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wamps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21초

범람원에 형성된 호소성 습지에 관한 연구 - 낙동강 중류를 사례로 - (Lake-like Swamps Formed in Floodplain on Middle Reach of Nakdong-gang River)

  • 천미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9
    • /
    • 2008
  • 본 연구는 낙동강과 그 지류인 금호강에 형성된 호소성 습지의 형성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세 시기의 지형도를 비교 분석하고 단면도를 작성하였으며, 퇴적물의 입경분포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호소성 습지의 형성 과정을 3가지로 유형화하였다. 첫째, 샛강습지와 금강늪은 망류하천을 이루고 있는 구간에서 분류하여 흐르는 유로의 자유로운 이동 과정에서 남아 형성된 잔적호 습지이다. 둘째, 씩실늪과 낫늪은 배후산지에서 흘러나온 지류가 자연제방의 방해로 유로가 차단되어 자연제방과 평행하게 흘러 본류로 유입되는 yazoo형 습지이다. 셋째, 세천늪과 호촌늪, 진촌늪은 본류 하천의 범람으로 자연제방과 배후습지가 형성된 이후에 다음 홍수시 범람하는 본류 하천이 습지로 유입되어 형성된 범람 유입수형 습지이다.

  • PDF

함안 자연늪 산 균조류의 계절적 소장 (Seasonal Variation of Diatom at Lowland Swamps in Haman County, Korea)

  • 정영호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0권2호
    • /
    • pp.117-133
    • /
    • 1987
  • The diatoms were investigated at three lowland swamps in Haman county form July, 1983 to July, 1984 on monthly interval. Seasonal changes of standing crops, the variation of dominant species and species composition were studied. The maximum of standing crops showed bimodal pattern at Chilnalpol and Yujnnup. Dominant species were Navicula crytocephala, Cocconeis placentula, Achnanthes minutissima, Achnanthes lanceolata, Synedra ulna, Eunotia lunaris. Dominant species changed seasonally. Total 166species of diatom were identified. Three lowland swamps supported a rich diatom flora composed of many species typically associated with benthic diatom.

  • PDF

경부고속철도 천성산구간 원효터널공사와 늪지와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Wonhyo Tunnel(section of KTX line) Works and Swamp)

  • 함동선;김병호;전병규;김인수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38-1844
    • /
    • 2007
  • The Wonhyo Tunnel on KTX railroad line is a section of latest concerns from domestic environmental NGOs, which focus on potential destruction of ecosystem or the like due to ever-depleted swamp water at about 300m upward from the tunnel under construction. As a result of study, out of all swamps in the vicinity of the tunnel, it was found that Mujechi 1st and 2nd swamps have been getting smaller in their area little by little since 50 years ago primarily under the influence of eroded streams around lower swamp and even ever-increasing annual mean temperature. As the result of monitoring about swamp before work, it was found that swamp water depends absolutely on amount of rainfall. Besides, the results of monitoring during work also didn't show any leakage generated in the tunnel during and after excavation works with regard to a wheat field swamp in the most vicinity of the tunnel (80m awa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range affected by ground water sink in tunnel section without grouting process amounted to about 100m around the tunnel, which indicates that such ground water sink has no significant impact upon most of swamps near the tunnel. As the result of testing by two well tracer test around swamps, it was noted that swamp water didn't run out from the bottom of swamp even with adjacent ground water level sunk in factitious ways. And the results of physical survey showed that swamp kept saturated even in dry season when ground water level becomes lower than the bottom of swamp. Therefore, even supposing that ground water level becomes sunk due to tunnel works, it is estimated that the water level of swamps would be still kept owing to impervious layer(peat beds).

  • PDF

경남 자연늪에 서식하는 단성 윤형동물 (Monogonent Rotifers (Monogononta ; Rotifera) Inhabiting Several Lowland Swamps in Kyngsangnam-do , Korea)

  • 송민옥;김훈수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2호
    • /
    • pp.139-157
    • /
    • 1989
  • 1988년 2월 22일 부터 동년 10월 2일까지 4차에 걸쳐 경상남도 일원의 우포늪, 주남지, 질날늪 및 외송늪의 10개 지소에서 채집한 윤형동물 중 다성류(monogonont rotifers)를 관찰한 결과 5과 4종, 9아종, 2변종 및 2형이 동정되었다. 이중에서 Testudinella mucronata hauerensis, Platyias quadricormis, Myti-lina acanthophora, Lecne ungulata ungulata, Trichocerca bicristata bicristata, Dicranophorus epicharis의 3종 및 3아종이 한국 미기록으로 이들에 대하여 재기재하였다.

  • PDF

습지(wetlands)에 대한 용어 이해 (The Conprehesion of the Terminology of Wetlands)

  • 문현숙
    • 동굴
    • /
    • 제75호
    • /
    • pp.35-39
    • /
    • 2006
  • 습지는 물로 덮여 있는 지역에 대한 총칭이다. 습지 연구에 있어 필요한 요건은 수문, 토양, 식생이다. 람사(Ramsar)에서는 수문을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습지를 정의한다. 외국에서 학술적 용어로는 swamps, marshes, bogs, fens 등이 있다. 무엇보다 위치를 중심으로 분류한 용어이다. 수문, 수질, 식생이 기준이 된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못, 소택지, 늪, 습원, 습지 등으로 불리운다. 그러나, 외국 용어를 해석하기에 혹은 우리나라 안에서의 학술적 통일성이 미흡하여 앞으로의 용어 정의가 절실히 요구된다.

임진강 장좌못을 통하여 본 하천습지의 이해 (The Conprehesion of the River Wetlands Through JangJyoua Wetlands in ImJin Gang)

  • 문현숙
    • 동굴
    • /
    • 제72호
    • /
    • pp.47-52
    • /
    • 2006
  • 장좌못은 임진강의 곡류로 인한 유로 변경의 결과 형성된 우각호이다. 장좌못은 하천습지로서 소택형 III으로 분류된다. 습지수의 유입과 유출이 구하도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 학자들에 의하여 하천습지의 분류가 있었으나 범람원상에 발달하고 현재의 하천과 지하수면을 공유하는 것으로 소택형 III습지로 분류 가능하다.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적 변동 (Seasonal Change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Woopo and Mokpo Swamp)

  • 김한순
    • 생태와환경
    • /
    • 제34권2호통권94호
    • /
    • pp.90-97
    • /
    • 2001
  • 국내에서 규모가 가장 큰 우포늪과 목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1998년 1월부터 12월까지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 현존량, 우점종, 종 다양성 및 우점도 지수 등을 조사하였다. 우포늪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종조성은 녹조류와 규조류에 의해 우점되었으며, 현존량의 최고 밀도는 Oscillatoria sp.와 Micractinium psuillum이 bloom을 형성한 5월과 11월에 나타났다. 현존량의 강별 구성은 겨울을 제외한 전조사기간 동안 녹조류와 남조류가 우점하였고, 남조류는 4월부터 9월까지 그리고 11월에 높은 현존량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5월과 7월에 매우 높은 우점도를 나타내었다. 규조류와 유글레나류는 1월과 2월에 현존량의 구성비가 높게 나타났으나 총 현존량이 적어 큰 의미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우점종은 녹조류의 Micractinium pusillum은 가을과 겨울에 우점종으로 출현하였고, 남조류 Oscillatoria sp.가 두 정점에서 모두 4월부터 9월까지 그리고 11월에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Actinastrum hantzschii var. fluviatile과 Monoraphidium contortum, 그리고 Cryptomonas sp. 등이 일시적인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나 규조류는 우점종으로 출현하지 않았다. 종 다양성은 우점도 지수와 역의 상관도를 나타내었으며, 현존량이 최고치인 Micractinium pusillum과 Oscillatoria sp.가 bloom을 형성하여 절대적인 우점도를 나타낸 5, 6월 및 11월에 종 다양성은 가장 낮았다.

  • PDF

경기도 내 자연 휴식공간의 네트워크화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Networking for the Natural leisure areas in Gyeonggi-do)

  • 성현찬;서정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16-129
    • /
    • 2009
  •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provincial leisure plans through various programs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and to establish a network of natural leisure areas in Gyeonggi-do. According to the result, first, in terms of analyzing the locations of natural leisure areas by types, the rest of urban parks is formed in the Capital area outside Seoul as centering around the central area. Moreover, with regard to the rest of forest and the rest of natural ecology learning, the area of the detention exceeds the total area of Gyeonggi-do. The rest of valleys and swamps showed a dotted pattern of the detention area while the rest of tideland and fishing village experience indicated a distribution of the detention area along the West Coast as an axis. Second, according to result of analyzing the accessibility of natural leisure areas by types, the rest of valleys and swamps showed the highest accessibility among the natural leisure areas : the rest of natural ecology learning had the medium level of accessibility; the rest of forest indicated the lowest accessibi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reate more leisure areas concerning the futures demands. In addition, they should be constructed in the places adjacent to the urban district area exhibiting higher usability and accessibility. In the places where there are many natural leisure area with higher utility, management plans should be deliberated as well. Based o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st of valleys and swamps and the rest of tideland and fishing village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the natural leisure area should improve the quality of water intensively and hydrophile property and create hydrophilic spaces. The development of natural leisure areas need to be carried out under the principl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while considering historic sites and nearby rivers and lakes. Moreover, water leisur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ctively as well with further utilization of water resources in order to enhance the usability of natural leisure.

경남 자연늪에 서식하는 담수 빈모류 (빈모강, 실지렁이목, 물지렁이과) (Freshwater Oligochaetes(Oligochaeta, Tubificida, Naididae) from Several Swamps in Kyungsangnam-do, Korea)

  • Seong Myeong Yoon;Hak Bae Kong;Won Kim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16권2호
    • /
    • pp.239-255
    • /
    • 2000
  • 1988년 2월부터 1991년 9월까지 경상남도 우포늪, 외송늪, 질날늪 및 주남지에서 채집된 표본들을 동정하여 7종의 물지렁이류를 보고한다. Chaetogaster diastrophus (Gruithuisen), C. diaphanus (Gruithuisen), Amphichaeta asiatica Liang, Pristina longiseta Ehrenberg, P. biserrata Chen, Stylaria fossularis Leidy, Slavina appendiculata (d'Udekem). 저자들은 7종에 대하여 재기재하였고 도판을 작성하였으며, 한국산 물지렁이과 종들에 대한 검색표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담수산 물지렁이류에 관한 최초의 분류학적 기록이다.

  • PDF

우포늪의 영양염과 수질 영양 상태 변화 (Changes of the Nutrients and Water Trophic States in Upo Wetland)

  • 이정준;이정호
    • 생태와환경
    • /
    • 제43권3호
    • /
    • pp.418-427
    • /
    • 2010
  • 우포늪의 4개 습지를 대상으로 2005년 3월부터 2009년 12월까지 매월 영양염과 엽록소-$\alpha$ 농도를 모니터링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수질 영양 단계를 평가하였다. 질산성질소와 암모니아성질소, 총질소 등 질소 계열 영양염은 선행 연구 결과와 비교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총질소의 경우, 아직까지 수화발생 기준과 부영양 기준 농도를 상당히 초과하여 용존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인산염인과 총인 농도 또한 선행 연구와 비교 시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총인은 총질소와 마찬가지로 부영양 기준을 초과하여 용존되어 있었다. 질소 계열과 인 계열 영양염은 4개 습지 중 쪽지벌에서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엽록소-$\alpha$의 평균 농도는 우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목포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쪽지벌과 목포에서는 하계에 높게 나타났고, 우포와 사지포에서는 비하계 기간 동안 높게 나타났다. TRIX 분석을 통해 우포늪의 수질 영양 상태를 평가한 결과 4개 습지 모두 생산성이 높고 영양 단계가 높은 수질을 의미하는 poor water quality 상태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