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an goos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Chewing Lice of Swan Geese (Anser cygnoides): New Host-Parasite Associations

  • Choi, Chang-Yong;Takekawa, John Y.;Prosser, Diann J.;Smith, Lacy M.;Ely, Craig R.;Fox, Anthony D.;Cao, Lei;Wang, Xin;Batbayar, Nyambayar;Natsagdorj, Tseveenmayadag;Xiao, Xiangming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685-691
    • /
    • 2016
  • Chewing lice (Phthiraptera) that parasitize the globally threatened swan goose Anser cygnoides have been long recognized since the early 19th century, but those records were probably biased towards sampling of captive or domestic geese due to the small population size and limited distribution of its wild hosts. To better understand the lice species parasitizing swan geese that are endemic to East Asia, we collected chewing lice from 14 wild geese caught at 3 lakes in northeastern Mongolia. The lice were morphologically identified as 16 Trinoton anserinum (Fabricius, 1805), 11 Ornithobius domesticus Arnold, 2005, and 1 Anaticola anseris (Linnaeus, 1758). These species are known from other geese and swans, but all of them were new to the swan goose. This result also indicates no overlap in lice species between older records and our findings from wild birds. Thus, ectoparasites collected from domestic or captive animals may provide biased information on the occurrence, prevalence, host selection, and host-ectoparasite interactions from those on wild hosts.

멸종위기 개리 (Anser cygnoides)의 월동기 서식지 이용과 먹이원 (Habitat Use and Food Materials of the Endangered Swan Goose (Anser cygnoides) during the Wintering Season)

  • 최유성;주성배;김면식;한동욱;정길상
    • 생태와환경
    • /
    • 제50권2호
    • /
    • pp.266-274
    • /
    • 2017
  • 멸종위기종 개리(Anser cygnoides)의 월동기 서식지 이용과 먹이원에 대해 연구하였다. 개리는 서천갯벌에 10월에 도래하여 약 6개월간 월동한 후, 다음해 4월초에 월동지를 떠나 번식지로 이동하였다. 서천갯벌에서 월동하는 동안 개리는 뚜렷한 지역 간 이동, 서식지 이용 패턴을 보였다. 즉 도래초기인 10월에는 주로 송림리 갯벌의 매자기류 (Bolboschoenus sp.) 군락지를 집중하여 이용하였으나, 11월부터는 장구만 지역으로 이동하여 연안 갯벌에 일부 존재하는 매자기류 군락지와 인근 농경지에서 섭식활동을 하였다. 배설물에서 추출한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개리가 사초과의 매자기류 식물을 월동기간 동안 주먹이원으로 이용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분포와 섭식지 이용에 변화를 보이는 시기에 사초과 식물 외에도 콩과 식물의 검출양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리가 월동기간 동안 섭식하는 먹이원의 이용가능성 변화에 반응하여 서식지를 이용하는 전략을 취하는 것으로 평가된다. 서천갯벌은 개리의 월동지로서 가치가 있으며, 특히 송림리와 장구만 지역에 분포하는 매자기류 군락지는 월동기간 동안 개리가 이용하는 핵심지역으로 보호되어야 한다.

낙동강하구에 서식하는 천연기념물 조류의 분포 현황 (Distribution Status of Natural Monument Birds in Nakdong River Estuary)

  • 유재평;강정훈;진선덕;백인환;함규황;백운기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86-99
    • /
    • 2010
  • 2007년 3월부터 2008년 2월까지 낙동강하구에서 관찰된 천연기념물 조류는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제326호), 원앙(Aix galericulata; 제327호), 고니(Cygnus columbianus; 제201-1호), 큰고니(Cygnus cygnus; 제201-2호), 저어새(Platalea minor; 제205-1호),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제205-2호), 참수리(Haliaeetus pelagicus; 제243-3호), 흰꼬리수리(Haliaeetus albicilla; 제243-4호), 잿빛개구리매(Circus cyaneus; 제323-6호), 황조롱이(Falco tinnunculus; 제323-8호), 개리(Anser cygnoides; 제325-1호) 등 총 11종 2,209개체였다. 특히, 국내 철새도래지 중 2,000개체 이상의 큰고니(Cygnus cygnus)가 월동하는 곳은 낙동강하구가 유일하다. 을숙도와 명지 갯벌 및 사구주변의 간석지(명금머리, 백합등, 도요등, 장자도 등)는 노랑부리저어새, 큰고니, 개리 등 천연기념물 조류의 주요 서식지이며, 세모고랭이(Scirpus triqueter), 갈대(Phragmites communis) 등의 수생식물군락은 큰고니를 비롯한 오리류의 채식 및 휴식처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낙동강하구의 서식지 및 천연기념물 조류의 보호와 관리 방안으로 수질오염의 최소화, 수생식물의 서식지 조성 및 관리, 사구 및 갯벌의 보호, 안정적인 서식지 확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