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systematic implant planning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211초

Clinical application of a new systematic implant planning concept: A Clinical Report

  • Jeong, Seung-Mi;Chung, Chae-Heon;Engelke, Wilfried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814-820
    • /
    • 2000
  • Statement of Problem. Commonly used classification systems do not inform for dentists the dimension of the available bone at a potential implant site although regarding a variety of morphologic and pathophysiologic aspects using schematic graphs. However, for the implantologist the availability of bone substance is most important independent whether it concerns the jaw basis or the alveolus. Purpose of Study. The present article refers to a new evaluation form, to analyze the available bone with regard to optional immediate loading site by site. According to a new systematic implant planning concept will be presented in two case reports. Results. The feasibility of the classification for planning and documentation of immediately loaded implants is presented in two case reports. Conclusion. The factor of bone support for immediate functional stability is important in dental implantology. The new systematic implant planning helps to systematically estimate the dimension (ASCIi classification) of the alveolus site by site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immediate loading. The Gottingen classification thus aids to determine the degree of stability that can be expected for the planned solution.

  • PDF

Anatomical Site Classification for Implant Insertion:ASCIi

  • Jeong, Seung-Mi;Chung, Chae-Heon;Engelke, W.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321-327
    • /
    • 2000
  • Statement of Problem. As a standard means of diagnostics, an orthopantomogram(OPT) permits to measure the vertical and mesiodistal dimension of available bone at the desired implant site with the help of suitable radioopaque references. Based on the clinical investigation of the dentition and the edentulous sites, information upon the width of the implant site can be obtained and documented in the dental scheme. Both findings permit together systematic primary planning for endosteal implants. Purpose of Study. Contents of the present article are the representation of a semi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available bone with the aim to simplify the primary phase of a systematic implant planning. Results. Thus the ASCIi- system permits a clear protocol of bone findings for the implant case with all information available during the primary appointment for treatment planning as a basis of further diagnostic and therapeutic measures. Conclusion. With the ASCIi system, important parameters such as alveolar height and sub-crestal alveolar width can be documented systematically, easily and time saving in the dental scheme as a basis for exact treatment planning.

  • PDF

체계적인 임플랜트 치료 계획의 수립과 성공적인 임상을 위한 컨셉트 (A SYSTEMATIC IMPLANT TREATMENT PLANNING AND CONCEPTS FOR CLINICAL SUCCESS)

  • 정승미;김세훈;유지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243-249
    • /
    • 2006
  • Statement of problem: It is important to have a correct presurgical treatment plan before any implant surgery. It must contain substantial information about the patient concerned. However, the standard classification only notifies the dentist about various structural, pathological and physiological dimensions Due to diverse structure of the jaw bone, current standard classification does not tell spatial dimensions of the available bone for implant insertion sites. Purpose of stud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stablishment of the systematic implant treatment plan and its clinical treatment using $Implan^(R)$ program which is based on ASCIi-classification that is available for future diagnosis and scale of treatment and for systematic implant insertion. Results: By assisting the systemic measurement of the available alveolus dimension during implant surgery, it was easy to set initial implant treatment plan. Conclusion: Using $Implan^(R)$ program which is based on ASCIi-classification system that allows the establishment of systemic implant treatment plan and successful clinical performance,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the founding or initial implant treatment plan ,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nd the systematization of documentation.

후천성 인공와우 이식 성인의 청능훈련 사례 연구 (Case Study of Auditory Training for the Acquired Hearing loss Adult with Cochlear Implant)

  • 홍하나
    • 재활복지
    • /
    • 제17권4호
    • /
    • pp.371-382
    • /
    • 2013
  • 최근 인공와우 이식 수술에 대한 건강보험이 확대 되면서 이식자들의 수는 늘어나게 되었다. 2005~2009년 사이 최근 6년간 인공와우 수술을 받은 환자는 약 3,300여명이 이르며 그 중 성인의 인공와우 이식 수가 늘어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어린 아동의 경우 인공와우 이식 후 청능훈련을 적극적으로 받으며 관련 연구도 많이 있지만 성인에 대한 이식 후 청능훈련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는 언어습득이후 인공와우를 이식한 성인여자(54세) 1명을 대상으로 Ling 6 sound test, 표준화된 자음과 모음 듣기 검사, 문장 검사 그리고 실생활에 필요한 환경음과 단어의 인지 및 확인 평가 도구를 이용하여 10주간 청능훈련을 실시하였다. 10주간의 청능 훈련 결과, 대상자는 Ling 6 sound의 모든 음소를 확인하였으며 표준화된 자모음과 문장 듣기 검사에서도 100%에 가까운 수행력을 보였다. 또한 실생활에 환경음과 단어의 인지 및 확인은 57%에서 95%까지 수행력이 개선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청능훈련은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계획과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재활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완전무치악환자의 전악 임플란트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한 체계적인 접근법 (Rational treatment planning for implant treatment of the edentulous patients)

  • 배정인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4-68
    • /
    • 2023
  • 디지털 방법을 사용한 무치악의 임플란트 치료계획은 surgical guide design으로 구체화된다. Surgical guide를 제작할 때, 우리는 먼저 최종 보철의 형태를 가상공간에 구현한 후 이를 바탕으로 식립 계획을 구체화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무치악 환자는 치아배열의 기준이 없고 악간관계가 정립되어 있지 않아 최종 보철의 형태를 짐작하기 어려워 surgical guide를 만드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때 기존의 만족스러운 총의치나 부분의치, 잔존치 등이 존재한다면 그 치아배열이 가상적인 최종 보철의 reference가 될 수 있다. 만약 이러한 reference가 부재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하다면, 진단용 목적으로 총의치를 제작하되 이를 구내에서 검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surgical guide를 제작할지라도 구내 상황에 따라 implant의 위치가 계획한 것과 다르게 식립될 수 있으며, 만약 guide의 positioning이 잘못된다면 그 오차는 모든 implant의 위치를 변위시킬 수 있으므로 guide 수술이 오히려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다. 본 기고에서는 치아 배열의 reference가 될 수 있는 자료들을 적절한 시기에 채득하여 이를 디지털 공간에 이전 및 통일된 좌표계로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또한 이렇게 수립된 식립계획을 현실의 구강에 적은 오차로 이전 및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여 일관적이고 체계적인 무치악 가이드 디자인의 프로토콜 정립에 대해 의견 개진하려 한다.

과도한 치아 마모와 다수의 치아 상실을 보이는 환자에서 computer tomography guided implant surgery와 수직고경 회복을 동반한 완전 구강 회복 증례 (Full-mouth rehabilitation with vertical dimension increase and computer tomography guided implant surgery in patient with excessive worn dentition and multiple loss of tooth)

  • 이경섭;임영준;권호범;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66-74
    • /
    • 2019
  • 과도한 마모는 치료받지 않을 시 여러 문제점들을 야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분석 및 진단을 바탕으로 예지성 있는 치료계획을 수립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수직고경에 대한 평가 및 그에 따른 단계적인 치료를 통해 안정된 악간 관계를 회복시켜 주어야 한다. 또한 임플란트 치료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서는 이상적인 위치와 각도로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이 중요하며, 다수의 임플란트 치료에서는 그 중요성이 더욱 증가한다. 따라서 철저한 계획 및 진단에 따른 정확한 수술과 보철 과정이 중요하다. 본 증례에서는 다수의 치아 상실 및 전반적인 치아 마모로 인해 수직고경이 상실되어 있는 68세의 남자 환자에게 치료 전 단계에서부터 다양하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수직고경을 회복하는 치료 계획을 세웠다. 콘빔컴퓨터단층촬영 데이터를 활용하여 새로 설정한 수직고경에 맞춰 가이드 수술을 시행하였고, 임플란트를 포함한 전악 고정성 보철 수복을 통해 기능 및 심미적으로 환자와 술자 모두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교모 환자에서 안면 스캔을 활용하여 교합 평면을 재설정한 전악 보철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reorientation of occlusal plane using facial scan: a case report)

  • 김은경;오세은;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64-71
    • /
    • 2024
  • 전악 보철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이 적절한지 평가하는 것이며, 필요시 교합 고경 거상을 통해 회복해 주어야 한다. 수직 교합 고경이 낮으면 저작력이 감소되며 심미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저작근의 과수축이나 과두의 후방 변위가 일어난다. 본 증례는 수차례에 걸쳐 전악에 이르는 보철 수복 치료를 받은 후 부적절한 수직 교합 고경으로 인해 발음 및 심미에 불만족스러워 하는 환자에게 수직 교합 고경 거상을 동반해 전악 보철 수복 치료를 했다. 디지털 진단 장비를 활용해 환자의 수직 교합 고경, 교합 평면, 보철물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치료계획을 수립했다. 3D 안면 스캔으로 얼굴의 해부학적 구조를 파악하고 교합 평면을 설정한 다음 이에 맞추어 디지털로 진단 왁스업 했다. 전치부 기준 약 5 mm의 수직 교합 고경 거상을 결정하였으며 기존 식립된 양측 상하악 구치부의 임플란트의 상부 보철과 상악 4전치를 제외한 모든 잔존 치아를 수복하였다. 치료 순서는 양측 구치부의 임플란트 보철물을 먼저 제작하여 안정적인 교합 접촉을 형성한 뒤 자연치의 보철물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으며, 적응된 임시 수복물을 반영하여 동일한 순서로 최종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전악 보철 치료에서 안면 스캔을 이용해 환자의 facial landmark와 조화를 이루는 교합 평면을 설정하고 디지털 진단 왁스업 과정을 통해 적절한 치료계획을 수립하였고, 거상된 교합 고경을 유지하기 위해 구치부 임플란트를 이용한 결과 복잡한 기공 과정을 줄이고, 치료 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