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tained yield

검색결과 61건 처리시간 0.026초

Effect of Feed Protein Source on Digestion and Wool Production in Angora Rabbit

  • Bhatt, R.S.;Sawal, R.K.;Mahajan, 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7호
    • /
    • pp.1075-1079
    • /
    • 1999
  • Adult German cross $(German{\times}British{\times}Russian)$ angora rabbits (one year age), 32 in number were divided randomly into four groups $(T_1-T_4)$ with equal sex ratio and fed diets containing $T_1$ groundnut cake (GNC); $T_3$, soyaflakes (SF); $T_4$, sunflower cake (SFC) and $T_2$, a mixture of all the three cakes along with green forage as roughage for a period of 9 months. Nine per cent protein was added from each protein source. Fibre level was maintained by adjusting the level of rice phak in the diets. The diets were iso-nitrogenous and contained similar level of fibre. DMI through roughage was not affected due to source of protein in the diet, however, DMI through concentrate was higher $(p{\leq}0.05)$ with SFC diet, which resulted in higher total feed intake in the group $(T_4)$. Body weights increased up to second shearing, thereafter it decreased due to summer depression. Diet containing soyaflakes sustained higher wool yield whereas, it was lowest $(p{\leq}0.05)$ on SFC diet. Wool attributes (staple length, medullation, fibre diameter) were not affected due to source of protein in the diet. Digestibility of fibre and its fractions (ADF, cellulose, hemicellulose) decreased $(p{\leq}0.05)$ with incorporation of SFC in the diets. Balance of calcium was lowest whereas, that of nitrogen was highest with SFC diet $(T_4)$. Biological value of N and net protein utilization was better when different protein sources were mixed together $(T_2)$. Protein quality of soyaflakes proved better for wool production followed by groundnut cake and mixture of three protein sources. Sunflower cake alone or in combination decreased wool production which may be checked by supplementation of amino acids and energy.

극한지 장거리 천연가스 배관의 유동 설계 (Hydraulic Design of Natural Gas Transmission Pipeline in the Artic Area)

  • 김영표;김호연;김우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58-65
    • /
    • 2016
  • 천연가스 배관의 유동설계는 예상되는 모든 유체의 조건에서 배관의 설계수명 동안 적절한 흐름이 지속될 수 있는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장거리 자원이송망의 유동설계는 수송되는 유체의 물리적 특성, 유량, 온도와 압력, 배관의 길이와 고도, 배관이 횡단하는 지역의 환경 등 다양한 인자를 고려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극한지 자원이송망 건설프로젝트의 운전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배관 내 가스흐름에 영향을 끼치는 가스의 물리적 특성 중 동점성률과 압축계수를 살펴보았다. 배관내경은 몇몇 유동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으며, 배관두께는 안전계수와 배관재료를 고려하여 계산하였다. 배관 내 마찰과 가스온도 및 배관고도로 인한 압력강하는 AGA 유동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동설계 결과는 알래스카 배관 프로젝트 보고서와 비교하였다.

Chemical Composition, Herbage Yield and Nutritive Value of Panicum antidotale and Pennisetum orientale for Nili Buffaloes at Different Clipping Intervals

  • Sarwar, Muhammad;Mahr-un-Nisa, Mahr-un-Nisa;Khan, M. Ajmal;Mushtaque,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9권2호
    • /
    • pp.176-180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stablish clipping interval of Pennisetum orientale (PO) and Panicum antidotale (PA) to get maximum biomass production with optimal nutritional value for Nili buffaloes. Two clipping intervals i.e. $CI_1$, and $CI_2$ (clipped after every one and two months, respectively) were studied for both grasses. The data on various parameters were compared with PO and PA each clipped at 4 months of age (control). Leaf to stem ratio in both PO and PA declined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Concentration of dry matter (DM) and organic matter (OM) increased (p<0.05) whereas crude protein contents decreased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in both grasses. Crude protein and dry herbage yields in PO and PA increased (p<0.05)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The DM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digestibilities of PO and PA in ruminally cannulated buffalo bulls decreased (p<0.05) due to more lignification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Ruminal extent of digestion, rate of disappearance of DM and neutral detergent fiber of PO and PA decreased in buffaloes while ruminal lag time of these nutrient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with increasing clipping interval. The results from the study imply that two month clipping interval for both PO and PA grasses favored higher biomass with greater nutritional value for Nili buffaloes and sustained grass vigor.

세미슬림 AU 합성보의 시공 단계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Semi-Slim AU Composite Beam During Construction)

  • 김영호;김도범;김대진;김명한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57-66
    • /
    • 2018
  • Recently various composite beams in which concrete is filled in the U-shaped steel plate have been developed for saving story height and reducing construction period. Due to the high flexural stiffness and strength, they are widely being used for the building with large loads and long spans. The semi-slim AU composite beam has proven to take highly improved stability compared to the existing composite beams, because it consists of the closed steel section by attaching cap-type shear connectors to the upper side of U-shaped steel plate. In this study the finite element analyse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safety of the AU composite beam with unconsolidated concrete which were sustained through the closed steel section during the construction phase. The analyses were performed on the two types of cross section applied to the fabrication of AU composite beams,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to the those of 2-point bending tests. In addition, the flexural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pace of intermittent cap-type shear connectors and the location of reinforcing steel bars for compression was comparatively investigated. Through the results of analytical studies, it is preferable to adopt the yield moment of AU composite beam for evaluating the safety in the construction phase, and to limit the space of intermittent shear connectors to 400 mm or less for the construction load.

고정상 Tolypocladium inflatum균의 세포성장 지속성과 Cyclosporin A 생산성 향상 (Sustained Cell Growth and Improved Cyclosporin A Production Capablity of Immobilized Tolypocladium Inflatum Cells)

  • 전계택
    • KSBB Journal
    • /
    • 제9권2호
    • /
    • pp.200-210
    • /
    • 1994
  • Cyclosporin A(Cy A) 생산을 위한 회분식 생물 반응기 실험에서, 고정상세포를 이용함으로써 액상 배양과 비교할 때 생물공정 개선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고농도 배지를 생산균주가 지수기 생장단계인 발효개시 후 139시간에 첨가하였을 때, 고정상배양과 액상배양 모두에서, 균주의 재활성 및 재생장으로 인해 CyA의 생산기간이 연장되어, 발효개시 후 250시간까지 최대 CyA 농도를 유지하였다. 반면에 배지의 첨가가 없는 단순 회분식 배양의 경우, 두 경우 모두 정체생장 단계에서 CyA의 생산성이 빠른 속도로 감소하였다. 주목할 점은 고정상 세포의 경우 CyA수율($Y_{p/x}$)이 고농도 배지를 첨가한 후에도 지수기때의 수율의 80%에 이르는 높은 값을 계속 유지할 수 있었으나, 이와는 대조적으로 액상 세포는 단지 58%만을 유지할 수 있었다. 그 결과 고정상배양의 최대 CyA생산성 이 액상배양과 비교하여 약 2배 정도 증가하였다.

  • PDF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의 항멜라닌 효과 (The Anti-melanogenic Effect of Whitening Agent Containing Arbutin and ${\beta}-Glucosidase$)

  • 유박린;류지호;이무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5-418
    • /
    • 2004
  • 알부틴은 glycosylated hydroquinone으로 여러 식물들에서, 고농도로 발견되며 비교적 안정한 물질이다. 이는 멜라닌화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베타-글루코시다제에 의해 포도당과 hydroquinone으로 쉽게 가수분해된다. Hydroquinone 역시 우수한 항멜라닌화 작용을 가지나, 여러 가지 부작용들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적이거나 주의를 요한다. 이 연구는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품이 자외선 조사로 유도된 색소 침착을 억제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은 10명의 건강한 성인으로 등 부위에 자외선 B를 조사하여 색소 침착 병변을 만들었고 이 병변들은 세 그룹: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도포군, vehicle 대조군, no-application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알부틴과 베타-글주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 도포군은 no-application 대조군에 비교하여 색소 침착을 $50.17\%$ 억제하였다(N = 10:P<0.05). 따라서 알부틴과 베타-글루코시다제를 함유하는 미백 화장품이 기미 등 자외선 조사로 유도되거나 악화되는 과색소성 질환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겠다.

새만금방조제 건설로 인한 조업구역의 변경이 전라북도 근해형망어업의 패류어획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n the catch of shellfish by offshore dredge fishery according to change fishing area to the construction of the Samangeum Dike in Jeollabuk-do, Korea)

  • 최종덕;류동기;이미희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3권3호
    • /
    • pp.266-275
    • /
    • 2017
  • The maximum sustained yield (MSY) of shellfish caught through dredge fishery was 7,250 to 7,490 MT from 1990 to 1999, which was not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Dike. The MSY from 2000 to 2016, under the influence of the dike, was 1,716 to 1,776 MT when the total annual fish catch was 1,000 MT or more, and 289 to 336 MT when it was less than 1,000 MT.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Dike led to a decrease in the catch volume of the offshore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to 4.2 to 23.7% of that before its construction. The allowable biological catch (ABC) was estimated to be 313 to 1,532 MT per year, which was about 72.3 to 94.3% less than before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Dike. Currently, the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relies on comb pen shells. For fishery management, the catch per vessel should be set at 51.0 MT/year or less, and the number of fishing vessels should be reduced to 22 as quickly as possible. Besides, in the long term, the number of current fishing vessels should be reduced to less than half in consideration of the comb pen shell collecting period in Jeollabuk-do.

Enhanced Expression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the Recombinant Putative Lysozyme-PMAP36 Fusion Protein

  • Rao, Zhili;Kim, So Young;Akanda, Md Rashedunnabi;Lee, Su Jin;Jung, In Duk;Park, Byung-Yong;Kamala-Kannan, Seralathan;Hur, Jin;Park, Jung Hee
    • Molecules and Cells
    • /
    • 제42권3호
    • /
    • pp.262-269
    • /
    • 2019
  • The porcine myeloid antimicrobial peptide (PMAP), one of the cathelicidin family members, contains small cationic peptides with amphipathic properties. We used a putative lysozyme originated from the bacteriophage P22 (P22 lysozyme) as a fusion partner, which was connected to the N-terminus of the PMAP36 peptide, to markedly increase the expression levels of recombinant PMAP36. The PMAP36-P22 lysozyme fusion protein with high solubility was produced in Escherichia coli. The final purified yield was approximately 1.8 mg/L. The purified PMAP36-P22 lysozyme fusion protein exhibited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both Gram-negative and Grampositive bacteria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Pseudomonas aeruginosa, and Bacillus subtilis). Furthermore, we estimated its hemolytic activity against pig erythrocytes as 6% at the high concentration ($128{\mu}M$) of the PMAP36-P22 lysozyme fusion protein. Compared with the PMAP36 peptide (12%), our fusion protein exhibited half of the hemolytic activity. Overall, our recombinant PMAP36-P22 lysozyme fusion protein sustained the antimicrobial activity with the lower hemolytic activity associated with the synthetic PMAP36 peptid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MAP36-P22 lysozyme fusion system could be a crucial addition to the plethora of novel antimicrobials.

시스템분석(分析)에 의(依)한 삼림수확조절(森林收穫調節)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Forest Yield Regulation by Systems Analysis)

  • 조응혁
    • 농업과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344-390
    • /
    • 1977
  • 본(本) 연구(硏究)는 계획기간내(計劃期間內)의 재적수확량(材積收穫量)을 최대화(最大化)하고 각분기(各分期)의 수확량(收穫量)과 수확면적(收穫面積)을 일정(一定) 범위(範圍)로 제약(制約)하여 계획기간내(計劃期間內)의 보속수확(保續收穫)을 도모(圖謀)하는 동시(同時)에 후계림(後繼林)의 법정영급배치(法正令級配置)가 유도(誘導)될 수 있는 적정수확안(適正收穫案)을 선형계획법(線型計劃法)에 의하여 선정(選定)하고, 제약량(制約量)의 변화(變化)가 총수확량(總收穫量) 및 분기별(分期別) 수확량(收穫量)과 수확면적(收穫面積)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구명(究明)하는데 목적(目的)이 있다. 서울 대학교(大學校) 농과대학(農科大學) 부속연습림중(附屬演習林中) 개벌작업급(皆伐作業級)에 속하는 219개(個) 소반(小班)을 대상(對象)으로 하였으며, 이 삼림(森林)은 영급구성면(令級構成面)에서 볼 때 유영급(幼令級) 임분(林分)이 많다는 점(點)에서 전국(全國) 삼림(森林)을 대표(代表)한다고 할 수 있다. 본(本) 연구(硏究)에서는 한 분기년수(分期年數)를 5년(年), 계획기간(計劃期間)을 10분기(分期), 1영급(令級)을 5영개(令皆)로 하였으며, 벌채영급(伐採令級)의 범위(範圍)는 5~9영급(令級)이다. 한편, 후계림(後繼林)은 현실림(現實林)이 수확(收穫)되는 즉시 조림(造林)되고, 미립목지(未立木地)는 1분기내(分期內)에 조림(造林)되며 다음 벌기(伐期)까지 충분(充分)한 입목도(立木度)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전제(前提)하였다. 소반(小班)을 벌구(伐區)로 하여, 각벌구(各伐區)가 계획기간내(計劃期間內)에 벌채(伐採)될 수 있는 모든 가능(可能)한 대체수확안(代替收穫案)을 그의 영급(令級)에 따라 작성(作成)하고, 여기에 현실림(現實林)과 후계림(後繼林)의 벌기예상수확량(伐期豫想收穫量)을 대입(代入)하여 각대체안(各代替案)의 계획(計劃) 기간내(期間內) 수확량(收穫量)($V_{i,\;k}$)을 산정(算定)하였다. 이때 각벌구(各伐區)의 벌기예상수확량(伐期豫想收穫量)은 기존(旣存) 임분수확표(林分收穫表)와 산림조사부(山林調査簿) 자료(資料)를 이용(利用)하는 범위내(範圍內)에서 추정(推定)하였으며, 각벌구(各伐區)에 소속(所屬)되는 대체수확안중(代替收穫案中)에서 $V_{i,\;k}$가 가장 큰 수확안(收穫案)을 적정수확안(適正收穫案)으로 선정(選定)하였다. 우선 제약조건(制約條件)이 없을 때의 적정수확안(適正收穫案)을 선정(選定)하여 분기별(分期別) 수확량(收穫量)과 수확면적(收穫面積), 총수확량(總收穫量)을 계산(計算)한 다음, 이를 기준(基準)으로 하여 분기별(分期別) 수확량(收穫量)의 상한(上限)($V_{j-max}$)과 하한(下限)($V_{j-min}$) 및 수확면적(收穫面積)의 상한(上限)($A_{j-max}$)과 하한(下限)($A_{j-min}$)을 결정(決定)하였다. 이러한 여러가지 제약조건하(制約條件下)의 적정수확안(適正收穫案)은 LP수확조절(收穫調節)모델을 유도(誘導)하여 선정(選定)하였으며, 제약조건(制約條件) 및 벌채영급범위(伐採令級範圍)의 변화(變化)가 총수확량(總收穫量)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분석(分析)하고자 감응도분석(感應度分析)을 실시(實施)하였다. 본(本) 연구(硏究)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제약조건(制約條件) 없이 적정수확안(適正收穫案)을 선정(選定)한 결과(結果), 수확면적(收穫面積)이 분기별(分期別)로 큰 차이(差異)를 보였다. 즉, 총수확량(總收穫量)의 68.8%가 10분기(分期)에 편재(偏在)되어 있고 6~7분기(分期)에는 전(全)혀 수확량(收穫量)이 없으며, 분기별(分期別) 수확면적(收穫面積)도 이와 유사(類似)한 경향(傾向)을 보였다. 이와 같이 분기별(分期別) 수확량(收穫量) 및 수확면적(收穫面積)에 차이(差異)가 많은 것은 현실림(現實林)의 영급구성(令級構成)과 입목축적(立木蓄積)이 대단히 불규칙(不規則)하기 때문이다. 2. 수확량(收穫量)과 수확면적(收穫面積)의 분기별(分期別) 변동폭(變動幅)을 줄이면서 계획기간내(計劃期間內)의 재적수확량(材積收穫量)을 최대화(最大化)하고자, LP수확조절(收穫調節) 모델에 의하여 $A_{min}=150ha$ $A_{max}=400ha$, $V_{min}=5,000m^3$, $V_{max}=50,000m^3$일 때의 적정수확안(適正收穫案)을 선정(選定)한 결과(結果), 대체(大體)로 5분기(分期) 이후(以後)부터 보속수확(保續收穫)과 법정영급배치(法正令級配置)가 가능(可能)하게 되었다. 3. LP수확조절(收穫調節)모델에 간벌계획(間伐計劃)을 포함(包含)시켜 최적해(最適解)를 구(求)하면, 총수확량(總收穫量)이 증가(增加)함은 물론, 간벌계획(間伐計劃)을 포함(包含)시키지 않았을 경우(境遇)에 비하여 분기별(分期別) 보속수확(保續收穫)의 실현(實現)에 유리(有利)한 적정수확안(適正收穫案)을 선정(選定)해 주는 효과(效果)가 있다. 4. 보속수확(保續收穫)과 법정영급배치(法正令級配置)가 실현(實現)될 수 있는 시기(時期)는 제약량(制約量)의 강도(强度)가 높아짐에 따라서 빨라지며, 분기별(分期別) 수확량(收穫量)은 수확면적(收穫面積)에 비하여 제약량(制約量)의 변화(變化)에 따른 평준화(平準化) 경향(傾向)이 뚜렷하고, 분기별(分期別) 수확량(收穫量)의 평준화(平準化)가 이루어지면 분기별(分期別) 수확면적(收穫面積)은 이에 종속(從屬)되어 평준화(平準化)하는 경향(傾向)이 있다. 5. 제약조건(制約條件)의 강도(强度)가 높아짐에 따라 총수확량(總收穫量)은 점감적(漸減的)으로 감소(減少)하므로 빠른 시기(時期)에 엄정보속(嚴正保續)과 엄정영급배치(嚴正令級配置)를 의도(意圖)할 수록 총수확량(總收穫量)의 손실(損失)은 그만큼 더 증가(增加)한다. 6. 같은 계획기간(計劃期間) 및 제약조건하(制約條件下)에서의 총수확량(總收穫量)은 벌채영급(伐採令級)을 낮추고, 그 범위(範圍)를 넓힐수록 증가(增加)한다. 또한 벌채영급(伐採令級) 범위(範圍)의 상한(上限)을 고정(固定)하고, 그 하한(下限)을 1영급(令級)씩 높였을 때에 총수확량(總收穫量)이 감소(減少)되는 속도(速度)는, 그 범위(範圍)의 하한(下限)을 고정(固定)하고 상한(上限)을 1영급(令級)씩 낮추었을 때의 감소(減少) 속도(速度)보다 크다. 7. 본(本) 연구(硏究)에 제시(提示)된 LP수확조절(收穫調節)모델은 영급구성(令級構成)이 복잡(複雜)한 임분(林分)에 적용(適用) 가능(可能)하며, 간벌계획(間伐計劃)을 간단히 포함(包含)시킬 수 있고, 제약량(制約量)의 변화(變化)에 따른 총수확량(總收穫量)의 손실(損失)을 쉽게 계측(計測)할 수 있는 등 여러가지 장점(長點)이 있으므로, 우리나라의 현행(現行) 삼림수확조절법(森林收穫調節法)을 보완(補完)하기 위해서도 이 기법(技法)이 유효(有效)하게 이용(利用)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

MWW와 MFI 제올라이트에서 메탄올의 올레핀으로 전환 반응: 세공 구조가 생성물 분포와 촉매의 활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 (Methanol-to-Olefin Reaction over MWW and MFI Zeolites: Effect of Pore Structure on Product Distribution and Catalyst Deactivation)

  • 송기원;서곤;신채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9권5호
    • /
    • pp.521-529
    • /
    • 2011
  • 원형 세공과 선형 세공이 독립적으로 발달한 MWW와 구부러진 세공과 선형 세공이 서로 교차하는 MFI 제올라이트에서 세공 구조가 메탄올의 저급 올레핀으로 전환(MTO) 반응에서 생성물 분포와 활성 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산성도가 비슷한 MWW와 MFI 제올라이트는 MTO 반응에서 전환율이 높고 활성 저하가 느린 점이 서로 비슷하지만, MWW에서는 $C_3-C_9$의 선형 탄화수소가 많이 생성되나 MFI에서는 $C_2{^=}$와 방향족 화합물의 수율이 높았다. MTO 반응 중 MWW에는 다고리 방향족 화합물(PAHs)이 많이 축적되나 MFI에서는 벤젠과 나프탈렌 유도체만 생성되었다. MFI와 달리 MWW에 인을 담지하면 MTO 반응에서 촉매 활성과 톨루엔의 흡착량이 크게 줄었다. MWW의 선형 세공에는 MTO 반응 중 PAHs가 축적되어 활성이 없어지나 PAHs가 생성되지 않은 원형 세공에서 선형 탄화수소가 생성된다. 그러나 원형 세공에 인이 담지되면 세공이 막혀 활성이 크게 줄어든다. MFI에는 세공 교차 부분에 인이 담지되어 강한 산점이 중화되어 생성물 분포는 달라지나 활성은 저하되지 않았다. 세공 구조의 차이로 MTO 반응에서 MWW와 MFI의 촉매로서 거동 차이를 설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