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g-encoded 454 pyrosequencing

검색결과 2건 처리시간 0.022초

16S rRNA 유전자의 454 파이로서열 분석을 이용한 해삼(Apostichopus japonicas)과 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장내 세균의 다양성 연구 (Bacterial Diversity in the Guts of Sea Cucumbers (Apostichopus japonicus) and Shrimps (Litopenaeus vannamei) Investigated with Tag-Encoded 454 Pyrosequencing of 16S rRNA Genes)

  • 노은수;김영삼;김동현;김경호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37-244
    • /
    • 2013
  • 16S rRNA 유전자를 대상으로 454 파이로서열 분석법을 이용하여 해삼(Apostichopus japonicus)과 새우(Litopenaeus vannamei)의 장내 세균의 다양성을 분석하였다. 해삼의 경우, 대부분의 서열은 두 개의 속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는 Fusobacteria 문의 Propionigenium 속이며, 다른 하나는 Bacteroidetes 문의 Flavobacteriaceae 과에 속하는 미분류 속이었다. 새우는 해삼에 비해 다양한 속들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Lactococcus, Leuconostoc, Prochlorococcus, Vibrio 속들과 Flavobacteriaceae, Rhodobacteraceae, Desulfobulbaceae, Helicobacteraceae 과와 Mycoplasmatales 목에 속하는 미분류 속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해삼과 새우의 속들의 절반 이상이 환경에서 비배양적으로 얻어진 서열만 존재하는 미분류된 속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용량 454 파이로서열 분석법을 통하여 해삼과 새우의 장내 세균의 다양성을 밝힐 수 있었으며, 그 결과 해삼과 새우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는 새로운 미생물을 많이 포함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Spliced leader sequences detected in EST data of the dinoflagellates Cochlodinium polykrikoides and Prorocentrum minimum

  • Guo, Ruoyu;Ki, Jang-Seu
    • ALGAE
    • /
    • 제26권3호
    • /
    • pp.229-235
    • /
    • 2011
  • Spliced leader (SL) trans-splicing is a mRNA processing mechanism in dinoflagellate nuclear genes. Although studies have identified a short, conserved dinoflagellate SL (dinoSL) sequence (22-nt) in their nuclear-encoded transcripts, whether the majority of nuclear-coded transcripts in dinoflagellates have the dinoSL sequence remains doubtful.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dinoSL-containing gene transcripts using 454 pyrosequencing data (Cochlodinium polykrikoides, 93 K sequence reads, 31 Mb; Prorocentrum minimum, 773 K sequence reads, 291 Mb). After making comparisons and performing local BLAST searches, we identified dinoSL for one C. polykrikoides gene transcript and eight P. minimum gene transcripts. This showed transcripts containing the dinoSL sequence were markedly fewer in number than the total expressed sequence tag (EST) transcripts. In addition, we found no direct evidence to prove that most dinoflagellate nuclear-coded transcripts have this dinoSL sequ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