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spended dust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23초

부유 분진의 정전압에 의한 최소착화에너지 위험성평가 (Hazard Evaluation of Minimum Ignition Energy by Electrostatic Voltage in Suspended Dust Particles)

  • 한우섭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3호
    • /
    • pp.359-365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분진의 착화 특성 및 정전기 위험성 평가법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착화에너지 시험은 PE(HD), PE(LD), PMMA 분진에 대해 MIKE-3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PE (HD)의 경우 약 8 ms의 일정 시간 경과 후에 분진운의 착화 화염이 형성되고, 착화원 중심부에서는 화염 핵이 관찰되지 않았다. 분진의 분산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정전압이 증가하고 분진 농도에 따른 정전압 발생 증가율은 PMMA, PE(LD), PE (HD) 순으로 가장 높았다. PE(HD) 분진의 분산 조건이 정전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분산 횟수가 많아질수록 정전압이 증가하였고 동일한 분산 횟수에서는 분진 농도가 높아질수록 정전압이 증가하였다. 정전기 착화에 의한 화재폭발사고 예방을 위한 안전 정전압은 PE(HD), PE(LD)-1, PE(LD)-2, PMMA에 있어서 각각 2.58, 44.72, 25.82, 8.16 kV로 추정되었다. 정전압 측정자료를 사용하여 정전기 착화 위험성을 효율적으로 조사하여 최소착화에너지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플라스틱 부유 분진의 폭발특성과 화염전파속도 (Explosion Characteristics and Flame Velocity of Suspended Plastic Powders)

  • 한우섭;이근원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4권3호
    • /
    • pp.367-373
    • /
    • 2016
  • 산업분야에서 사용되는 플라스틱 분진은 대부분 가연성이며 화재폭발사고 위험성이 있다. 그러나 산업현장에서 안전한 취급을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폭발특성 자료는 매우 적다. 본 연구에서는 사업장에서 취급하는 다양한 플라스틱 분진 의 폭발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여 관련 자료와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 L 분진폭발시험장치를 사용하여 각종 폭발특성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ABS ($209.8{\mu}m$), PE ($81.8{\mu}m$), PBT ($21.3{\mu}m$), MBS ($26.7{\mu}m$) 및 PMMA ($14.3{\mu}m$)시료의 분진폭발지수($K_{st}$)는 각각 62.4, 59.4, 70.3, 303, 203.6[$bar{\cdot}m/s$]의 값이 얻어졌다. 또한 플라스틱 분진폭발에 의한 피해예측을 위하여 분진폭발압력에서 분진의 연소속도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최대압력소요시간 및 화염도달시간을 고려한 화염전파속도모델을 통하여 분진폭발시의 화염전파속도를 추정하였다.

대기 부유 분진 중 미량유해물질들의 통계적 오염 해석 (Statistical Analysis on Pollutants of Total Suspended Particulates in the Ambient Air)

  • 허문영;유기선;김경호;손동헌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55-160
    • /
    • 1990
  • During the period from Mar. 1985 to Feb. 1988, airborne particulate matters were collected and size fractionated by the ANdersen high volume air sampler in Seoul. The concentrations of several heavy metals (Pb, Cu, Zn, Fe, Mn) and benzo(a)pyrene were determined to investigate the size distributions and seasonal variations. And with respect to seven components in the total suspended particulate (TSP), the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ree groups such as the coarse particles (> 2 $\mu$m), fine particles (< $\mu$m) and TSP.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by using the varimax method, the chemical components in the TSP were able to characterize with two principal factors. The first factor, F1 was considered to be a factor indicating the contribution of natural sources and the second factor, F2 was a factor indicating the degree of artificial sources. Each components in the TSP was divided into two main groups of components originated from soil and/or road dust and pollutants originated from automobiles and/or human work.

  • PDF

한라산 1100 고지 총부유분진(TSP)의 조성 및 오염 특성 (Compositions and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total suspended particles (TSP) at 1100 Site of Mt. Halla)

  • 김원형;강창희;정덕상;고희정;이원
    • 분석과학
    • /
    • 제21권4호
    • /
    • pp.304-315
    • /
    • 2008
  • 한라산 1100 고지에서 채취한 대기 부유분진의 조성은 인위적 기원의 성분들이 가장 높고, 다음으로 해양 기원 성분과 토양 기원 성분들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계절별로는 봄철에 토양 성분인 nss-$Ca^{2+}$, Al, Fe, Ca 성분의 농도가 크게 증가하였고, 인위적 기원의 $NH{_4}^+$, $K^+$, nss-$SO{_4}^{2-}$은 6월에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다. 반면에 $NO{_3}^-$은 봄철에 nss-$Ca^{2+}$과 함께 농도가 상승하였고, 이는 중국으로부터 장거리 이동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황사와 비황사 때의 농도를 비교해 본 결과, 황사 때에 nss-$Ca^{2+}$, Al, Ca, Fe 농도가 7.2~9.5배 증가하였고, nss-$SO{_4}^{2-}$$NO{_3}^-$은 각각 1.3, 3.8배 정도 더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요인분석법으로 분진성분의 발생기원을 조사해 본 결과, 한라산 1100 고지 부유분진은 토양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고, 다음으로 인위적 영향과 해염 영향을 많이 받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역궤적분석에 의해 분진 성분의 유입경로를 조사한 결과, 공기덩어리가 중국대륙을 거쳐 제주지역으로 이동한 북서풍 계열의 풍향일 때 주요 인위적 기원의 성분과 토양 성분의 농도가 상승하고, 공기가 북태평양을 거쳐 제주지역으로 유입되었을 때 이들 성분들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기부유분진중 Pb와 가로수잎중 Pb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Lead in Airborne Suspended Particulates and Leaves of Roadside Trees in Urban Area)

  • 고현규;김희강;현용범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권3호
    • /
    • pp.11-18
    • /
    • 1986
  • In order to evaluate the state of the environmental pollution by vehicle exhaust in Seoul area the correlation between lead in air and leaves of roadside trees has been investigated during August in 1985. The dust in the atmosphere was collected by high volume air sampler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lead. On the other hand, lead as a pollution indicator was extracted from the leaves of roadside trees (Ginkgo biloba, Salix pseudo/lasiogyne, platanus occidentalis) by conventional method and their concentrations were determin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 1. Lead concentrations in the leaves of roadside trees varied with trees, for example,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lead in each of the leaves of Ginkgo biloba, Salix pseudo/lasiogyne and Platanus occidentalis were 20.66 ppm, 9.37 ppm, and 10.58 ppm, respectively. 2. The dust sampled along heavily traveled highways showed that lead content tended to increase with traffic volume. 3.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lead correlation in air and leaves of Gingo biloba, Salix pseudo/lasiogyne, and Platanus orientalis were 0.80, 0.85, and 0.87, respectively.

  • PDF

발파해체현장에서 발생하는 순간분진의 입경분포 특성 (Characteristic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Building Blasting Demolition Sites)

  • 이경희;김효진;박찬규;고광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1-47
    • /
    • 2009
  • In building demolition work, major dust-generating activities are blasting concrete and rock.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characteristic of particle size of dusts which were generat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The DustMate of the Turnkey-Instruments Ltd. was used for particulate size-selective sampling of the four sites. TSP(Total Suspended Particle), PM10(Particle Matter $10{\mu}m$), PM2.5(Particle Matter $2.5{\mu}m$), and PM1.0(Particle Matter $1.0{\mu}m$) were measur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The large particulate (higher than the diameter $10{\mu}m$) showed to be higher than 50%. The particulate ranged from $10{\mu}m\;to\;2.5{\mu}m$ showed about 30-40%. PM2.5 was not scarcely detected in the samples collected for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We conclude that the dust generated during building demolition work using explosion has not most respirable particulate.

Acrylic Polymer 부유분진의 화재.폭발 특성 (Fire and Explosive Characteristics in Suspended Dust of Acrylic Polymer)

  • 이수희;이근원;한인수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66-469
    • /
    • 2011
  • Acrylic Polymer는 충격보강재 및 가공조제 등의 용도로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어지고 있는데, 본 제품 제조회사에서 고객사로 제품 납품 후 원료 투입 중 분진폭발이 발생하여 본 위험성평가를 의뢰하였다. 분진의 위험 특성에 대한 분석은 일반적으로 퇴적분진(Dust Layers)와 부유분진(Dust Clouds)으로 구별되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스위스 Kuhner사에서 제작된 분진폭발장치를 이용하여 아크릴 부유분진의 화재.폭발위험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Acrylic Polymer 부유분진의 폭발위험성은 최대폭발압력 약 6bar, 최대폭발압력상승속도 67 bar/s, Kst 값은 $18m{\cdot}bar/s$로 폭발등급으로 구분하면 St1 [0$bar{\cdot}m/s$]으로 분류되어 "폭발에 의한 위험성이 낮은 분진"에 속하며, 최소점화에너지(MIE)는 300 mJ < MIE < 1,000 mJ로 Normal Sensitivity로서 정전기와 같은 점화원 제거만으로도 어느 정도 충분히 폭발 등을 방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마그네슘 분진의 열분해 및 발화온도 특성 (Characteristic of Thermal Decomposition and Ignition Temperature of Magnesium Particles)

  • 한우섭;이정석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9-74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Mg분진의 분진입경과 승온속도에 따른 열분해 및 발화온도 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시료는 평균 입경이 서로 다른 38, 142, $567{\mu}m$의 Mg분진을 사용하였다. 실험에서는 열중량분석장치(TGA)와 IEC 61241-2-1규격에 따라 제작한 자연발화온도(MIT) 실험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퇴적 Mg에 있어서 공기중 승온속도가 증가하면 중량개시온도는 증가하였으며, 동일한 승온속도 조건에서 입경의 증가는 발화온도의 증가로 나타났다. 또한 부유 Mg분진의 최저발화온도(MIT)는 평균 입경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산지역의 황사/비황사시 PM$_{2.5}$, PM$_{10}$ 농도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PM$_{2.5}$, PM$_{10}$ Concentration at Asian and Non-Asian Dust in Asan Area)

  • 정진도;황승민;최희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111-1115
    • /
    • 2008
  • 아산 호서대 지역에서 대기 중 미세먼지를 측정하여 PM$_{2.5}$와 PM$_{10}$의 이온성분과 중금속성분 분석을 통해 농도 특성을 분석하고 황사 발생에 따른 농도특성 변화를 관찰하였다. 황사시 미세먼지의 입경별 평균농도는 비황사시에 비해 큰 증가를 보였으나, PM$_{2.5}$ 비율은 79.7%에서 40.1%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원인은 2.1 $\mu$m를 기준으로 조대 입자와 미세 입자로 구분하여 질량농도를 분석한 결과 황사시 조대 입자가 크게 증가하여 PM$_{2.5}$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아지기 때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황사시 이온 성분 농도의 변화는 미세입자 영역에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조대입자 영역에서는 Ca$^{2+}$이온이 약 40배 정도 증가하였고 Na$^+$, SO$_4{^{2-}}$이온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금속 성분의 분석 결과 황사시 Mn, Fe, Zn, Al 순으로 증가폭이 컸으나 질량농도로 보았을 때 Al이 가장 큰 증가량을 보였다.

도시철도 터널 내 부유먼지의 일변화 특징 (Diurnal Variation of the Dust Concentration in a Railway Tunnel)

  • 우상희;김종범;황문세;탁길현;윤화현;육세진;배귀남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3호
    • /
    • pp.280-287
    • /
    • 2016
  • 지하터널에서 도시철도 운행 중 휠과 레일의 접촉에 의해 먼지가 발생되고, 이 먼지는 도시철도에 기인하는 열차풍에 의해 부유하고, 이 중 일부는 중력침강에 의해 바닥에 침착된다. 이 연구에서는 도시철도 터널에서 먼지농도의 일변화를 조사하였다. 도시철도 운행에 따른 먼지농도의 변화를 쉽게 관측하기 위하여 단일구간의 터널을 측정대상으로 선정하였다. 5nm에서 $20{\mu}m$ 범위의 먼지를 측정하기 위하여 4종류의 입자측정기를 사용하였다. 도시철도가 측정지점을 통과하는 시각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3차원 초음파 풍속계와 비디오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50{\mu}g/m^3$ 이하이던 지하터널의 먼지농도는 도시철도의 운행에 의해 $150{\mu}g/m^3$ 이상까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특히 출근시간대에는 $250{\mu}g/m^3$ 이상으로 크게 높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