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ell percent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Modeling sulfuric acid induced swell in carbonate clays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 Sivapullaiah, P.V.;Guru Prasad, B.;Allam, M.M.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권4호
    • /
    • pp.307-321
    • /
    • 2009
  • The paper employs a feed forward neural network with back-propagation algorithm for modeling time dependent swell in clays containing carbonate in the presence of sulfuric acid. The oedometer swell percent is estimated at a nominal surcharge pressure of 6.25 kPa to develop 612 data sets for modeling. The input parameters used in the network include time, sulfuric acid concentration, carbonate percentage, and liquid limit. Among the total data sets, 280 (46%) were assigned to training, 175 (29%) for testing and the remaining 157 data sets (25%) were relegated to cross validation. The network was programmed to process this information and predict the percent swell at any time, knowing the variable involved. The study demonstrates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 general BPNN model that can predict time dependent swell with relatively high accuracy with observed data ($R^2$=0.9986). The obtained results are also compared with generated non-linear regression model.

부분적으로 가황된 EPDM 배합의 유변학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a Partially Vulcanized Filled EPDM)

  • 김상구;이석현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22권3호
    • /
    • pp.213-218
    • /
    • 1987
  • 고무중에서 polymer melt와 가장 유사한 유변학적 거동을 보이는 EPDM을 택하여, 가황반응속도를 조사하였으며, 이에 따라 부분적으로 가교도를 달리한 시편의 유변학적 특성을 capillary rheometer를 사용하여 검토하였다. 가교도가 0, 1.5, 3, 6%로 증가함에 따라 die 입구 및 출구에서의 압력 손실은 커지고, melt fracture가 일어나는 전단속도는 낮아지며 특히 die swell은 거의 직선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die swell, melt fracture, end effects등의 근원이 고분자 사슬의 탄성변형에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압출, 압연등에서 흔히 관측되는 die swell의 요동이 가공중 발생할 수 있는 가황반응에 기인할 수도 있음을 보여준 것이다.

  • PDF

Comparative research on expansive soil stabilization using ecofriendly materials versus nano-materials

  • Ali Hasan Hammadi Algabri;Seyed Alireza Zareei;Mohamed Jassam Mohamed Al Taee;Niloofar Salemi
    • Advances in nano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25-136
    • /
    • 2024
  • In the present research the durability and geotechnical properties of an expensive clayey soil stabilized by two different compositions of additive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The first composition consisted of environmentally and ecofriendly materials: BOF steel slag ranging from 0-20% as well as rice husk ash (RHA) ranged 0-16%wt of dry soil. The other composition consisted of relatively new generation of materials including nanomaterials: nano-CaCO3 as well as nano-SiO2. Atterberg limits test, free swell percent test, swelling pressure test and unconfined compressive test were used to assess the stabilizers influences upon expansive soil geotechnical characteristics. Also, the recurrent wet-dry cycles test was exerted o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amples for estimating stabilizers effects on durability. According to the results, each of the BOF slag and RHA enhances the expansive soil properties individually, while combination of slag-RHA led to better improvement of the soil properties. Also, the composition of nano-CaCO3 and SiO2 dramatically improved the clay soil operation. The optimum values of slag+RHA were suggested as 20% slag+12% RHA to enhance percent of swelling, pressure of swelling in addition to UCS as much as 95%, 96%, and 370%, respectively. The optimum value for the second stabilizer in this study was found to be 2%nano-SiO2+2% nano-CaCO3 which led to 318% increase in UCS and 86% decrease in swelling pressure.

블루베리 인력적화 시기와 방법이 과실특성에 미치는 영향 (Fruit Quality of Rabbiteye Blueberry as Affected by Manual Floral Buds Thinning)

  • 김홍림;채원병;김진국;이목희;이한철;김승희;곽용범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166-172
    • /
    • 2019
  • 블루베리의 소과비율 증가는 시장 경쟁력 하락과 수확생산성 악화로 농가의 채산성을 악화시킨다. 본 연구는 래빗아이 블루베리를 대상으로 적화 시기, 방법에 따른 과실특성, 생산성을 구명하여 농가현장에 적용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수는 8년생 'Brightwell'를 주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분수로 'Powderblue'를 사용하였다. 엽과비에 따른 과실크기 분포는 착과량이 다양한 127주의 'Brightwell'을 대상으로, 주당 1개의 결과모지를 선정하여 잎과 과실수를 계수하였다. 적화시기에 따른 효과 구명을 위해 꽃눈 발달 단계별로 구분하여 착화량의 50%를 제거하였고, 이때 소요되는 시간과 과실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블루베리 과중과 당도는 엽과비와 같은 경향으로 증가했으며, 직경 13 mm미만, 이상으로 구분한 과실크기 분포비율은 엽과비 2.5수준에서 반전되었다. 꽃눈 발달단계별 손 적화 속도는 만개기(Full bloom) 적화가 가장 빨랐으며, 발아초기(Bud swell) 적화가 가장 늦었다. 적화시기에 따른 과중과 직경 13 mm 미만 소과비율은 조사품종 모두 무 적화와 비교해 뚜렷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주당 수량은 유의차가 없었다. 소과비율은 두 품종 모두 적화시기가 늦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낙화기(Petal fall) 적화는 무적화와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누적 수확량 90%에 도달한 시점은 'Brightwell'은 만개기(Full bloom) 적화, 'Powderblue'는 발아초기(Bud swell), 만개기(Full bloom) 적화처리에서 가장 빨리 도달했다. 이는 무 적화와 비교하여 수확이 각각 25일, 20일 빨랐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적화 정도에 따른 효과는 품종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적화는 조기 집약수확과 대과비율 및 수확생산성 증가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하였고, 적화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만개기(Full bloom) 전에 결과지 선단 화총의 하단부 꽃눈을 제거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요소-멜라민수지로 접착된 파티클보드에 농작물 짚 첨가의 효과 (Effect of Agricultural Straw Addition in Particleboard Bonded with Melamine-urea-formaldehyde Resin)

  • 이종규;김종인;오용성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4권6호
    • /
    • pp.476-480
    • /
    • 2005
  • 벼와 보리 등의 농작물 짚은 파티클보드의 원료로서 부분적으로 대체 첨가 사용할 수 있었다. 파티클보드 접착용 요소-멜라민수지 접착제를 실험실에서 수지 접착제 고형분량에 대해 5% 멜라민을 첨가하여 합성하였다. 두개의 농작물 짚을 전건 목재파티클 무게에 대해 10, 20, 30, 40% 대체하여 혼합하고 합성한 요소-멜라민수지 접착제로 파티클보드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파티클보드는 물리적, 기계적 성능과 치수안정화에 대해 성능을 비교하였다. 성능평가 결과는 파티클보드에 볏짚과 보릿짚의 대체 첨가율이 증가됨에 따라 제조한 파티클보드의 성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줬다. 전체적으로 농작물 짚은 파티클보드 제조의 원료로서 15%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었다.

In-pile tritium release behavior and the post-irradiation experiments of Li4SiO4 fabricated by melting process

  • Linjie Zhao;Mao Yang;Chengjian Xiao;Yu Gong;Guangming Ran;Xiaojun Chen;Jiamao Li;Lei Yue;Chao Chen;Jingwei Hou;Heyi Wang;Xinggui Long;Shuming Peng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6권1호
    • /
    • pp.106-113
    • /
    • 2024
  • Understanding the tritium release and retention behavior of candidate tritium breeder materials is crucial for breeder blanket design. Recently, a melt spraying process was developed to prepare Li4SiO4 pebbles, which were subsequently subjected to the in-pile tritium production and extraction platform in China Mianyang Research Reactor (CMRR) to investigate their in-situ tritium release behavior and irradiation performance.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HT is the main tritium release form, and adding hydrogen to the purge gas reduces tritium retention while increasing the HT percent in the purge gas. Post-irradiation experiments reveal that the irradiated pebbles darken in color and their grains swell, but the mechanical properties remain largely unchanged. It is concluded that the tritium residence time of Li4SiO4 made by melt spraying method at 467 ℃ is approximately 23.34 h. High-density Li4SiO4 pebbles exhibit tritium release at relatively low temperatures (<600 ℃) that is mainly controlled by bulk diffusion. The diffusion coefficient at 525 ℃ and 550 ℃ is 1.19 × 10-11 cm2/s and 5.34 × 10-11 cm2/s, respectively, with corresponding tritium residence times of 21.3 hours and 4.7 hou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