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urface subsidence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17초

Prediction model of surface subsidence for salt rock storage based on logistic function

  • Wang, Jun-Bao;Liu, Xin-Rong;Huang, Yao-Xian;Zhang, Xi-Che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9권1호
    • /
    • pp.25-37
    • /
    • 2015
  • To predict the surface subsidence of salt rock storage, a new surface subsidence basin model is proposed based on the Logistic function from the phenomenological perspective. Analysis shows that the subsidence curve on the main section of the model is S-shaped, similar to that of the actual surface subsidence basin; the control parameter of the subsidence curve shape can be changed to allow for flexible adjustment of the curve shape. By using this model in combination with the MMF time function that reflects the single point subsidence-time relationship of the surface, a new dynamic prediction model of full section surface subsidence for salt rock storage is established, and the numerical simulation calculation results are used to verify the availability of the new model. The prediction results agree well with the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and the model reflects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surface subsidence basin over time, which is expected to provide some insight into the prediction and visualization research on surface subsidence of salt rock storage.

원형공동의 점진적인 붕락에 따른 지표침하특성 (Surface Subsidence according to Progressive Collapse of Circular opening)

  • 지정배;김종우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0권1호
    • /
    • pp.33-44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지하공동의 점진적인 붕락이 지표침하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문진산 표준사를 이용하여 모형지반을 구성하였으며, 공동의 심도를 달리하는 6가지 모델에 대하여 실내 모형실험을실시하였다. 여기서 공동의 심도와 붕락구간의 크기에 따른 침하발생양상을 조사하였다. 또한 NCB 방법, 지수함수를 이용한 윤곽함수법 영향함수법 등의 침하예측방법을 이용하여 모형실험으로부터 측정된 수직 및 수평변위를 해석하였으며, 모래지반에 적합한 침하예측방법을 제안하였다.

  • PDF

지반침하 거동특성 분석을 위한 암반의 부피팽창률에 관한 연구 II (A Study on the Volumetric Expansion Ratio of Rock Mass for Subsidence Behavior Analysis II)

  • 이승중;정용복;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8권6호
    • /
    • pp.436-446
    • /
    • 2008
  • 지반침하 지역의 지표침하량은 지하 채굴적의 높이보다 작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암반의 부피팽창률이며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피팽창률 산정을 위해 3차원 입체 모델을 이용하여 지표침하량과 침하영향범위를 고려한 이론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수치해석 시 부피 팽창률의 적용성 검토를 위하여 개별요소 프로그램인 UDEC(Universal Distinct Element Code)을 이용하여 측압계수의 변화에 따른 지표침하의 변화 양상과 점착력의 변화에 따른 부피팽창률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Monitoring Time-Series Subsidence Observation in Incheon Using X-Band COSMO-SkyMed Synthetic Aperture Radar

  • Sang-Hoon Ho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1-150
    • /
    • 2024
  • Ground subsidence in urban areas is mainly caused by anthropogenic factors such as excessive groundwater extraction and underground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 the subsurface composed of soft materials.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data with high temporal resolution have been widely used to measure surface displacements accurately. However, these point-based terrestrial measurements with the low spatial resolution are somewhat limited in observing two-dimensional continuous surface displacements over large areas. The synthetic aperture radar interferometry (InSAR) technique can construct relatively high spatial resolution surface displacement information with accuracy ranging from millimeters to centimeters. Although constellation operations of SAR satellites have improved the revisit cycle, the temporal resolution of space-based observations is still low compared to in-situ observations. In this study, we evaluate the extraction of a time-series of surface displacement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South Korea, using the small baseline subset technique implemented using the commercial software, Gamma. For this purpose, 24 COSMO-SkyMed X-band SAR observations were collected from July 12, 2011, to August 27, 2012. The time-series surface displacement results were improved by reducing random phase noise, correcting residual phase due to satellite orbit errors, and mitigating nonlinear atmospheric phase artifacts. The perpendicular baseline of the collected COSMO-SkyMed SAR images was set to approximately 2-300 m. The surface displacement related to the ground subsidence was detected approximately 1 cm annually around a few Incheon Subway Line 2 route stations. The sufficient coherence indicates that the satellite orbit has been precisely managed for the interferometric processing.

라이다 기반 정밀 형상 모델 활용 석회석 광산 지반침하 원인분석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Cause Analysis of Subsidence in Limestone Mine Using LiDAR-Based Geometry Model)

  • 고휘철;하태욱;정상원;박승현;김승태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3권3호
    • /
    • pp.126-140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석회석 광산에서 발생한 지반침하지에 대해 라이다 기반 정밀 형상 모델을 활용하여 침하 원인을 분석하였다. 드론 및 지상 기반 라이다 시스템을 활용하여 침하지 지표 및 갱도에 대한 정밀 형상 모델 구축을 수행하고 현장 지질조사 및 암반 분류 결과를 활용하였다, 정밀 형상 모델을 통해 침하지 주변부 크라운필러 두께 및 단층 분포, 침하지 및 침하 적치물 부피 계산, 침하 지표 경사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석회석 광산에서 발생한 지반침하 원인을 규명하였다.

폐광산 지역에서의 지반침하예측을 위한 퍼지추론기법 적용 연구 (Application of Fuzzy Reasoning Method for Prediction of Subsidence Occurrences in Abandoned Mine Area)

  • 최성웅;김재동;최광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5호
    • /
    • pp.463-472
    • /
    • 2009
  • 국내 광산에서 많이 적용되어 왔던 주방식 채굴법 및 위경사 중단붕락법은 그 특성상 지표, 특히 천부에서의 침하 발생 가능성을 많이 내포하고 있다. 특히 이들 광산에 대한 갱내도 및 채굴작업에 대한 기록이 완전하지 않고, 또한 국부적인 지질학적 정보가 충분치 않아 지반침하, 특히 싱크홀 형태의 침하를 예측할 수 있는 기법을 표준화하기가 매우 힘들다. 본 연구에서는 폐광산 지역에서의 지반침하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퍼지추론기법을 적용하였다. 이 기법은 지반침하의 발생가능성을 예측함에 있어서 그 과정의 단순함은 물론, 지반 및 광산에 대한 정밀한 자료가 부족하더라도 비교적 신뢰도 있는 예측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본 프로그램은 이미 지반침하가 발생한 경북 봉화지역의 금호광산 및 충주 이류지역의 충주본산광산에 대해 적용됨으로써, 퍼지추론기법을 바탕으로 하는 지반침하 발생가능성 예측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도출하였다.

Study of Influence Factors for Prediction of Ground Subsidence Risk

  • Park, Jin Young;Jang, Eugene;Ihm, Myeong Hyeok
    • 한국방재안전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29-34
    • /
    • 2017
  • This Analyzed case study of measuring displacement, implemented laboratory investigation, and in-situ testing in order to interpret ground subsidence risk rating by excavation work. Since geological features of each country are different, it is necessary to objectify or classify quantitatively ground subsidence risk evaluation in accordance with Korean ground character. Induced main factor that could be evaluated and used to predicted ground subsidence risk through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analysis study on research trend related to the ground subsidence. Major factors of ground subsidence might be classified by geological features as overburden, boundary surface of ground, soil, rock and water. These factors affect each other differently in accordance with type of ground that's classified soil, rock, or complex. Then rock could be classified including limestone element or not, also in case of the latter it might be classified whether brittle shear zone or not.

빌딩하부 모래자갈층에서 터널시공 중 발생한 지표침하에 의한 빌딩의 손상 (Risk Of Buildings Damage Due To Subsidence During Tunnelling Under The Buildings In Sand-Gravel Layer)

  • 김치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5권4호
    • /
    • pp.383-396
    • /
    • 2015
  • 모래자갈층에서 터널굴착 시 발생하는 지표침하에 의해 지상빌딩에 발생하는 손상도를 분석하였다. 모래자갈층의 두께와 터널까지의 심도는 약 20m이고 터널의 폭과 높이는 각각 12m, 8.6m이다. 터널은 막장전방을 3열의 강관다단그라우팅으로 보강하면서 시공하였다. 터널시공 중에 빌딩주변 36개소에서 지표침하를 계측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3차원 지표침하면을 구하고 빌딩의 위치에 따라 처짐비와 수평변형율로 빌딩의 손상도를 평가하였다. 시공 중 계측된 지표침하는 약 1~4mm로 작았고 빌딩은 수평압축변형을 받는 상태가 되어 빌딩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확산방정식을 이용한 침하 위험도 평가 기법 및 그 적용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Subsidence Hazard by a Diffusion Equation and its Application)

  • 류동우;신중호;송원경;김택곤;박준영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7권5호
    • /
    • pp.372-380
    • /
    • 2007
  • 침하로 인한 지표 손상대는 지하 채굴로 인해 발생되는 결과로서, 오랜 기간 동안 서서히 또는 급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표 손상대는 싱크홀 혹은 트러프형 침하에서 대규모 슬라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관찰된다. 침하 발행 위험에 대한 평가는 광산 침하의 영향을 받는 지역에 있어서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위험도 평가나 침하 예측을 위해 경험적 모델, 프로파일함수, 영향 함수 그리고 수치해석과 같은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인자들 중 지배적으로 침하 현상을 유발할 수 있는 채굴적과 관련한 정보, 즉 채굴적의 위치 및 규모의 정보를 확산이론과 연계한 비교적 간단한 침하 위험도 평가 기법을 제안하였다. 확산 모델은 지반 침하 기구를 설명할 수 있는 입자 모델과 상사관계를 가진다. 확산 모델을 폐금속광 및 폐석탄광 지역의 침하 위험도 작성에 적용하였다. 침하 위험도 평가를 위한 확산 모델은 매우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채굴적에 의한 지반침하 사례 분석을 통한 침하발생 범위의 추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Surface Subsidence Zone through the Case Studies on Mined-out Area)

  • 김병렬;이승중;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1호
    • /
    • pp.31-41
    • /
    • 2013
  • 폐광산에서의 지표침하의 영향범위를 추정하기 위하여 많이 적용되어 왔던 도식법은 수평탄층에서 흔히 발생하는 트러프형 침하의 영향범위를 추정하는데 그 적용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국내 광산의 광체들은 대부분 급경사이며, 침하 형태 또한 함몰형의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 침하지에 도식법을 직접적으로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폐광산 지역에서 발생한 총 163개의 지표침하 발생지에 대한 사례분석을 실시하여, 채굴적의 위치를 기준으로 광체의 경사방향 및 광체의 경사반대방향으로의 지표침하 발생범위를 규명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채굴적의 심도를 고려한 지표침하 발생범위에 대한 추정각을 산정하였으며, 기존의 도식법과의 비교분석 및 지표침하 발생 사례 적용분석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 추정각의 범위를 제안하였다.