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bars

검색결과 1,339건 처리시간 0.026초

인삼분말이 함유된 프레스햄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Press Ham Containing Ginseng Powder)

  • 이정일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425-434
    • /
    • 2006
  • 일반적인 프레스햄을 대조구로 설정하고, 인삼분말 첨가수준을 달리하여 4 처리구로 설정하였으며, 등심 원료육 중량에 대하여 처리구별로 0.5%(처리구 1), 1%(처리구 2), 1.5%(처리구 3), 2%(처리구 4)를 첨가하여 프레스햄을 제조한 후 진공포장하여 냉장온도(4℃)에서 1, 7, 14, 21 및 28일간 저장하면서 전단가, 관능적 특성분석, 지방산화 및 지방산 조성변화 등을 조사하여 품질 특성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전단가는 대조구와 인삼분말 첨가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관능적 특성 중 육색은 인삼분말 첨가구에 비하여 대조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인삼 향은 인삼분말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전체적인 기호성은 대조구에 비하여 인삼분말 첨가구가 다소 높은 경향이었다. 모든 항목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하여도 뚜렷한 경향은 없었다. 지방산화는 인삼분말 첨가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으며(P<0.05), 지방산화는 모든 처리구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지방산 조성은 대조구와 인삼분말 첨가구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저장기간의 경과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이상의 결과 프레스햄 제조시 인삼분말 첨가가 전단가, 관능적 평가 및 지방산 조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제품의 저장기간을 연장 및 사포닌 성분이 축적된 고급 육제품 생산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돈육 부산물의 전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연구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By-product on the Different Pretreatment Process)

  • 김태경;구수경;이혜진;이철원;김영붕;전기홍;최윤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6-72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intestine through different pretreatment processes. Methods: We washed pork intestine by both physical (tap water, UV, and sonication) and chemical methods (alcohol, acetic acid, flour and NaCl) as pretreatment process. The physicochemical (pH, color,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microbial properties of pre-treated pork small intestine were evaluated. Results: The nature of the pretreatment method influenced the pH value of pork small intestine. The acetic acid treatment resulted in the lowest pH value. In physical method, the color value and the number of microorganism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onication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BARS value of pork small intestine after all the treatments was lower than the control. However, VBN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s value irrespective of the nature of treatment. Appearance and control exhibited lowest value in response to sonication treatment. However, off-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r in sonication treatment than other treatments. In chemical method involving NaCl and flour treatments, lightness and redness were lower than other treatments. Lowest VBN and TBARS values were noted in alcohol and acetic acid treatmentsand no growth of E. coli and coliform bacteria was observed. The other treatments resulted in lower values of VBN, TBARS, and microbial counts than the control. Appearance and color value after alcohol, acetic acid, and flour treatment were lower than the control and NaCl treatment. Off-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by-product after alcohol, flour, and NaCl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and acetic acid treatment. Conclusion: Overall, we present NaCl treatment and sonication treatment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pretreatment method as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cessing pork intestine.

쑥 첨가방법이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항산화, 총미생물수 및 아질산염 소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Addition Method of Mugwort on Antioxidant Effect, Total Plate Counts, and Residual Nitrite Content of Emulsified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2-128
    • /
    • 2011
  • 제조 방법을 다르게 처리한 쑥을 유화형 소시지 제조 시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총 미생물수, 아질산염잔존량 및 육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쑥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쑥 분말 첨가구는 T1, 쑥 즙 첨가구는 T2,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3, 쑥 중탕 추출물 첨가구를 T4 등 5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 2, 3 및 4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으로 대조구와 T4는 유의성이 없었고, T1과 T2 및 T3는 저장기간 동안 다소 낮았다(p<0.05). TBARS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쑥 즙과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쑥의 첨가는 지방산화를지연시켰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3에서 TBARS값은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p<005). 총 미생물수는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모든 첨가구에서 증가하였고, 저장 0주에는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으며, 처리구간에는 T3가 유의적으로 낮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3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값과 CIE $b^*$값은 감소하였고 CIE $a^*$값은 증가하였으며, 처리구간에는 CIE $L^*$값과 CIE $a^*$값은 쑥 첨가구에서 낮았고, CIE $b^*$값은 대조구와 T1에서 높은 결과로 쑥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결론적으로 쑥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잔존량 감소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조 방법이 다른 솔잎 추출물 첨가가 유화형 소시지의 냉장 저장 중 항산화 및 아질산염 잔존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ddition of Pine Needle Extracts in Different Forms on the Antioxidant and Residual Nitrite Contents of Emulsified Sausages during Cold Storage)

  • 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4-80
    • /
    • 2011
  • 유화형 소시지에 제조 방법을 다르게 추출한 솔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냉장온도($4{\pm}1^{\circ}C$)에서 30일간 저장하면서 pH, TBARS, 총 미생물수, 육색 및 아질산염 잔존량을 조사하였다. 시험구는 솔잎을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 솔잎즙 첨가구는 T1,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는 T2, 솔잎중탕 추출물 첨가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0, 10, 20 및 30일간 저장하면서 실험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모든 처리구에서 서서히 감소하였다(p<0.05). TBARS와 총미생물수는 저장기간 동안 증가하였으며, 솔잎 즙과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한 유화형 소시지는 대조구보다 낮아 솔잎의 첨가는 지방산화와 미생물 성장을 지연시켰고, 특히 에탄올 추출물 첨가구인 T2에서 TBARS 값과 미생물수는 가장 낮은 경향이었다(p<005). 육색은 저장기간이 지나면서 CIE $L^*$ 값과 $a^*$ 값 및 $b^*$ 값은 감소하였고, 처리구간에는 CIE $L^*$ 값과 $a^*$ 값은 T1과 T2에서 낮았고, $b^*$ 값은 T1과 T2에서 높은 결과로 솔잎 추출물의 첨가는 소시지 색을 어둡게 하는 경향이었다. 아질산염 잔존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감소하였는데 T2에서 다른 시험구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솔잎 에탄올 추출물 첨가는 지방의 산화와 미생물 성장 억제 및 아질산염 잔존량 감소에 효과가 가장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Determination of Optimal Storage Condition for Pre-packed Hanwoo Loin

  • Seol, Kuk-Hwan;Park, Tu San;Oh, Mi-Hwa;Park, Beom-Young;Cho, Seong In;Lee, Mooha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90-394
    • /
    • 2013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al storage condition of pre-packed Hanwoo beef without freezing. Hanwoo loin was purchased from a local distributor at 48 h after slaughter, then sliced in $1.5{\pm}0.5$ cm thickness, and packed in a polyethylene (PE) tray covered with linear low-density polyethylene (LLDPE) film. The studied factors to set the optimal storage condition were chamber temperature (5, 2.5 and $-1^{\circ}C$ for 14 d), cooling method (direct and indirect cooling system), and ultraviolet (UV) light irradiation for beef surface sterilization (0, 30, 60, and 120 min). The changes of pH,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number of aerobic bacteria were measured during storage. Beef samples stored in $-1^{\circ}C$ showed the minimal increasing rate in TBARS and microbial growth. After 15 d of stor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 and TBARS values. However, the microbial population of beef stored in direct type cooling chamber ($4.25{\pm}0.66$ Log CFU/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beef stored in indirect type chamber ($6.47{\pm}0.08$ Log CFU/g) (p<0.05). After 4 d of storage, 60 or 120 min UV light irradiated beef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lower microbial population, and at 14 d of storage, 60 min UV irradiated beef sample showed significantly lower microbial population ($3.14{\pm}0.43$ Log CFU/g) than control ($4.46{\pm}0.13$ Log CFU/g) (p<0.05). However, TBARS values of 60 or 120 min UV light irradiated beef sampl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irradiated beef sample after 4 d of storage (p<0.05).

사료에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한 닭다리 육의 이화학적 특성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stor Aralia (Kalopanax pictus Nakai)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Quality of Chicken Thigh Meat)

  • 김영직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05-112
    • /
    • 2011
  • 본 시험은 육계에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량(0, 0.5, 1.0 및 2.0%)에 따라 급여하여 5주간 사육한 계육의 pH, 총페놀 함량, 전자공여능, TBARS, WHC, 전단력, 육색, 관능평가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실험구는 엄나무 잎 분말을 첨가 급여하지 않은 처리구를 대조구, 엄나무 잎 분말 0.5% 급여구는 T1, 엄나무 잎 분말 1% 급여구는 T2 그리고 엄나무잎 분말 2.0% 급여구를 T3 등 4개 처리구로 나누어 사양하였다. 엄나무 잎 분말을 급여한 계육의 pH, TBARS는 엄나무 잎의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아지는 결과(P<0.05)를 보이므로 엄나무 잎 분말의 급여는 계육의 저장성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총페놀 함량과 전자공여능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함량이 증가하였으며, 엄나무 잎 급여량이 증가함에 따라 특히 T3에서 함량이 다소 증가하였다(P<0.05). 보수성과 전단력은 처리구간 유의성이 없었다. 계육의 육색 중 CIE $L^*$값과 CIE $a^*$값은 대조구보다 엄나무 잎 분말 급여구에서 높아졌으며(P<0.05), CIE $b^*$값은 엄나무 잎 급여량에 의한 처리구간의 유의적인 변화가 없는 결과이었다. 지방산 조성 중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는 엄나무 잎 급여구에서 증가하였고(P<0.05), TU/TS는 증가하는 경향이나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적으로 엄나무 잎 분말을 육계에 급여하면 pH와 TBARS가 낮아지고, 총페놀 함량이 높아지고 전자공여능이 향상됨으로 계육의 저장성이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Effects of Vitamin C and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Anti-oxidative System of the Smokers and Non-smokers

  • Kim Hyun Ah;Min Hye Sun;Ha Ae Wha;Hyun Hwa Jin;Lee Hong Mie;Ro Man Soo;Song Kyung Hee
    •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 /
    • 제6권3호
    • /
    • pp.146-154
    • /
    • 2004
  • This study compared intake of vitamins and antioxidant nutritional status of smokers and nonsmokers, and the effect of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and vitamin E on antioxidant system of smokers and nonsmokers. Subjects were 30 smokers and 30 non-smoke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They were divided into groups of 10 subjects each one with supplementation for 4 week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plementation. Smokers were divided into vitamin C supplement group, vitamin E supplement group and vitamin C and vitamin E combination supplement group, and so were nonsmokers. The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was 500mg and vitamin E was 400IU.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antioxidant vitamin intak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nd plasma concentration of vitamin C in smokers was lower than non-smokers (p<0.05). Blood pressure was higher in smokers (p<0.05), with no difference in blood glucose levels, methemoglobin and TBARS, but 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on-smokers (p<0.001). Vitamin C supplementation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p<0.01), systolic blood pressure (p<0.001) and methemoglobin (p<0.001) in smokers. Also a significant decreas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p<0.05), systolic blood pressure (p<0.05), blood glucose (p<0.05), methemoglobin (p<0.001) and TBARS (p<0.05), with significant increase of SOD activity (p<0.001) were found in vitamin E supplement group. In vitamin C and vitamin E combination supplement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of diastolic blood pressure (p<0.05), methemoglobin (p<0.01) and TBARS (p<0.05). In non-smokers, methemoglobins (p<0.001) of vitamin C supplement group and vitamin E supplement group decreased, and diastolic pressure (p<0.05), methemoglobin (p<0.01) and TBARS (p<0.05) significantly decreased in vitamin C and vitamin E combination supplement group. These results indicated better efficacy of antioxidant supplementation in smokers than in nonsmokers, suggesting that the supplementation of vitamin C and vitamin E might decrease the oxidative stress and various risk factors of smoking-related diseases.

무 농약 단감분말로 제조한 미트로프의 5℃ 냉장 저장 중 품질 변화 (Changes of Quality Properties of Pork Loaves with Chemical-free Sweet Persimmon Powder during Chilled Storage at 5℃)

  • 하창주;진상근;남영욱;양미라;고병순;김일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2호
    • /
    • pp.237-246
    • /
    • 2008
  • 미트로프 제품에 열풍건조 단감분말(HP)과 동결건조 단감분말(FP)을 각각 3%(HP-3%, FP-3%)와 6%(HP-6%, FP-6%)를 첨가하도, 무첨가구를 대조구로 제조한 후 함기포장하여 5℃에 저장하면서 품질평가를 실시하였다. 수분과 조회분은 FP-6%가 유의적으로 높았고(p<0.05), 조단백질 및 조지방은 모든 제품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pH는 대조구가 처리구보다 높았으며(p<0.05), 처리구간에서는 차이가 없었다(p>0.05). 모든 제품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TBARS값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처리구들 간에서는 HP-6%와 FP-6%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각 소재물들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TBARS와 적색도는 증가하였다. 미생물 분석결과 저장 전 기간 동안 모든 제품에서 총균수는 3.11 log10 CFU/g를 유지하여 양호하였다.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처리구들이 더 좋았고 첨가량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써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가지는 열풍 또는 동결건조 단감분말은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써 미트패티류 제품에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어리유의 급여가 계육의 저장성 및 가공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l Sardine Oil on Storage and Processing Characteristics of Broiler)

  • 박창일;김영길;김영직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8-12
    • /
    • 2002
  • 오메가 3계열을 다량 함유한 정어리유를 급여수준(1, 2, 4%)에 따라 5주간 급여한 후 도계하여 대퇴부위를 냉장온도(4$\pm$1$^{\circ}C$)에 10일간 저장하면서 저장성에 및 가공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pH는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상승하였다 (p<0.05). TBARS는 전 처리구에서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 하였으며, 저장 1일 이후 정어리유 처리구에서 대조구보다 높은 TBARS를 나타내었고(p<0.05) 특히 T3구가 타 처리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p<0.05). VBN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증가하였고, 처리구간에는 뚜렷한 경향이 없었다. 보수력과 가열감량은 저장기간이 경과하면서 증가하였고, 보수력은 7일째를 제외하고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으며, 가열감량은 대조구보다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유산소 운동과 흑마늘 섭취가 흰쥐의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Black Garlic Intake on Blood Lipids, Lipid Peroxidation and BAP in Rats)

  • 김승현;백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1025-1031
    • /
    • 2011
  • 본 연구는 4주간의 유산소운동과 흑마늘의 섭취가 흰쥐의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산화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총 25마리를 대상으로 4주간 30-60분씩 15 m/min의 속도로 트레드밀에서 유산소 운동을 실시 하였으며, 통제집단(control group, CG, n=6), 운동집단(exercise group, EG, n=6), 흑마늘집단(black garlic group, BGG, n=7), 그리고 운동흑마늘집단(exercise with black garlic group, EBGG, n=6)으로 분류하였고, 유산소 운동 4주 후 혈중지질, 지질과산화 및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유산소 운동 후에 운동흑마늘집단은 총콜레스테롤(TC)과 중성지방(TG)이 다른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HDL-C)과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C)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지질과산화물(TBARS)은 운동흑마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항산화 능력(BAP)은 운동흑마늘집단과 운동집단이 통제집단과 흑마늘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흑마늘의 섭취는 혈중 콜레스테롤 중 TC와 TG를 개선시키며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였을 때 그 효과는 더욱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지질과산화가 억제되고 항산화 능력이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산소운동과 흑마늘의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보호와 함께 심혈관 질환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