented by Enterance-exam oriented education. Several improvements should be made on the following aspects; 1. At the 6th curriculum revision, Environmental Education course should be selected a required course. 2. At the Collage of Education, Environment-related course should be established. 3. Programs of environmental education should be urgently designed and improved so that teachers can proceed it more effectively.

  • PDF

초등 예비교사의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조사 (A Survey on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s towards Science Teaching)

  • 윤혜경;나지연;박헌우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6권3호
    • /
    • pp.193-20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s towards science teaching using 'Dimensions of Attitude Toward the Teaching of Science (DAS)'. After confirming the factors and reliabilities of the translated questionnaire by pilot test (N=68), the survey was administered online at on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Korea (N=527). The pre-service teachers generally thought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is important and did not believe gender difference in students and in teachers. Science education majors than other majors, males than females, and those who completed high school science track than humanity track ha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 The extent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completion had a little effect on the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teaching. The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were discussed.

농촌형 급식교와 비급식교 중학생의 체조성 및 식행동 분석 (Body Composition and Eating Behavior of Rural Middle School Students Provided With and Without National School Lunch Program)

  • 이옥이;장현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39-50
    • /
    • 1999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needed consumer education chang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sumer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1. The current situation of elementary school consumer education was examined through analysis of the curricula of elementary schools. 2. Teacher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 elementary school consumer education were also examined. Althoug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learly understood the importance of consumer education, the problem is that a training workshop or program has not been provided for them. This deficiency needs to be addressed quickly. 3. The third part of the study consisted of an analysis of the curriculum of the 11 Teacher’s Colleges in Korea. This partof study revealed that consumer education was not systematically addressed at Teacher’s Colleg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have an included with other opening lecture on consumer education, cultural subject. The content of the consumer education must be positively emphasized and applied systematically.

  • PDF

기술.가정(실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과 교사 효능감에 관한 연구 - 가정 분야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urriculum Perspectives of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Teachers and the Home Economics Teacher Efficacy)

  • 최유정;채정현;박미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106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정과 교사의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은 주로 어떤 유형인지,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은 어떤 수준인지, 그리고 가정과 교육과정 관점과 가정과 교사로서의 교사 효능감의 관계는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자료는 전국 중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가정과 교사들을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하였으며, 215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WIN(ver 1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백분율, 1-검증, One-Way ANOVA와 Scheffe' 사후검증, Pearson 적률상관관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 교사의 세 가지 교육과정 관점에 대한 전체적인 성향을 조사해본 결과,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해방적 관점, 기술적 관점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별 경향을 알아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가정(假定)과 지식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방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가정(假定)과 사회에 대한 가정(假定)에서는 해석적 관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육과정 관점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 모두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 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가 군 읍 면 소재 학교의 교사에 비해 해석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또한 연령이 낮을수록,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의 경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정과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교육과정 관점의 하위영역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육목적에 대한 관점에서는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이 모두 강한 성향을 보였다. 해방적 관점의 경우, 또한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경향을 보였다. 지식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연령이 적을수록 해석적 관점과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짧을수록 지식에 대한 해방적 관점의 성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에 대한 관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해방적 관점의 경우, 학교소재지에 따라 특별시광역시 소재 학교의 교사집단이 군 읍 면 소재학교의 교사집단에 비해 해방적 관점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정과 교사의 전체 효능감은 평균보다 약간 높았다. 하위 영역별 효능감은 학습지원 효능감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학급운영 효능감, 환경지원 효능감, 교수전략 효능감, 요구대처 효능감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체 교사 효능감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가정과 교사의 교육과정 관점 중 해석적 관점이 다른 관점에 비해 교사 효능감과 높은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효능감의 하위영역에서도 해석적 관점의 상관이 가장 높았으며, 요구대처 효능감에서만 기술적 관점의 상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