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ack test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26초

내로우 스쿼트 운동이 내반슬 성인의 무릎 사이 거리와 보행 시 무릎 관절의 생체역학에 미치는 즉각적인 영향 (The Immediately Effect of Narrow Squats on the Knee Joint Biomechanics During a Gait and Distance Between the Knees of Person With Genu-varum)

  • 한석규;김택훈;노정석;최흥식;이준영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9-26
    • /
    • 2018
  • Background: Genu varum is also known as bow leg. It is a deformity wherein there is lateral bowing of the legs at the knee. it does give rise to pain, and persistent bowing can often give rise to discomfort in knees, hips and ankles. Objec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narrow squats on the knee joint during a gait and distance between the knees of person with genu varum. Methods: This study analyzed 23 patient with genu varum that grade III, 12 narrow squat group and 11 genenal squat group in motion analysis laboratory. The subjects of experiment took gait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range of joint motion, moment of knee joint adduction, power, distance of the knees were measured. And in order to make an analysis between groups, an paiered t-test and independent t-test was carried out.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esting, it was decided that significance level ${\alpha}$ be .05. Results: It was shown that the group of narrow squat exercise significantly decreased in distance of knees (p<.05),In moment of adduction of knee joint, it was shown to significantly decrease in two groups (p<.05),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adduction, abduction, and rotation (p<.05). In relation of peak-knee adduction moment and valgus angle,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narrow squat group (p<.05). Conclusion: When the above result of study were examined, a narrow squat exercise given to the genu varum patients significantly decreased the distance between the knees, range of knee adduction and abduction, knee adduction moment, knee power. And stability gains through the decrease of excursion of knee medial part be effective for the correction of genu varum deformation.

다양한 OWL-DL 추론 엔진에서 대용량 ABox 추론에 대한 성능평가 (A Performance Analysis of Large ABox Reasoning in OWL-DL Reasoners)

  • 서은석;박영택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7호
    • /
    • pp.655-666
    • /
    • 2007
  • RacerPro, Pellet 등 지금까지의 전혈적인 추론 시스템들은 주로 Tableaux Algorithm 기반의 추론 시스템으로 Tableaux Algorithm의 특성상 대용량 ABox 추론에서 문제점을 나타낸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로 Tableaux Algorithm 기반에 DBMS를 함께 사용한 영국 Manchester 대학의 Instance Store와 Disjunctive Datalog Approach를 사용한 독일 Karlsruhe 대학의 KAON2가 있다. 현재 추론 시스템들에 대한 벤치마크 실험은 대부분 Tableaux Algorithm 기반의 TBox 추론 위주이며 ABox 추론에 대한 평가는 거의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최근 이슈로 부각된 (대용량 ABox 추론을 위한 추론 시스템)의 특성별 벤치마크 실험은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각 추론엔진들의 이론적 배경을 근간으로 전형적 추론엔진들과 최근 이슈에 따른 대용량 ABox론 위한 추론엔진들을 상호 비교를 통해 살펴보며 특히, 대용량 ABox 처리론 위한 추론엔진인 Manchester 대학의 Instance Store와 Karlsruhe 대학의 KAON2를 LUBM을 통하여 분석 평가함으로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대용량 ABox 추론엔진을 제시한다. 평가방법에서는 LUBM(Lehigh University BenchMark)에 대한 소개와 이를 이용한 벤치마크 실험 방법 및 평가 시스템에 대하여 소개한다. 본 논문은 결론을 통해 실험 결과와 각 추론엔진의 사용 Algorithm 특성을 기초로 다양한 환경에서의 대용량 ABox 처리에 적합한 추론엔진을 제시한다.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이 입원한 호스피스환자의 통증과 불안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Wholistic Hospice Nursing Intervention Program on Pain and Anxiety for In-patient of Hospice Palliative Care Unit)

  • 최성은;강은실;최화숙
    • 호스피스학술지
    • /
    • 제8권1호
    • /
    • pp.55-67
    • /
    • 2008
  • 목적: 말기환자와 그 가족들은 신체적인 고통뿐 아니라 심리·사회적, 영적 측면에서 전인적인 고통을 겪고 있으므로 이러한 고통을 완화시켜주기 위해서는 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등의 다학제(multi- discipline) 전문가들과 자원봉사자로 구성된 호스피스 팀에 의해 제공되는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한 현실이다. 본 연구는 단일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설계로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이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호스피스 환자의 통증과 상태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자료수집은 P시 소재 S병원의 호스피스 병동에 입원한 18세 이상의 환자 27명을 대상으로 2004년 4월 6일부터 2005년 4월 2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수집하였다. 제공된 전인적 호스피스간호중재 프로그램은 전인적, 다학제적, 개별 및 집단적인 중재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상호협동적인 다학제 전문가팀(간호사, 의사, 성직자, 사회복지사, 무용치료사, 미술치료사, 자원봉사자)이 호스피스 대상자 병실이나 병동에서 매회 120분씩, 총 10회(총1,200분)에 걸쳐 실시한 프로그램이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서 통증 척도는 윤영호(1998) 등이 한국형 간이통증 조사지(Korean Version of Brief Pain Inventory, BPI-K)로 개발한 도구 중 일부를 윤매옥(2000)이 사용한 도구, 상태불안 척도로는 Spielberger (1975)의 상태불안 측정도구(State-Anxiety Inventory)를 김정택과 신동균(1978)이 번역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대값, 최소값, 평균, 표준편차,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 1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입원 호스피스 환자(이하 실험군)는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통증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통증 점수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10.585, P= .000). (2) 가설 2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을 제공받은 실험군은 실험 전보다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낮을 것이다’ 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실험 후의 상태불안 정도가 유의하게 낮아 가설이 지지되었다(t=-8.234, P= .000).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전인적 호스피스 간호중재 프로그램은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 및 상태불안을 완화시키고 향상시켜 신체 및 정서적 차원에서 그 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호스피스 임상 실무에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그로 인해 호스피스 대상자의 통증을 조절하고 불안을 감소시켜 삶의 질을 총체적으로 높일 수 있는 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 PDF

보행기 사용 시 보행기의 높이가 주관절 신전근 활성도와 에너지소모지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alker Height on Muscle Activity in the Elbow Extensor and Energy Expenditure Index During Ambulation With Walkers)

  • 이영록;김택훈;노정석;신헌석
    •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5-42
    • /
    • 2006
  • The walker provides stability for walking for people whose lower extremities are disabled. It is important to measure and determine the appropriate height of a walker to conserve energy and to improve func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effects of walker height and gait velocity on triceps, latissimus dorsi muscle activation, and energy expenditure index (EEI) during ambulation with a walker. Fifteen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subject was assigned a walker with one of three heights (high, standard, lower height) and of two gait velocities (comfortable gait velocity or fast gait velocity). Electromyographic data were collected from triceps and latissimus dorsi, and EEI was determined from each condition. Two-way repeated analysis of variance (ANOVA) was used to determi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Post hoc comparison was performed with the Bonferroni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VIC of triceps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MVIC of dominant triceps brachii was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ho used the higher walker than those who used the lower walker (p<.05).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VIC of the latissimus dorsi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and gait velocity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MVIC of dominant latissimus dorsi was also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patients who used the higher walker than those who used the lower walker (p<.05) and in those who used the faster gait velocity than those who used the slower gait velocity (p<.05).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EI among different walker height factors and gait velocity factors. Post hoc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EEI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ose who used higher and lower walkers compared with the standard walker. The EEI was also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among those who used the fast gait velocity than those who used the slower gait velocity (p<.05). It has been concluded that increased muscle activation in triceps and latissimus dorsi was required when the walker height increased and that more energy was exp ended when the gait velocity increased. Therefore,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walker height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purposes of gait training and that healthy subjects conserve energy when ambulating with standard walkers in a comfortable gait velocity.

  • PDF

각성 수준에 따른 3-back 과제 수행 능력의 차이 (Difference of 3-back task performance ability due to levels of arousal)

  • 이수정;민윤기;김보성;최미현;양재웅;최진승;전재훈;탁계래;민병찬;정순철
    • 감성과학
    • /
    • 제12권4호
    • /
    • pp.373-380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세 단계의 각성 수준이 3-back 과제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관찰하고자 하였다. 10명의 남자(평균 $25.7{\pm}1.5$세) 대학생과 10명의 여자(평균 $24.5{\pm}1.8$세) 대학생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집단검사를 통해 추출된 사진을 이용하여 세 단계의 각성 수준 즉, 긴장, 중립, 이완감성을 유발하였다. 모든 피험자는 각 각성 수준에 대해 한 번씩, 총 3번의 실험에 참여하였다. 안정1(2분), 각성유발사진제시1(2분), 3-back 과 제1(2분), 각성유발사진제시2(2분), 3-back 과제2(2분), 안정2(2분)의 6단계로 실험이 진행되었고, 전 단계에서 피부전도수준(skin conductance level: SCL)도 함께 측정하였다. 3-back 과제의 정답률은 중립 조건일 때 가장컸고, 이완, 긴장 조건 순서였다. 반응시간은 세 조건 간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구간에서 측정된 피부전도수준은 긴장 조건일 때 가장 컸고, 중립, 이완 순서로 나타남으로써, 사용된 각성유발사진이 적절한 각성수준을 유발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로부터 인지 처리와 무관하게 유발된 긴장도의 증가나 감소는 과제 수행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유추할 수 있다.

  • PDF

3축 가속도계와 신체정보를 이용한 보행 및 주행시 에너지 소비량의 예측 (Estimation of Energy Expenditure of Walking and Running Based on Triaxial Accelerometer and Physical Information)

  • 강동원;최진승;문경률;탁계래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9-114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시에 간단하고 실용적인 방법으로 에너지 소비를 예측하는데 있다. 신체활동은 허리에 부착된 3축 가속도계 센서를 사용하여 가속도의 함으로써 정량화하였다. 에너지 소비량과 가속도계 데이터의 관계를 찾기 위하여 11명(남성 6명, 여성 5명)의 피험자를 상대로 1.5, 3.0, 4.5, 6.0, 6.5, 7.0, 8.5km/hr의 속도로 트레드밀에서 걷거나 달리는 동작을 시행하였다. 각 피험자는 트레드밀 속도가 6.0km/hr 일 경우에는 걷는 동작을 6.5km/hr 이상일 경우께는 달리는 동작을 수행하였다. 실제 에너지 소비량은 가스분석기를 통하여 측정되었다. 예측 식은 피험자의 성, BMI(Body Mass Index), 가속도 데이터로 이루어졌으며 걷기, 달리기로 총 2개의 다중회귀식으로 구현되었다. 실제 측정된 에너지 소비량과 예측된 에너지 소비량 간의 상관계수와 결정계수는 걷기와 달리기에서 각각 R=0.956, R2=0.876와 R=0.881, R2=0.776를 나타내었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 많은 피험자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보다 신뢰성 있는 에너지 소비량 예측의 회귀식을 구현하고자 한다.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사료원으로써 대두박의 이용 효과 II. 소화율, 배설 및 체조성 변화 (Effects of Dietary Soybean Meal in Rainbow Trout (Oncorhynchus mykiss) II. On the Apparent Digestibility, Excretion and Body Composition)

  • 김병기;전중균;허형택;조재윤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95-407
    • /
    • 1996
  • 사료 단백질원으로써 대두박의 생물학적 이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무지개송어를 160일 동안 사육하면서 사육 후 60일 및 120일째에는 대두박 사료의 소화율, 암모니아의 배설 경향 및 어체의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 사료로는 단백질원으로 어분을 $64.5\%$ 사용한 대조구 및 상품 탈지 대두박을 $10\~70\%$까지 등간격으로 늘린 사료를 사용하였으며, 비교를 위하여 상품용 무지개송어 사료를 사용하였다. 실험 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소화율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단백질 소화율은 증가하였지만, 지질 소화율은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무지개송어의 전어체 및 조직(간 및 근육)의 일반 성분에서 대두박 함량이 많은 공급구일수록 지질 함량이 적었으나 전어체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단백질의 최종 대사산물인 암모니아($NH_3-N$)의 배설량을 섭이 후 24시간 동안 조사하였더니, 배설은 주로 후반 12시간에 많아 총 배설량의 2/3 이상이나 되었고, 24시간의 총 배설량은 대두박 함량이 많을수록 증가하여 대두박함량 $70\%$ 공급구가 $466.8\;mg{\cdot}kg\;body\;wt.^{-1}day^{\-1}$으로 대조구의 $115\%$ 수준이었다. 이상과 같이 대두박 함량이 많은 사료는 단백질의 소화 흡수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고 그보다는 에너지원 중에서 지질의 이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듯 하였다.

  • PDF

여성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피로 예측 모형 (Prediction Model of Fatigue in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 이경숙;이은옥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7-50
    • /
    • 2001
  • Rheumatoid arthritis is a chronic systemic autoimmune disease. Although the joints are the major loci of the disease activity, fatigue is a common extraarticular symptom that exists in all gradations of rheumatoid arthritis. Fatigue is defined as a subjective sense of generalized tiredness or exhaustion and has multiple dimensions. Therefore fatigue is a common and frequent problem for those with rheumatoid arthritis. In fact, 88-100% of individuals with rheumatoid arthritis experience fatigue. Especially the degree of fatigue is higher in women than 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Despite the importance of fatigue among the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the mechanism that leads to fatigue in rheumatoid arthritis is not completely understood. This study was intended to test and validate a model to predict fatigue in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Especially it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 variables of pain, disability,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morning stiffness, and symptom duration to fatigu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naires including Multidimensional Assesment of Fatigue(Tack, 1991), numeric scale of pain, graphic scale of joints, Ritchie Articular Index, Korean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Bae, et al., 1998), Inventory of Function Status(Tulman, et al., 1991),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and Korean Sleep Scale(Oh, et al 1998). The sample consisted of 345 women with a mean duration of rheumatoid arthritis for 10.06 years and a mean age of 49.64 years. SPSS win and Win LISREL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vealed the overall fit of the model. Pain predicted fatigue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disability, depression, and sleep disturbance. Disability, sleep disturbance predicted fatigue only directly, while depression only indirectly through disability and sleep disturbance. Also morning stiffness and symptom duration predicted fatigue through disability and depression. All predictors accounted for 65% of the variance of fatigue. Depression, pain, and disability predicted sleep disturbance. Depression had reciprocal relationship with disability and they both were predicted by pain directly and indirectly. In summary, pain, depression, disability, sleep disturbance, morning stiffness, and symptom duration contributed to the fatigue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The best predictor of fatigue was pain. This finding indicates that the modification of pain, depression, disability, sleep disturbance, morning stiffness could be nursing intervention for relief or prevention of fatigue.

  • PDF

치매노인의 문제특성에 대한 위험순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cedence of the Risk of Problem Features of Senile Dementia Patients)

  • 유지혜;이행운;엄진섭;박수준;이봉수;이정환;탁계래;정순철
    • 감성과학
    • /
    • 제10권1호
    • /
    • pp.79-86
    • /
    • 2007
  • 치매노인의 주요 문제특성의 추출을 위해 시설에 입소해 있는 치매노인 110명을 대상으로 기본특성 조사, 인지기능 선별검사, 문제특성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총 20개의 주요 문제특성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치매노인 보호를 위해 주요 문제특성 20개의 위험순위를 결정하였다. 치매진단 및 치매환자를 접한 경험이 있는 정신보건 임상심리사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계층분석법을 이용하여 상대적 위험도를 분석하였고, 20개의 문제특성 전체에 대하여 위험도 서열을 정하도록 하여 위험순위를 결정하였다. 두 가지 분석 결과 모두 치매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시 기억력, 판단력, 지남력 장애와 같은 인지문제가 가장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oxicokinetics of paraquat in Korean patients with acute poisoning

  • Kim, Hak-Jae;Kim, Hyung-Ki;Lee, Hwayoung;Bae, Jun-Seok;Kown, Jun-Tack;Gil, Hyo-Wook;Hong, Sae-Y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20권1호
    • /
    • pp.35-39
    • /
    • 2016
  • To conduct a kinetic study of paraquat (PQ), we investigated 9 patients with acute PQ intoxication. All of them ingested more than 20 ml of undiluted PQ herbicide to commit suicide and arrived at our hospital early, not later than 7 h after PQ ingestion. The urine dithionite test for PQ in all of the nine patients was strongly positive at emergency room. Blood samples were obtained every 30 min for the first 2~3 h and then every 1 or 2 h, as long as the clinical progression was stable among the patients for 30 h after PQ ingestion. The area under the plasma concentration-time curve ($AUC_{inf}$), which was extrapolated to infinity, was calculated using the trapezoidal rule. Toxicokinetic parameters, such as the terminal elimination half-life, apparent oral clearance, and apparent volume of distribution ($V_d/F$) were calculated. The maximum PQ concentration ($C_{max}$) and the time to reach maximum PQ concentration ($T_{max}$) were also obtained. Plasma PQ concentrations in nine patients were well described by a bi-exponential curve with a mean terminal elimination half-life of $13.1{\pm}6.8h$. $C_{max}$ and $AUC_{inf}$ were $20.8{\pm}25.7mg/l$ and $172.5{\pm}160.3h{\cdot}mg/l$, respectively. Apparent volume of distribution and apparent oral clearance were $50.9{\pm}61.3l/kg$ and $173.4{\pm}111.2l/h$, respectively. There were a significant correlation (r=0.84; p<0.05) between the PQ amount ingested and $C_{max}$. $AUC_{inf}$ also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r=0.83; p<0.05) with the PQ amount ingested. These correlations provide evidence that PQ has dose-linear toxicokinetic characteristic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