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ste compon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한국재래식 간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 (Effective Components on the Taste of Ordinary Korean Soy Sauce)

  • 김종규;정영건;양성호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85-287
    • /
    • 1985
  • To investigate effective constituents of the many taste components in ordinary Korean soy sauce, we analyzed free amino acids, organic acids, free sugars and saline as taste components in ordinary Korean soy sauce, and determined sensory score of the ordinary Korean soy sauce taste with 45 persons of the trained pannels. The relationships between original data transformed with variables and sensory score of the ordinary Korean soy sauce were analyz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Eighty five percents of the ordinary Korean soy sauce taste is affected by twenty one kinds (Isoleucine, Leucine, Valine, NaCl, Lactic acid, Alanine, Phenylalanine, Tartaric acid, Sugar(\ulcorner), Proline, Malic acid, Glycine, Tryptophan, Arginine, Glutaric acid, Maltose, Histidine, Glucose, Fructose and Serine) of the taste components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original data. Eighty one percents of the ordinary Korean soy sance taste is affected by sixteen kinds (Lactic acid, NaCl, Fumaric.Succinic acid, Tyrosine, Tartaric acid, Glycine, Malonic acid, Malic acid, Tryptophan, Glutaric acid, Methionine, Histidine, Cysteine, Maltose, Fructose and (Glutamic acid) of the taste components by stepwise multiple frgression analysis of original data transformed with square root. Eighty five percents of the ordinary Korean soy sauce taste is affected by nineteen kinds (Fumaric.Succinic acid, Lactic acid, Phenylalanine, NaCl, Tyrosine, Sugar(\ulcorner), Tartaric acid, Leucine, Glutaric acid, Methionine, Glycine, Tryptophan, Histidine, Proline, Cysteine, Glutamic acid, Maltose, Threonine and Oxalic acid) of the taste components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original data transformed with logarithm.

  • PDF

보리등겨로 제조한 간장의 맛성분 특성 (Taste Characteristics of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 손동화;권오준;최웅규;권오진;이석일;임무혁;권광일;김성홍;정영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5권1호
    • /
    • pp.18-24
    • /
    • 2002
  • 본 연구는 보리등겨로 제조한 간장 맛의 특성을 찾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맛성분은 기기분석으로, 관능검사는 panel로, 그 외 통계적 처리의 방법 등을 이용하였다. 보리간장 맛성분은 유기산, 유리당 및 유리아미노산으로 분류하였으며, 이들과 관능검사 성적과의 단순상관으로 보리간장 맛의 품질을 결정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중상관계수는 절대값의 대수 변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따라서 단계적 중회귀분석은 가장 설명력이 높으며, 표준오차가 적은 절대값의 대수 변환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단계적 중회귀분석 결과, 보리간장 맛의 좋고 나쁨에 기여를 하는 성분은 짠맛, 구수한 맛 및 쓴맛을 내는 성분 순이었다.

한국 재래식 된장 맛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the Taste in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 양성호;최명락;김종규;정영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43-448
    • /
    • 1992
  • 재래식 된장의 여러 성분 중 어떤 성분들이 된장의 풍미에 기여하며, 어떤 성분조성이 재래식 된장의 맛을 내는데 최적인지를 알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재래식 된장(40표본)의 맛 성분을 분석하고 그 분석 결과와 관능검사 성적으로 주성분 분석 과 아울러 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감미, 지미, 염미, 고미, 산미들이 재래식 된장의 독특한 맛을 내는 구성성분들이었으며 맛에 대한 기여율은 각각 25.97%, 17.84%, 8.58 %, 7.79및 3.12%이었다.

  • PDF

중회귀 분석을 이용한 보리간장 맛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 조사 (Effective Components on the Taste of Kanjang made with Barley Bran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 이난희;강선철;정현자;권오준;최웅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9권1호
    • /
    • pp.35-42
    • /
    • 2006
  • 본 연구는 보리간장의 맛에 영향을 미치는 성분을 규명 위하여 수행되었다. 6가지의 변수변환을 통하여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절대값의 경우 6단계에서는 보리간장 맛의 좋고 나쁨을 70.1% 설명할 수 있었으며, 15단계에서는 보리간장 맛의 좋고 나쁨을 80.8%설명할 수 있었다. 상대값의 대수변환에 의해 산출된 식에서는 6단계에서는 보리간장 맛의 좋고 나쁨에 83.0%를 설명할 수 있었으며, 15단계에서는 보리간장 맛의 좋고 나쁨에 84.3%를 설명할 수 있었다. 각 맛성분의 맛에 대한 기여율을 산출한 결과 절대값에서 보리간장 맛에 좋은 기여를 하는 성분은 ${\alpha}-ketoglutaric$ acid, citric acid, lavulinic acid 및 glutamic acid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보리간장의 나쁜 맛에 기여하는 성분은 lysine, histidine, leucine 및 tyrosine의 순이었다. 변수변환에서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인 상대값의 대수변환에서 보리간장의 맛에 좋은 기여를 하는 성분은 ${\alpha}-ketoglutaric$ acid, fructose, glutamic acid 및 valine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보리간장 맛에 나쁜 기여를 하는 성분은 lysine, histidine, leucine 및 tyrosine의 순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