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ival rate of seedlings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6초

왕벚나무 성목 녹지삽목에서 삽목시기, 옥신처리 및 삽수부위가 발근에 미치는 영향과 이식 삽목묘의 생육특성 (Effects of Cutting Time, Auxin Treatment, and Cutting Position on Rooting of the Green-wood Cuttings and Growth Characteristics of Transplanted Cuttings in the Adult Prunus yedoensis)

  • 김장수;김진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6
    • /
    • 2012
  • 왕벚나무 성목(43-58년생)의 삽목묘 대량증식 방법을 밝히기 위해 삽목시기별, 옥신처리별 및 삽수부위별로 자동안개관수장치가 설치된 무가온 비닐하우스에 삽목을 실시했으며, 삽목묘의 가로수 식재 성공여부를 검토하기 위해 발근된 삽목묘를 묘포장에 이식하여 생육특성을 조사하였다. 각 처리에 따른 평균 발근율의 분산분석 결과는 고도의 유의성($P$ < 0.0001)이 나타났다. 시기별 평균 발근율에서 6월 1일의 삽목(61.4%)이 8월 1일(23.6%)보다 2배 이상 높아 6월 1일이 적합한 시기로 나타났다. 발근율이 가장 좋은 옥신 처리는 IBA $1,000mg{\cdot}L^{-1}$와 IBA $500mg{\cdot}L^{-1}$ 처리에서 각각 90.8%, 89.2%로 나타났으며, 발근율에 대한 각 처리간의 상호효과($P$ < 0.0001)가 인정되었다. 삽수부위에서 상단부 + IBA $1,000mg{\cdot}L^{-1}$ 처리가 발근율 9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삽목묘의 묘포장 이식 활착률 역시 옥신처리간에 고도의 유의성($P$ < 0.0001)이 인정되었으며, 잎이 있는 삽목묘의 평균 이식활착률은 46.5%로 낮았으나 IBA $1,000mg{\cdot}L^{-1}$ 처리는 79.2%로 높았다. 그러나 잎이 없는 삽목묘의 이식활착율은 8.7%로 대부분 고사하였다. 활착된 삽목묘와 접목묘 및 실생묘의 생장특성을 비교한 결과, 생장(수고, 근원경), 뿌리수, 가지수, 잎수 등에서 고도의 유의성($P$ < 0.0001)이 나타났으며 삽목묘가 월등히 우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동안개관수장치로 안정적인 습도조절과 온도유지가 가능한 삽목실에서 6 - 7월의 삽목실시, 상단부 삽수의 선택, IBA처리 및 8월에 발근된 삽목묘의 묘포장 이식을 통해 개량된 왕벚나무의 대량증식과 성공적인 가로수 식재가 가능할 것이다.

In vitro micrografting for production of Indian citrus ringspot virus (ICRSV)-free plants of kinnow mandarin (Citrus nobilis Lour × C. deliciosa Tenora)

  • Singh, B.;Sharma, S.;Rani, G.;Hallan, V.;Zaidi, A.A.;Virk, G.S.;Nagpal, A.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2권2호
    • /
    • pp.137-143
    • /
    • 2008
  • Production of Indian citrus ringspot virus (ICRSV)-free plants from an infected plant of kinnow mandarin (Citrus nobilis Lour ${\times}$ C. deliciosa Tenora) is reported. The shoot apices of different sizes (0.2-1.0 mm) excised from the ICRSV-infected plant were micrografted onto decapitated rootstock seedlings of rough lemon (C. jambhiri). Micrograft survival depended on the size of shoot apex and the sucrose concentration of the culture medium. Increase in scion size from 0.2 to 0.7 mm resulted in an increase in micrografting success rate from 30.55 to 51.88%. Further, micrograft survival obtained with 0.2 mm was improved from 30.55 to 38.88% by increasing sucrose concentration in the culture media from 5 to 7.5%. The micrografted plants were tested for ICRSV using ELISA and RT-PCR. All plants raised from 0.2-mm scion were found negative with both ELISA and RT-PCR whereas only 20% of the ELISA negative plants raised from 0.3-mm scion were found negative for ICRSV with RT-PCR.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is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acclimatization and virus testing of micrografted plants.

체세포배 형성을 통한 서울오갈피(Eleutherococcus seoulensis) 묘목의 대량생산 (Mass-production of Eleutherococcus seoulensis Seedlings Through Somatic Embryogenesis)

  • 이수광;강호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19-725
    • /
    • 2009
  • 본 연구는 체세포배를 통해 증식된 서울오갈피(Eleutherococcus seoulensis)의 기외 대량 묘목생산을 위한 최적의 조건을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어뢰형의 체세포배는 $GA_3$가 각각 3.0 mg/L와 5.0 mg/L가 첨가된 1/3 MS와 WPM 배지에 치상하여 4주간 발아시켰으며 발아된 유식물체는 0.2% 활성탄과 1.0 mg/L $GA_3$가 첨가된 1/2 SH 배지에 옮겨주어 신장을 유도하였다. 신장된 유식물체는 대기순화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membrane filter가 부착된 대기순화 용기에 치상하였다. 대기순화 처리와 더불어 토양의 종류가 야외순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혼합토(펄라이트+피트모스), 펄라이트, 서울 남산상토에 이식하였고, 서울 남산상토에서 대기순화 과정을 거친 식물체가 8주 후 70% 이상 생존하였다. 토양순화 과정을 거친 묘목은 야외 묘포장에 이식하였고, 그 결과 8주 후 95% 이상생존하였다.

Escherichia coli Can Produce Recombinant Chitinase in the Soil to Control the Pathogenesis by Fusarium oxysporum Without Colonization

  • Chung, Soo-Hee;Kim, Sang-Da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3호
    • /
    • pp.474-480
    • /
    • 2007
  • Fusarium wilt of cucumbers was effectively controlled by Escherichia coli expressing an endochitinase gene (chiA), and the rate was as effective (60.0%) as the wild-type strain S. proteamaculans 3095 (55.0%) where the gene was cloned. However, live cells of soil inoculated E. coli host harboring the chiA gene did not proliferate but declined 100-fold from $10^8$ CFU during the first week and showed less than 10 cells after day 14, suggesting that E. coli was able to express and produce the chitinase enzyme to the soil even as the population was gradually decreasing. Because the majority of the strains was alive for only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 Fusarium-affected seedlings showed symptoms of wilting within 7-10 days, it seems that the pathogen control was decided early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biocontrol agent, eliminating the survival of the antagonist.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soil inoculated E. coli could sufficiently express and produce the recombinant protein to control the pathogen, and root or soil colonization of the antagonist might not be a signific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efficacy of biological control.

Optimization of Conditions for In Vitro Germination of Seeds of Couroupita guianensis Aubl. - A Threatened Tree with Recalcitrant Seeds

  • M., Manokari;Shekhawat, Mahipal S.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5호
    • /
    • pp.388-394
    • /
    • 2018
  • An efficient and reproducible protocol for in vitro germination of seeds of Couroupita guianensis has been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Couroupita guianensis is a medicinally important tree and categorized as threatened plant species by the IUCN. The seeds were surface sterilized using 0.1% $HgCl_2$ and inoculated on MS (Murashige and Skoog) and Woody Plants (Llyod and McCown) medium. The seeds with partially removed seed coat responded better (100%) on half strength MS medium as compared to the full (51%), one-fourth strength MS (79%) and the WP medium. Half strength MS medium conjunct with $2.0mg{\cdot}L^{-1}$ indole-3 butyric acid (IBA) was found best among the different types of auxins and cytokinins tested for seed germination, as all the seeds germinated on this medium combination. The seedlings were successfully hardened in the greenhouse and restored in the field with 83% survival rate. The protocol can be used as conservation measure for large scale multiplication of this threatened forest tree species.

Somatic Embryogenesis in Withania somnifera (L.) Dunal

  • Rani, Gita;Virk, Gurdip Singh;Nagpal, Avinash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6권2호
    • /
    • pp.113-118
    • /
    • 2004
  • Somatic embryos were formed from calli obtained from axillary shoots (raised from nodal segments of glasshouse-grown plants under aseptic conditions), internodal segments (from in vitro-raised plants), and root and coty-ledonary leaf segments (from in vitro-raised seedlings) after 8 weeks of initial culture. Embryo formation was the highest (97.33%) from cotyledonary leaf callus on Mura-shige and Skoog's (MS) medium containing kinetin (KN) (3 mg/L). Somatic embryo induction was lesser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auxins while it increased to 100% in internodal segment and cotyledonary leaf calli with 6-benzyladenine (BA) (2mg/L) along with 2,3,5-triiodobenzoic acid (TIBA) (2mg/L). The shoots were induced from somatic embryos raised from root, coty-ledonary leaf and internodal segment calli grown on MS medium containing BA in combination with indole-3-acetic acid (IAA). Maximum of 66.67% cultures formed shoots on MS medium containing BA (1mg/L) in combination with IAA (2mg/L). The shoots raised from somatic embryos were rooted on MS medium supplemented with indole-3-butyric acid (IBA) (2mg/L). The plantlets transferred to the field showed 70% survival rate after one year.

냉온처리 전후의 광환경 조건이 오이 묘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rvival rate of chilled cucumber (Cucumis sativus L.) seedlings as influenced by light exposure and chilling started at different time of day.)

  • 남윤일;우영회;전희;김형준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 /
    • pp.156-162
    • /
    • 2001
  • 최근 겨울동안에 폭설과 강풍과 같은 기상이변이 잦아지면서 기상재해와 함께 정전에 의한 시설 원예작물의 저온피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어느 정도의 피해가 있는지 파악되지 못하고 있으며 피해 예측에 관한 정보도 축적되어 있지 못한 실정으로 이에 관련된 연구가 요구되고있다. 시설 재배시 겨울철 온도환경 관리에 대한 연구는 주로 난방비 절약을 위한 저온관리 한계온도 구명(Tanaka 등, 1986), 또는 근권부 온도 조절에 의한 작물의 생산성 증진 연구와 같은 실용적 측면의 연구(Lee, 1994; Fujie와 Saidou, 1983) 및 저온 장해의 생리기작(Herner, 1990; Patterson 등, 1976; Reyes와 Jennings, 1994; Wolk와 Herner, 1982; Wright and Simon, 1973)에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고 있으며 냉온 피해를 받을 당시의 전후환경조건과 산화작용에 관련된 연구는 토마토(Kerdnaimongkol 등, 1997) 등 몇 개 작물(King 등 1982)에서 보고된바 있다.(중략)

  • PDF

유기질비료가 묘삼 지상부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veral Kinds of Composts on Growth Status of Aerial Parts in Ginseng Seedlings)

  • 이갑수;이성식;정재동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24-31
    • /
    • 2003
  • 본 시험은 인삼비료인 약토를 대체 하기 위하여 인삼비료인 약토 외에 4종의 퇴비를 공시하여 약토대체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인삼약토 성분기준표’에 비교해 보면 약토퇴비가 기준치와 비슷하여 가장우수 하였고, PL퇴비와 HJ퇴비는 인산, 카리, 칼슘, 마그네슘 및 EC의 함량이 높았고, 팽이버섯퇴비는 인산, 마그네슘 및 EC의 함량이 높았고, 볏짚우분 퇴비는 인산, 카리 및 마그네슘 함량이 높았다. 상치종자를 이용한 발아율 및 초기생육과, C/N율을 이용한 부숙도 판정 시험에서, HJ퇴비, 팽이버섯퇴비 및 볏짚우분퇴비가 약토보다 C/N율은 높았고, 발아율은 낮았으며, 초장은 짧아 부숙이 다소 덜된 것으로 생각된다. 퇴비종류별 묘삼의 지상부 출아율은 약토>팽이버섯퇴비>PL퇴비>HJ퇴비>볏짚우분퇴비 순으로 약토가 가장 양호하였고, 8월 초순의 지상부 생존율은 약토>PL퇴비 >팽이버섯퇴비>HJ퇴비>볏짚우분퇴비 순으로 약토가 가장 양호 하였다. 양직묘 생산을 위해서는 완숙된 퇴비사용의 필요성을 확인 하였고, 앞으로 완숙된 PL퇴비와 팽이버섯퇴비의 검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상수리나무 기내(器內) Axillary Bud의 치상부위(置床部位)에 따른 다경(多莖) 및 발근유도(發根誘道) 효과(効果) (Position Effect of Axillary Buds on Shoot Multiplication and Rooting in Bud Culture of Quercus acutissima)

  • 문흥규;김재헌;박재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6권4호
    • /
    • pp.370-375
    • /
    • 1987
  • 상수리나무(Quercus acutissima) 1년생(年生) 실생묘(實生苗)의 액아(腋芽)를 배양(培養)하여 얻은 기내(器內) shoot를 상(上) 중(中) 하(下)의 세 부분(部分)으로 나누어 다경유도(多莖誘導), 발근(發根) 및 풋트이식시(移植時) 활착율(活着率)을 조사(調査)하였다. 다경유도(多莖誘導)는 하부(下部)>중간부(中間部)>상부(上部)의 순(順)으로 양호(良好)하였으며 하부(下部)를 배양시(培養時) WPM+$1.0g/{\ell}$ BAP+$0.1g/{\ell}$ NAA에서 배양(培養) 4주후 액아(腋芽) 1개(個)에서 평균(平均) 6.2개(個)의 줄기가 유도(誘導)되었다. 발근율(發根率)은 다경유도(多莖誘導)와 반대현상(反對現象)을 보여 상부(上部)>중간부(中間部)>하부순(下部順)으로 양호(良好)하였다. IBA $0.2mg/{\ell}$를 같이 첨가(添加)할 경우 1/2 MS 배지(培地)가 GD배지(培地)보다 발근(發根)이 빠르게 이루어 졌으며 뿌리도 양호(良好)하였고 상부(上部)줄기의 경우(境遇) 1/2 MS 배지(培地)에서 100%의 발근율(發根率)을 보였으며, sucrose 농도별(濃度別) 1/2 MS+IBA $0.2mg/{\ell}$ 배지(培地)에서의 발근시험결과(發根試驗結果)는 sucrose 3~6% 농도(濃度)에서 양호(良好)하였다. 활착율(活着率)에 있어서는 상부(上部)줄기의 발근묘(發根苗)가 양호(良好)하였고(50%) 중(中) 하부(下部)는 생존(生存)하지 못하였다. 활착(活着)된 묘목(苗木)은 조기낙엽현상(早期落葉現象)이 관찰(觀察)되었으나 10개월(個月)까지 생존(生存)하고 있다. 위의 결과(結果)로 상부(上部)는 발근(發根)시켜 pot묘(苗) 생산(生産)에 이용(利用)하고 중(中) 하부(下部) 줄기는 연속증식(連續增殖)에 이용(利用)함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보리 유묘기의 수분부족이 몇가지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Physiological Responses of Water Stress at Seedling Stage in Barley)

  • 최원열;권용웅;소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89-195
    • /
    • 1997
  • 보리 유묘기의 수분스트레스가 생장 및 생리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과 품종간 차이를 밝히고자 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 백동 및 향맥을 공시하여 수행하였다. 공시종자를 폿트에 파종하여 발아 후 10일이 경과한 다음 단수처리를 10일간 한후 다시 관수하여 40시간 및 88시간에 초장, 건물 중, 엽록소함량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발아 후 10일된 유묘를 P.E.G.로-20bar가 되도록 조정한 용액에 48시간 처리한 후 다시 재 관수하여 48시간 후에 엽록소함량, 잎의 수분포텐셜 및 유리 proline함량을 조사하였다. 1. 초장과 건물중은 10일간의 단수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는데 5 품종의 평균으로 보면 초장보다는 건물중의 감소가 심하였고, 백동과 향맥이 밀양 1002, 올보리 및 두루보리보다 감소 정도가 심하였다. 2. 엽록소함량 및 잎의 수분포텐셜은 10일간의 단수처리에 의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나, 재관수 후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유리 proline 함량은 단수처리 종료시에 함량이 증가하였다가 재 관수 후에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생존율은 재 관수후 40시간에는 42%를, 88시간 후에는 14%를 나타내었다. 3. 단수처리에 의한 한해유발처리 종료시의 엽록소와 유리 proline 함량의 변화, 잎의 생존율 및 건물중 감소율을 근거로 한 품종들의 내한성을 보면 공시품종내에서는 겉보리(밀양 1002, 올보리, 두루보리)>쌀보리(백동)>맥주보리(향맥)의 순이었으며, 겉보리 품종간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었다. 4. P.E.G. 용액 (Ψ$\pi$=-20bar)으로 조정 한 48시간의 한해유발처리의 결과는 엽록소함량, 일의 수분포텐셜 및 유리 proline함량 모두 10일간단수처리 한 결과와 일양성을 나타내었다. 품종간에는 백동과 향맥이 수분스트레스시의 증가 및 관수시의 멸소반응이 모두 둔하여 수분환경적응성이 낮은 경향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