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vival and fertilization rate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32초

한국산 미꾸리에 관한 육종 번식학적 연구 III. 초기 난발생 (Breeding and Reproductive Studies on Korean Native Loach III. Early Embryonic Development)

  • 이종영;윤종만;이재현;신재구;박홍양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63-76
    • /
    • 1992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appearance time of the second polar body for producing Gynogenesis or Triploid which could be obtained by arresting the second polar body by cold shock, and then blastoderm was used to measure fertility that revealed the nature of oogenesis,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on fertility, hatchability, abnormality, viability and growth rate, and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 breeding methods to prevent early death of larvae in Korean loach(Misgurnus anguillicaudatus) ;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e second polar body was observed ont he surface of plasma disc close to micropyle within 10~40 min after fertilization at 29$^{\circ}C$. Artificial inseminatin had to be done immediately after the egg spawning because the spermatozoa of loach their mobility within 2 minutes when they were exposed to water. The amount of time needed to reach at blastoderm stage was 12 hours if fertilized eggs were incubated at 16$^{\circ}C$, 8 hours at 19$^{\circ}C$, 6 hours at 21$^{\circ}C$, 5 hours at 23$^{\circ}C$, 4 hours at 26$^{\circ}C$ and 3 hours 30 min at 29$^{\circ}C$ showing the shorter time for development of eggs at higher temperature. Fertilization rates in water temperatures of 19$^{\circ}C$, 21$^{\circ}C$, 23$^{\circ}C$, and 26$^{\circ}C$ were higher than those of water temperatures, 16$^{\circ}C$ and 29$^{\circ}C$. Water temperatures at 19$^{\circ}C$, 21$^{\circ}C$, and 23$^{\circ}C$ showed higher hatching rates that those of 16$^{\circ}C$, 26$^{\circ}C$, and 29$^{\circ}C$, while abnormal rates in 16$^{\circ}C$, 19$^{\circ}C$, 21$^{\circ}C$ and 23$^{\circ}C$ were lower than that of 26$^{\circ}C$ and 29$^{\circ}C$. Water temperatures at 16$^{\circ}C$, 19$^{\circ}C$, 21$^{\circ}C$, 23$^{\circ}C$ and 26$^{\circ}C$ respectively, were more different than 29$^{\circ}C$ in survival rates. The embryos were hatched at 72 hours after fertilization in 16$^{\circ}C$ water temperature, 48 hours in 19$^{\circ}C$, 40 hours in 21$^{\circ}C$, 32 hours in 23$^{\circ}C$, 25 hours in 26$^{\circ}C$, and 16 hours in 29$^{\circ}C$. Within three days after hatched out, the larvage grew 3mm in total length, the yolk granules were entirely consumed and the head and the trunk became thicker. Within 45 days after hatched out, the larva grew 25mm at 29$^{\circ}C$, 21mm at 26$^{\circ}C$, 16mm at 23$^{\circ}C$, 15mm at 21$^{\circ}C$, 12mm at 16$^{\circ}C$ in a 30 litreglass aquarium.

  • PDF

Microdrop과 Straw 방법으로 초자화 동결한 소 난자의 생존율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Viability of In Vitro-Matured Bovine Oocytes Vitrified by Microdrop and Straw Method)

  • 양병철;양보석;성환후;임석기;박수봉;장원경;이창규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01-710
    • /
    • 2002
  • 본 연구는 소 난자의 초자화 동결 방법을 설정하기 위하여 체외성숙 소 난자에서 난구세포가 부착된 상태 또는 제거한 상태로 microdrop (MD) 방법과 straw (Straw) 방법을 이용하여 초자화 동결하여 생존율을 검사하였다. 동결 융해난자는 a) 단위발생을 유도하였고 b) 체외수정 후 전핵 형성을 관찰하였으며 c)체외수정 후 수정란 발달을 검사하였다. 초자화 동결 난자의 생존율은 MD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가 Straw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높았다 (92.50 vs. 74.19%, p<0.05). MD 방법을 이용하였을 때 대부분의 난자가 생존을 하였다. 단위발생을 유도하였을 때 난할율과 배반포 발달율은 MD (45.05%, 10.81%, p<0.05)가 Straw 방법 보다 높았다 (27.17%, 6.52%, p<0.05). 난구세포의 부착 유무에 따라 동결 융해 후 체외수정 하여 자웅 전핵 형성을 각각 검사하였다. 난구세포 제거 난자에서는 MD와 Straw 방법으로 동결 융해하였을 때 차이가 없었다(80.36% vs. 67.31 %, p<0.05). 정상 수정율 (2PN)에서는 세 처리간에 차이가 없었다 (Fresh; 54.55% vs. MD; 42.22% vs. Straw; 37.14%, p>0.05). 그러나 미수정란 (<1PN)은 Fresh 난자가 동결융해 난자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Fresh; 32.47% vs. MD; 57.78% and Straw 62.86%, p<0.05). 다정자 침입은 (3PN) 신선란 (12,99%)에서 발생하였으나 동결 융해 난자에서는 발생하지 않았다. 난구세포가 제거된 난자에서, 정상 수정율 (2PN)은 Fresh와 동결 융해 난자간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Fresh; 59.38% vs. MD; 17.31% and Straw; 30.43%, p<0.05). 또한 미수정율 (<1PN)에 있어서도 신선란과 동결 융해난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Fresh; 23.44% vs. MD; 73.08% and Straw 58.70%, p<0.05). 다정자 침입 (3PN, >4PN)은 신선란과 동결 융해란 모두에서 나타났다. 체외수정 후, 난구세포가 부착된 난자의 2세포기 발달율은 신선란에 비하여 MD 또는 Straw 처리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Fresh; 81.76% vs. MD; 22.22% and Straw; 11.36%, p<0.05). 동결융해난자는 배반포 발달율에 있어서도 신선란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았다 (Fresh; 28.38 vs. MD; 1.71% and Straw 0%, p<0.05). 난구세포가 제거된 난자에서 2세포기 발달율은 신선란과 MD에서 차이가 없었다 (27.59% vs. 19.25%, p<0.05), 그러나 배반포 발달율에 있어서는 신선란이 MD 또는 Straw 처리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4.31% vs. 0.62% and 0%, respectively; p<0.05). 이상의 결과에서, 초자화 동결융해한 소 난자는 체외수정 후 배반포로 발달이 가능함을 나타내주고 있다.

시비수준별 소나무 용기묘의 생장 특성 및 가시적 피해 (Growth Characteristics and Visible Injury of Container Seedling of Pinus densiflora by Fertilization Level)

  • 차영근;최규성;송기선;구다은;이하나;성환인;김종진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66-77
    • /
    • 2019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조림수종인 소나무를 대상으로 조림지 식재 후 활착률을 높이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생육이 좋은 용기묘(1-0)로 생산하고자 할 때, 기본적인 생육환경 요인들 중 시비처리 수준에 따른 생장 반응특성을 조사하고 이를 통하여 적정 시비 수준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104구 용기에서 생육된 소나무 용기묘는 파종 후 약 8주 후부터, 4주 간격으로 간장 및 근원경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소나무 1-0 용기묘의 시비처리는 변형증가농도처리군의 $500{\rightarrow}1000{\rightarrow}1000{\rightarrow}1000mg{\cdot}L^{-1}$에서 간장, 근원경 생장이 좋았으며, 전체적으로 고정농도처리군보다 증가농도처리군과 변형증가농도처리군이 더 좋은 생장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총건물생산량은 변형증가농도처리군의 $500{\rightarrow}1000{\rightarrow}1000{\rightarrow}1000mg{\cdot}L^{-1}$ 처리구가 가장 높았다. 시비처리 후 9주째부터 고정농도처리구 $3000mg{\cdot}L^{-1}$ 시비처리에서 소나무잎의 끝부분이 노랗게 변하는 증상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증상은 증가농도처리구의 $2000mg{\cdot}L^{-1}$까지 농도를 증가시킨 처리구와 변형증가농도처리군의 $2000mg{\cdot}L^{-1}$까지 농도를 증가 시킨 처리구에서 발견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나무 1-0 용기묘 생산을 위한 시비처리는 시비는 유묘형성기에 Multifeed 19로 $500mg{\cdot}L^{-1}$, 빠른생장기에 Multifeed 19로 $1000mg{\cdot}L^{-1}$, 경화기에 Multifeed 32로 $1000mg{\cdot}L^{-1}$를 일주일에 한번씩 지속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우량한 용기묘를 생산하는데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형질전환 소 난자의 동결보존기술 개발 (Development of Cryopreservation Technique of Transgenic Bovine Embryos)

  • 엄상준;양정석;이수민;조소영;임준교;허영태;허영남;구본철;정기수;김광재;김지태;김남형;고대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85-191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production efficiency of vitrified-thawed transgenic bovine embryos. Transgenic bovine embryos were produced by injection of FIV-GFP lentiviral vector into perivitelline space of in vitro matured MII stage oocytes, and then in vitro fertilization. EGFP-expressing transgenic bovine blastocysts were cultured in serum-containing and serum-free medium. These blsatocysts were vitrified by pull and cut (PNC) container made with 0.25 cm plastic straw. Results indicate that total developmental rates of normal IVF embryo cultured in serum-containing and-free medium into blastocyst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22.3 vs 21.5%) and those of GFP-expressing transgenic bovine embryo into blastocyst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erum-containing (13.9%) and-free medium (13.1%). However, developmental rate of GFP transgenic embryo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its of normal IVF embryos. In additional study, we vitrified GFP transgenic normal bovine blastocysts using PNC vitrification method. Survival rate of vitrified-thawed GFP transgenic blastocyst (23.1%) was significantly (P<0.05) lower than its of normal blastocysts (68.9%). Although, survival rate of vitrified-thawed GFP transgenic blastocyst was lower than its of normal blastocyst, our result may suggested that PNC vitrification method is feasible to cryopreserve transgenic embryos. Our next plan will be the production of GFP express transgenic bovine derived from vitrified-thawed embryos using PNC method.

한국 동해계군 대구 (Gadus macrocephalus)의 난발생과 자치어의 성장 (Egg Development and Juvenile Growth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Korean East Sea Population))

  • 서영석;박무억;김진각;이상욱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380-386
    • /
    • 2007
  • Egg development and juvenile growth of th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Korean East Sea Population) were studied to increase fry production using mass cultivation. The eggs were rectangular and adhesive sinking type. The egg size and fertilization rate were 1.01-1.09 mm and 72.4%, respectively. The cumulative times for egg hatching at 3, 6, 9, and $12\;^{\circ}C$ were 600, 360, 240, and 192 hrs, respectively. The hatching rates at 3, 6, 9, and $12\;^{\circ}C$ were 60.2, 68.9, 62.5, and 40.6%, respectively. After 11, 45, and 90 days, the larvae grew to a total length of 5.46-5.99, 9.42-10.06, and 23.0-32.0 mm, respectively. At 100 days from hatching, they grew to an average of 30 mm with a 7.1 % survival rate. By 312 days, juveniles with a total length of 3.6 cm grew to a total length of 14.7-20.1 cm and a body weight of 38.4-73.9 g. The specific growth rates of total length and body weight of the juveniles were 0.50% and 1.12%, respectively.

대구(Gadus macrocephalus)의 정자 동결보존 (Sperm Cryopreservation of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 도용현;조재권;이희정;민병화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95-200
    • /
    • 2019
  • 본 연구는 대구(Gadus macrocephalus) 정자의 동결보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적정 동해방지제 및 동결보존 방법을 탐색하고, 동결보존된 정자를 해동하여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동결보존에 사용된 동해방지제는 demethyl sulfoxide (DMSO), ethylene glycol (EG), glycerol, methanol 및 propylene glycol (PG)였으며, marine fish ringer's solution (MFRS)를 희석액으로 사용하였다. 적정 동결보존 방법을 탐색하기 위하여 동해방지제 농도별(10%, 20%), 평형시간(3분, 5분, 10분), 1차 동결(액체 질소 표면 위 3, 8, 12 cm)별로 총 90개 실험구를 설정하였다. 해동 후 가장 높은 정자 생존율을 보인 실험구는 PG 10%, 평형시간 3분, 1차동결 8 cm 방법으로 21.3±1.8%의 생존율을 보였다. 신선한 정자와 해동한 정자를 사용하여 인공수정시킨 수정란의 부화율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초자화 동결된 생쥐 배반포기배의 융해 후 배양조건과 수정란 이식방법에 따른 체외/체내발달 (In Vitro/In Vivo Development after Thawing of Vitrified Mouse Blastocysts by Culture Condition and Embryo Transfer Method)

  • 김묘경;김은영;이봉경;윤산현;박세필;정길생;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4권3호
    • /
    • pp.347-353
    • /
    • 1997
  • 본 실험은 초자화 동결된 생쥐 배반포기배의 융해 후 배양조건 및 이식방법이 난자의 생존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외수정후, M16배양액에서 4일동안 배양하여 얻어진 생쥐 배반포기배는 EFS40 (40% ethylene glycol, 18% Ficoll, 0.5 M sucrose가 함유된 PBS)으로 초자화동결하였다. 실험 I에서는 융해 후 배양조건에 따른 난자들의 체외/체내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융해된 난자가 M16과 4 mg/ml 소혈청알부민과 20 가지 아미노산이 함유된 m-CR1 (2% BME 아미노산 용액, 1% MEM 아미노산 용액) 및 단층배양이 유도된 난구세포 (10% FBS가 함유된 m-CR1배양액)에서 각각 배양되었을 때, 융해 후 24시간째 체외 생존율은 배양조건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75.6, 83.1, 82.4%). 그러나 체내 발달율에 있어서 임신 15일째 생존 산자율은 39.0, 49.0, 38.1%로서 유사한 성적을 나타냈으나, 전체 착상율에 있어서는 m-CR1 (80.4%)에 배양되었을 때, M16 (51.2%), 난구세포와 공배양시 (57.1%)보다 유의하게 높은 생존율을 보였다(p<0.05). 실험 II에서는 수정란 이식 방법에 따른 체내 발달율을 조사하였다. 배반포기배를 융해 후 체외배양없이 곧바로 가임신 2, 3일째 대리모에 이식을 실시하였을 때, 가임신 2일째 대리모에서는 임신징후를 얻지 못하였고, 가임신 3일째 대리모에서는 50.0%의 착상율과 15.4%의 정상산자율을 얻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융해 후, 16시간 배양하여 가임신 3일째 대리모에 이식 (73.5, 57.1%)하는 경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결과였다(p<0.05). 실험 III에서는 초자화 동결된 배반포기배의 융해 후 배양시 발달이 늦어진 수정란의 이용효율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융해한 4일째 초기, 5일째 초기, 5일째 팽창 배반포기배의 체외/체내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가장 높은 체외 생존율은 5일째 팽창 배반포기배 (78.3%)에서 얻었으나, 체내 발달율 (산자율, 착상율)에 있어서는 4일째 초기 배반포기배 (33.3, 66.7%)의 경우가, 5일째 팽창 배반포기배(29.0, 38.7%)의 경우보다 높았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배양조건과 수정란 이식방법에 따라 초자화 동결된 배아의 체외/체내 발달율을 높일 수 있으며, 발달이 늦은 배반포기배의 체내 발달율은 체외 배양시간이 길어질수록 낮아짐으로, 5일째 팽창 배반포기배보다 4일째 초기 배반포기배를 동결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한우 체내, 체외 및 복제 수정란이 이식된 수란우의 임신과 분만 및 산자의 생존 (Effects of Different Blastocyst Production Techniques: In Vivo, In Vitro or Nuclear Transfer, on Pregnancy, Parturition and Viability of Hanwoo)

  • 박용수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39-244
    • /
    • 2004
  • 본 연구는 체내, 체외 및 복제를 통하여 각각 생산된 배반포를 이식하여, 수란우의 수태율, 임신기간 및 유산율과 더불어 송아지의 생시 체중과 이후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수태 을은 체내수정란이 56.3%로서 복제 수정란의 19.4%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으나 (p<0.05), 체외수정란의 30.0%와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유산율과 임신기간은 처리군 간에 유사한 경향이었다(유산을 0, 22.2 및 16.7%; 임신기간 278.8, 289.4 및 281.4일). 한편 송아지의 체중은 복제수정란에서 유래된 송아지의 평균 39.9kg은 체내수정란에서 유래된 송아지의 평균 25.5kg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p<0.05). 체내수정란이 수태된 수란우(n=9)는 모두 정상 분만하였으며, 그 송아지 는 생후 60일령까지 모두 생존하였다. 한편 체외수정란이 수태된 수란우(n=7)도 모두 정상 분만하였으나, 그 송아지 가운데 1두는 생후 48일에 사망하였다. 복제 수정란이 수태된 수란우(n=5)는 정상 분만 3두 및 제왕절개 2두를 하였다. 정상 분만된 복제송아지(n=3) 중에서 2두는 분만 직후 사망하였으나, 제왕절개로 태어난 송아지는 생후 60일까지 모두 생존하였다.

체외수정 및 미세조작에 의한 가축(胚)의 생산과 효율적 이용에 관한 연구 II. 소 체외수정 난포란의 발생단계별 동결가 이식후의 생존성 (Studies on Production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Livestock Embryos by In Vitro Fertilization and Micromainipulation II. Effects of Embryonic Development on Survival after Freezing Transfer in Bovine Oocytes Fertilized In Vitro)

  • 정영채;김창근;윤종택;최선호;정광조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33-242
    • /
    • 1993
  • The effects of in vitro maturation and sperm treatment condition on the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developmental capacity of bovine oocytes were investigated and the development of embryos was compared under the 2 different co-culture system, with GC or BOEC. The cultured embryo to 16 cell or morula wre transferred into recipients or frozen by 2 different freezing metho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In vitro maturation rates of vovine follicular oocytes cultrued in TCM199 with 10% FCS or ECS were 64.0% and 72.7%, but the case of addition of 10% FCS or ECS to TCM199 co-cultured with granulosa cells were 81.3% and 84.0%, respectively. IVM rate of three TCM199 added to granulosa cells was higher than that of media without granulosa cells. 2. When bovine follicular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with 10% FCS and GC and then fertilized in vitro by sperm treated with caffeine, embryo developments of bovine oocytes co-cultured with BOEC were 38.4% and 51.4%, respectively. But those of bovine oocytes co-cultured with GC were 52.2% by sperm treated with caffeine-heparin. 3. Cleavage rates of bovine oocytes cultured with 10% FCS alone and fertilized in vitro by sperm treated with caffeine-heparin was 33.0%. 4. When bovine follicular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with 10% FCS and GC, embryo developments of bovine ooctyes co-cultured with BOEC of GC were 46.0% and 50.2%, respectively. 5. When bovine follicular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with 10% ECS and GC, embryo developments co-cultured with BOEC or GC were 45.2% and 51.4%, respectively. 6. When Korean Native cow's follicular oocytes matured in TCM199 with 10% FCS and GC, embryo developed co-cultured with BOEC or GC were 45.2% and 51.4%, respectively. 6. When Korean Native cow's follicular oocytes matured in TCM199 with 10% FCS and GC, embryo developments of the bovine oocyte co-cultured with BOEC and GC were 41.8% and 60.1%. But with FCS 10% those of the bovine oocytes co-cultured with BOEC and GC were 42.0% and 48.4%, respectively. 7. When Holstein's follicular oocytes were matured in TCM199 with 10% ECS and GC, embryo developments fo the bovine oocytes co-cultured with BOEC and GC were 50.0% and 57.7%, but with ECS 10% those of the bovine oocytes co-cultured with BOEC and GC were 52.2% and 56.5%, respectively. 8. The viability of frozen-thawed embryos ranged from 60~80% and those of frozen-thawed embryos from vitrification was lower than that from conventional metiod. 9. The selected fresh embryos were transferred nonsurgically to 7 recipients but did not result in pregnancy.

  • PDF

북쪽말똥성게,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의 산란유발 및 초기성장 (Spawning and Early Growth of the Sea Urchin, Strongylocentrotus intermedius)

  • 이채성;이정용;김두호;구학동;정세한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29-134
    • /
    • 2003
  • 북쪽말똥성게의 인공종묘생산을 목적으로 산란유발과 초기성장에 관한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생식소숙도지수(GSI)는 암수 모두 10월에 최고치를 보인 후 12월에 급격히 감소하여, 주 산란기는 10-11월로 나타났다. KCI 자극에 의한 산란유발은 10월에 44.0~100.0%의 반응을 보여 6,300만개의 알을 얻었으며, 수정률은 92.3~98.2%, 부화율은 78.2~87.0%였다. 사육수온 13.4~17.1$^{\circ}C$에서 부유유생은 부화 13일째에 8완 전기유생, 부화 20일째에는 8완후기유생으로 변태하였다. 채묘는 부화 24~25일째 가능하였으며, 채묘율은 18.5~26.1%(평균 22.3%)이었고 채묘직후 새끼성게는 평균각경 350 $\mu\textrm{m}$이었다. 채묘 후 새끼성게의 생존율과 평균각경은 30일째 58.5%와 1.32mm, 92일째 27.7%와 3.82mm 및 사육 최종 일인 181일째에 15.6%와 11.70mm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